In-depth interview about expected role and competency of future public health dental hygienist

김 솔  Sol Kim김 수정  Su-Jeong Kim장 미래  Mi-Rae Jang김 민경  Min-Gyeong Kim서 양경  Yang-Gyung Seo이 희연  Hee-Yeon Lee장 영은  Young-Eun Jang1박 귀옥  Gui-Ok Park1김 남희  Nam-Hee Kim*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cted role and competency of future public health dental hygienist. Methods: This study was cross-sectional design. One dental hygienist per 16 cities and provinces was selected from the list of Korea Society of public dental hygienists. After signing in the informed consent, the interview was carried out. Transcripts were made after each interview. Six researchers recorded meaningful contents in the transcripts. They classified and integrated the information that they had recorded commonly or not. Their opinions were converged by conference. Two supervisors verified results whether they were derived from actual recordings for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s. The records were confirmed once again and corrected into common message. Results: The main difficult subjects in public health official examination were public health, English, and medical legislation to pass the examine. The preliminary certificates included public health related certificate, computer certificate, and driver’s license. In the personality aspect, creativity, activeness, cooperation and good responsibility were very important trait to public health official. Among 16 interviews, 9 were positive and 5 were negative about the future prospects of a public dental hygienist. Conclusions: The future of public health dental hygienist will be positive. Throughout effort to prepare for the public health official, the public health dental hygienist will be expanded and in many ways the dental hygienists will take the charge of the important parts of the public health administration in the near future.

Keyword



서 론

보건치과위생사는 우리나라 시․군․구 각 지역의 보건(지)소에서 공중구강보건사업을 수행하는 치과위생사이다. 보건치과위생사가 수행하고 있는 업무는 지역사회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학교구강보건교육과 학교불소용액양치사업, 학교계속구강관리사업, 미취학 아동집단의 구강보건교육, 장애인 및 노인을 위한 구강보건사업, 모자구강보건교육, 치아 홈 메우기 사업, 노인 의치보철사업 등이 있다[1]. 보건치과위생사는 이러한 구강보건사업들을 기획하고 평가할 뿐 아니라 상대적으로 구강건강 자원에 접근성이 취약한 지역사회 주민의 구강건강을 위한 사업을 수행한다[2]. 구강보건은 치료보다는 지역주민에 대한 구강보건교육과 예방사업의 중요성이 강조되기 때문에 보건치과위생사의 역할이 더 중요하게 강조되고 있다[3].

그러나 최근 구강보건사업을 담당하는 공중보건치과의사의 인력공급이 부족한 실정으로 보건소 중심의 구강보건사업을 전담할 인력이 배치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그 대안으로 제기되고 있다[4]. 이는 지난 2005년부터 2+4년제로 운영되던 치과대학의 교육과정이 4+4년제의 치의학전문대학원으로 전환되면서 여학생과 군 복무를 마친 남학생이 증가한 이유가 한몫을 하고 있다. 이에 지역사회 구강보건사업은 국민의 구강보건사업을 증진시키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사업이기에, 구강보건사업을 담당하는 구강보건사업 전담인력인 보건치과위생사의 역할과 역량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한다[5].

최근 치과위생사는 다양한 사회분야로 진출하고 있다. 그 중 보건치과위생사가 되려는 치과위생사들도 늘어나고 있다[6]. 보건치과위생사는 치과위생사들이 선호하는 업무영역이지만, 공급과 수요가 달라 진출이 쉽지 않았다. 하지만 향후 현재 보건치과위생사의 대거 이동이 예상되어 보건치과위생사의 새로운 인력유입이 불가피 할 것으로 보인다. 예컨대, 1986년 농어촌특별조치법으로 대거 배치되었던 각 지역의 보건치과위생사들의 60%가 현재 40대와 50대 연령에 속한다[7]. 이들은 향후 10-20년 후에 정년퇴임 등의 이유로 현직에서 물러나게 될 것이고, 사업의 유지를 위해 이들이 맡았던 업무를 이어줄 신임 보건치과위생사의 충원 시기가 다가올 것이다. 이에 따라 예비 보건치과위생사들은 이 시기를 대비해 미래의 보건치과위생사로서 갖추어야 할 준비사항을 미리 알고 대비할 필요가 있다.

기존 연구를 살펴보면, 현재 근무하는 보건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그 직무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 요구를 파악한 연구는 많았다[8-10]. 그러나 미래에 보건치과위생사로 진출할 꿈을 꾸고 있는 예비 보건치과위생사를 위한 관점에서 이들이 향후 보건치과위생사로서 갖춰야 할 준비사항과 진출전망 등에 대해 논의된 바가 없었다.

이에 이 연구는 미래 보건치과위생사에게 필요한 준비사항과 진출전망에 대한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임상시험심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승인번호: CR316017, 연구과제번호: 2016-04-0025)의 심의를 거친 후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전국 보건치과위생사 1,261명(2014년도 기준)을 모집단으로 하였다[11]. 표본선정은 동률추출법으로 우리나라 전국 16개 시․도(서울, 광주, 대구, 대전, 부산, 울산, 인천, 강원도, 경기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제주도) 대표자 1명씩을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대표자 명단은 한국 보건치과위생사회의 홈페이지에 게시된 임원 명단을 참고하였다[1]. 선정된 연구 대상자가 자발적인 참여와 녹음 등의 근거기록에 동의하지 않을 경우 그 지역 소속의 다른 임원을 추천받았다. 추천할 대상자가 여의치 않거나, 한국보건치과위생사회 임원명단에 시․도 대표가 없는 지역의 경우는 비확률표본추출 방법 중 의도표집으로 소개를 받은 연구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2. 질적자료 수집방법 및 절차

본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5월 14일부터 6월 14일까지 약 한 달간이었다. 연구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미리 면담 시나리오를 작성하였고, 연구자는 그 시나리오대로 면담을 진행하기로 하였다. 면담 시나리오에는 일련의 질문 문항, 문항의 순서 그리고 면담 중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상황에 대한 가이드 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진술하였다. 양질의 답변을 듣고자 면담을 진행하기 전에 연구 대상자 이메일로 연구계획서, 동의서 그리고 질문지를 전달하였다. 연구 대상자에게는 연구목적, 참여방법, 면담과정을 녹음하는 근거기록 방법에 대해 자세하고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를 이해하고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겠다는 대상자에게 이메일을 통해 연구동의서에 서명을 받았다. 면담은 연구대상자가 근무하는 사무실을 방문하거나, 연구대상자가 바쁜 경우 전화로 진행하였다. 면담 시간은 평균적으로 약 30분 정도 소요되었다.

면담은 사전에 작성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구조화된 질문을 진행하였다. 면담 내용은 보건치과위생사가 되기 위한 준비사항, 보건치과위생사에게 요구되는 인성 그리고 예비 보건치과위생사의 진출 전망으로 구성하였다. 대화를 하면서 답변 내용이 모호하거나 질문지 외에 추가로 더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질문은 내용을 확인하거나 질문을 추가하였다.

질문지 내용은 아래와 같은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1. 보건치과위생사가 되기 위한 준비사항

1) 다음 문항 중 귀하께서 해당하는 직종은 무엇입니까?

2) 귀하께서 근무하고 계신 지역에서 공무원 시험 준비 시 필요한 과목들의 중요도를 평가하여 주십시오. 각 항목 별로 그렇게 평가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3) 시험 준비 기간은 어느 정도가 적절하다고 생각하십니까?

4) 공무원 필기시험 외에 준비해야 할 사항으로 모두 체크하고 중요도를 평가하여 주십시오. 각 항목 별로 그렇게 평가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각 항목 별로 구체적인 사항은 무엇입니까?

5) 의료기술직을 지원하기 위해 경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그렇게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6) 공무원 준비를 위한 전반적인 정보를 주로 어디에서 알게 되셨습니까?

7) 공무원 준비를 위해 어떤 방법으로 공부를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하십니까?

8) 앞의 질문 외에 보건치과위생사가 되기 위해 준비해야 할 사항에 대해 자유롭게 답변하여 주십시오.

2. 보건치과위생사에게 요구하는 인성

1) 보건치과의사로서 다음 각 항목에 대하여 필요한 항목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각 항목 별로 그렇게 평가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3. 질적자료 분석

면담 내용을 기록하고 분석하기 위해서 면담 내용을 기록하고 분석하기 위해서 여섯 명의 연구자가 모여 무작위 뽑기로 녹취록을 작성할 지역을 선정하였고, 각 세 지역씩 중복하여 녹취록을 작성하였다. 녹취록 작성자는 녹음파일을 독립된 공간에서 듣고 녹취록을 작성하였다. 여섯 명의 연구자가 함께 모여 녹음파일을 들으면서 작성된 녹취록에 유의미한 내용을 기록하였다. 여섯 명의 연구자는 녹취록 작성자가 유의미하다고 기록한 내용 중 공통되는 내용과 그렇지 않은 내용을 분류하고 통합하였다. 이후 회의를 거치고 논의하는 과정을 통해서 서로의 의견을 수렴하고 통합하면서 그 결과를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두 명의 감독관은 도출된 결과가 실제 처음에 녹음된 파일에서 유래된 것인지를 확인하였고, 연구 대상자들이 전달하고자 하는 공통의 메시지와 개별적인 메시지를 다시 확인하여 첨삭하였다.

3. 예비 보건치과위생사의 진출 전망

1) 앞으로의 예비 보건치과위생사의 활발한 진출에 예상되십니까? 아니라고 답하셨다면 그렇게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2) 귀하께서는 예비 보건치과위생사의 진출의 시기는 언제라고 생각하십니까? 그렇게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3) 예비 보건치과위생사의 진출 전망에 대해 추가적으로 조언해주고 싶은 내용이 있습니까? 자유롭게 답변하여 주십시오.

연구결과

1. 미래 보건치과위생사가 미리 준비해야 할 사항에 대한 의견

1)  보건치과위생사가 되기 위한 공무원 필기시험 준비 시 필요사항

공무원 시험 준비 시 필요한 주요 과목들로 16개 지역 중 14개 지역이 공중보건을 선택하였다. 다음으로 10개 지역이 선택한 과목은 의료관계법규와 영어이다. 나머지 과목은 10개 지역미만으로 선택되었다. 이 세 과목은 ‘업무 수행에 도움’이 된다는 공통된 이유가 있었다. 공중보건에 대해 “공중보건에 대한 개념이 잘 잡혀있으면, 근무 시 어떤 업무를 하더라도 도움이 된다.”는 대표단의 의견이 많았다. 영어는 “보건소에 내소하는 외국인들과 의사소통을 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의견이 있었고, 의료관계법규는 “잘 알고 있으면, 근무 시 많은 도움이 된다.”......“본인이 맡고 있는 분야와 관계되는 법에 대해서 꿰차고 있어야 되기 때문에 필요하다.”는 대표단의 의견이 있었다.

시험 준비 기간은 ‘6개월 이상 1년 미만’이 3개 지역, ‘1년 이상 2년 미만’이 9개 지역, ‘2년 이상과 3년’이 각각 1개 지역, ‘본인의 의지에 따라 다르다’는 의견이 2개 지역이었다.

2) 공무원 필기시험 외 보건치과위생사가 되기 위해 필요한 추가 사항

공무원 필기시험 외에 준비해야 할 사항에 대해 ‘자격증’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12개 지역으로 가장 많았다. 그 자격증의 구체적인 종류는 보건교육사와 같은 보건관련 자격증, 컴퓨터 자격증(엑셀, 피피티, 워드 프로세서), 인터넷 검색 능력, 운전면허증이 있었다. 자격증이 필요한 주된 이유로는 ‘업무 수행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자격증에 대해서 “근무 시 치과 진료 업무만 보는 것이 아니므로, 여러 자격증이 있으면 도움이 된다.”는 의견이 주된 이유였다.

자격증 외에도 11개 지역에서 면접 준비를, 10개 지역에서는 임상경력이 필요하다고 답변하였다. 면접 시 구체적으로 준비해야 할 사항으로는 다양한 의견들이 있었다. ‘업무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 ‘공직에 임하는 자세’, ‘면접/업무 태도’, ‘직무에 대한 자부심’, ‘상식’, ‘지역에 대한 정보’, ‘인성’, ‘공무원으로서의 도량’, ‘국가관’, ‘지원동기’, ‘앞으로의 포부’ 등을 구체적으로 준비해야 한다고 당부하였다. 면접 준비가 필요한 주된 이유는 ‘2차 시험’이기 때문이었다.

임상경력에 대해서는 응답한 15개 지역 중 12개 지역의 대표단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그 임상경력 연수는 1년부터 3년 이상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내주었다. 임상경력이 필요한 주된 이유는 ‘업무 수행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임상경력에 대해 “다양한 행정 업무를 해야 하는데 임상경력이 있으면 업무 수행 시 유리하며”, “추진하는 사업에 경험적 지식을 활용하면 업무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다”, “보건은 임상을 포함한 전반적인 계획과 기획을 해야 하므로 이론적 지식과 경험을 접목했을 때 사업 추진에 도움이 될 수 있고”......“대학을 졸업하고 바로 오면 경륜이 없으므로 대처능력이 부족하고 사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의견으로 모아졌다.

두 개 지역에서는 임상경력이 필요 없다고 답하였는데 그 주된 이유는 ‘보건소에서 수행하는 치과진료는 간단한 진료’이기 때문에 임상경력이 필요하지 않다는 이유이었다. “보건소의 진료 범위는 한정되어 있어 학교에서 배운 정도로 업무가 가능하다”고 진술한 대상자도 있었다.

추가적으로 준비해야 할 사항에는 주로 “적성을 확인하고 지원해야 된다.”는 의견이 많았다. “국민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해 일을 하는 것이므로 사명감을 가지고 일을 하기 위해서”, “모집공고를 참고하여 열심히 공부해야 하고”, “공부 외에 필요한 역량을 키워야 한다.”, “사업기획서 작성이 중요한데, (현장에서는) 가르쳐 주는 사람 없이 (담당자) 스스로 배워야 하므로 글쓰기를 잘하면 좋다.”는 의견이 있었다.

2. 미래 보건치과위생사가 갖춰야 할 인성

보건치과위생사가 갖춰야 할 인성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보건치과위생사에게 기대하는 역할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많은 지역에서 보건치과위생사가 갖춰야 할 인성으로 ‘창의성’, ‘협동성’, ‘적극성’, ‘책임감’이라고 의견을 모았다. 책임감과 적극성은 16개의 지역 중 15개의 지역이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협동성과 창의성은 16개의 지역 중 14개의 지역으로 많은 응답을 얻었다.

창의성이 필요한 주된 이유로는 ‘새로운 보건사업 개발에 필요’하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보건 사업의 대상은 지역주민으로 거의 같으므로 매번 새로운 아이디어를 가지고 사업을 개발해야 한다.”는 대표단의 의견이 있었다. 반면, 소수의 의견이지만 “상부에서 지시하는 사업을 잘하면 되기 때문”에 창의성이 필요하기는 하나, 창의성을 발휘할 기회가 적다는 부정적인 의견을 덧붙이는 경우도 있었다.

적극성은 ‘성공적인 사업 추진에 필요’가 주된 의견이었다. “보건사업의 담당자들이 주관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사업을 해야 목표를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는 긍정적인 의견과 “공직에서 너무 적극적이면 힘들 수 있으므로 적극성이 필요하지 않다”는 부정적인 의견이 있었다.

협동성이 필요한 주된 이유에는 ‘협력이 필요’하다는 이유와 ‘기본 덕목’이기 때문이었다. “현재 보건사업이 통합건강증진사업이므로 혼자 모든 일을 하기 어려우므로 (다른 사업부서 혹은 사업 담당자들과) 협력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내야한다.”, “공무원으로서 갖춰야 할 기본 덕목이기 때문에 지키지 않으면 조직이 와해될 수 있다.”는 의견이었다.

책임감이 필요한 이유는 ‘본인의 사업에 대해 책임감’이 필요하고, 책임감은 공무원이 갖춰야 할 ‘기본자세’이기 때문이라는 의견이었다. “본인이 기획하고 만든 사업이므로 사업의 모든 과정과 결과를 끝까지 책임지고 지역주민의 구강건강증진을 이루어야 한다.”, “(공무원이라면)기본적으로 가지고 있어야 할 마음 자세이다.”는 의견을 주었다.

그 외에도 일부 지역에서 ‘정직성’, ‘성실성’, ‘수용성’, ‘친절함’을 필요한 인성으로 응답하였다. 정직성과 성실성은 ‘기본 덕목’이기 때문에 필요하다는 것이 주된 이유이었다. “공무원으로서 갖춰야할 기본 덕목으로 정직과 성실이 매우 중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수용성은 ‘기본 덕목’임과 동시에 ‘타인과의 업무수행 효율증가’라는 이유 때문이라고 하였다. “타인의 장점과 의견을 받아들여 배워서 사업 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시행착오 등의 오류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사업과의 통합을 위해서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친절함이 필요한 이유는 ‘기본 덕목’이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조직에 적응하고 업무를 처리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중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3. 미래 보건치과위생사의 진출 전망

예비 보건치과위생사가 향후 보건치과위생사로서 진출할 때 그 전망에 대해 16개 지역 중 9개 지역은 긍정적으로 응답하였고, 5개 지역은 부정적으로 응답하였다.

긍정적인 응답을 한 지역은 예상되는 진출시기에 대한 의견이 다양하였다. 또한 진출이 활발해 질 것이라고 예상하였는데 그 이유는 ‘현재 재직 중인 보건치과위생사의 정년퇴직 시기’ 라고 응답하였다. 반대로 진출할 자리가 얼마 없을 것이라고 부정적인 응답을 하였는데 그 이유는 ‘공중보건치과의사 수의 감소’와 ‘구강보건사업의 위축’이라고 응답하였다, 그 외 기타의견으로는 “정년퇴직하는 보건치과위생사의 수가 많아지는 시기가 다가오고 있다”, “치의학전문대학원을 졸업한 공중보건치과의사들과 퇴직하는 치과위생사들이 늘어나면 보건치과위생사들의 수요가 증가할 것이다”는 긍정적인 의견과 “공중보건치과의사 수가 줄어들면서 사업이 축소되면서 자연스럽게 치과위생사의 수 또한 줄어들고 있다”, “구강보건사업은 그 지역의 필수사업이 아니고 선택사업으로 보건사업 중에서 그 비중을 낮게 두는 지역이 있기 때문에 지방자치단체에 따라 치과위생사에 대한 수요가 적은 지역도 있다”는 부정적인 의견이 있었다.

또한 “현직 보건치과위생사가 물러나면 빈자리에 신임치과위생사의 진출이 예상되기는 하나, (정규직 보다는 계약직 등으로 전환될 수도 있어서) 진출 전망을 밝다고 봐야 할지 아직 모르겠다.”는 등 지역의 보건사업의 방향과 인력구조에 따라 그 진출 전망이 다를 것으로 의견을 주었다.

총괄 및 고안

보건사업이 단기간의 사업이 아닌 체계적 과정이나 기획에 의한 장기사업이 되기 위해서는 보건사업을 주도하여 이끄는 인력들의 역량이 중요하다[12]. 이에 미래 보건치과위생사가 효율적인 업무수행과 그 역량을 발휘하게 하기 위해서는 그에게 어떤 준비가 필요한지 그리고 어떤 인성을 갖춰야 하는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었다.

이 연구는 보건치과위생사 대표자와의 면담 내용을 분석하여 미래 보건치과위생사의 준비사항과 진출전망에 관해 기술하였다. 미래 보건치과위생사가 공직에 진출하기 위해서 미리 준비해야 할 사항과 갖춰야 할 인성 그리고 그 진출전망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도출되었다.

공직 진출을 위한 시험 시 준비해야 할 과목들과 그 과목이 필요한 이유를 물어본 결과 공중보건을 14개 지역에서 선택하여 가장 필요한 과목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의료관계법규와 영어가 10개 지역에서 선택한 과목으로 10개 미만의 지역에서 선택한 나머지 과목에 비해 필요한 과목임을 알 수 있었다. 그 이유는 실무에서 활용되는지 여부였다. 그러나 모든 과목의 점수로 합격여부가 판별되기 때문에 어느 한 과목이라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 준비 기간에 대해 다양하게 응답하였으나, 12개 지역에서 ‘2년 미만’이라고 응답하여 2년 이상 넘어가는 것 보다는 짧은 기간 동안 집중해서 시험을 준비하는 것을 권장하였다. 12개 지역은 의료기술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 임상경력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필요한 임상경력 연수는 1년부터 3년 이상 까지 다양하였다. 추가적으로 이들은 보건치과위생사가 되기에 앞서 본인의 적성을 확인하고 지원을 하도록 조언을 하였다.

미래 보건치과위생사가 갖춰야 할 인성은 책임감, 적극성, 협동성, 창의성이라는 공통된 의견이 도출되었다. 15개 지역에서 책임감과 적극성이 중요하다고 응답하였고 14개 지역에서 협동성과 창의성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이 네 가지는 모두 공직에 진출한 공무원이라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덕목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공직에 있는 사람들은 개인이 아닌 팀을 구성하여 보건사업을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다른 직업보다 기본적인 인성을 더 강조하고 있었다.

예비 보건치과위생사들의 진출전망에 대해 전국 16개 지역 중 9개의 지역은 전망이 긍정적일 것이라고 응답하였고, 5개의 지역은 부정적으로 응답하였다. ‘공중보건치과의사 수의 감소’, ‘구강보건사업의 위축’, ‘보건치과위생사에 대한 수요 감소’가 그 부정적인 이유이었다.

치과의사의 지도하에 구강보건업무를 시행해야 하는 보건치과위생사들은 공중보건치과의사가 감소하면서 구강보건사업을 추진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13]. 그리고 구강보건사업을 그 지역에서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필수사업이 아니고 지역의 재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해도 되는 선택사업으로 수행하는 지역이 있으므로 지역마다 구강보건사업에 대한 비중이 달라 구강보건사업을 추진하기에 어려운 지역이 있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는 구강보건센터의 미설치 이유를 조사한 결과 72.4%가 ‘우선순위부족’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여 구강보건사업이 축소하고 있다는 결과와 비슷한 이유이었다[14].

반면, 긍정적 전망은 ‘현직 보건치과위생사의 정년퇴직 시기’가 다가오고 있다는 이유가 가장 많았다. 현직에 있는 보건치과위생사들의 연령대는 주로 40대에 집중되어 있다. 예비 보건치과위생사들의 진출 시기로 과반수의 지역(16개 지역 중 11개)에서 10년 이내로 예상하는 것도 현직 보건치과위생사들의 연령분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2015년에 치과대학 및 치의학전문대학원의 정원 외 입학 인원을 감소시키려는 움직임이 있기 때문에 추후 공중보건치과의사 수의 회복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15].

그 밖에 반드시 의료기술직 공무원이 아니더라도 보건직 공무원을 지원하는 등 보건치과위생사가 되는 다양한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는 구강분야에만 한정되지 않고 타 부서의 업무도 접함으로써, 여러 보건 분야와 연계된 구강보건사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미래 보건치과위생사는 금연, 영양, 운동, 음주 등 건강증진 분야에 대한 내용을 학습하여 보건치과위생사가 주도하는 구강보건사업과 건강증진사업을 접목하고 통합하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한계와 의의가 있었다. 첫째, 이 연구의 대상자는 16명이었다. 이것은 전체 모집단에 비해 매우 적은 수이다. 그러나 대상자를 우리나라 16개 시‧도를 대표할 수 있도록 시‧도별로 1명씩을 선정하여 특정 지역의 특성에 치우치지 않고 지역의 대표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또한 대상자에게 각 시도를 대표하는 면담자로 선정하여 그들의 응답이 그 지역을 대표하는 결과가 될 것이라고 미리 언급하였기 때문에 공신력이 있고 대표성이 있는 답변을 하였을 것이라 생각한다. 둘째, 전국 16개 지역에 방문하기에는 우리나라 전국 시‧도가 모두 지리적으로 매우 멀어서 접근성이 낮고, 연구기간도 부족하여 모든 연구 대상자를 직접 방문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면담 이전에 연구 질문지에 대한 답변을 미리 준비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일부 지역은 협조도와 응답결과에 성의가 부족한 답변이 있었다. 향후 연구는 충분한 연구기간과 재원을 확보하여 보다 많은 수의 연구 대상자를 직접 찾아가 응답 협조를 높이고 그로 인해 얻은 심도 있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으면 한다.

그러나 이 연구는 미래 보건치과위생사가 되기 위해 필요한 준비사항을 정리하고, 현직 보건치과위생사들이 예상하는 진출 전망을 실질적으로 정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었다. 또한 연구자들이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신뢰성을 높이고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자료수집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진행과정을 거쳤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미가 있었다. 첫째, 면담 대상자들에게 통일된 질문을 하기 위해 면담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연구자들이 임의로 선정한 보건치과위생사 1명을 대상으로 사전면담을 시행하여 예비 설문지 내용을 보완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모든 연구자들이 모인 자리에서 여러 차례 회의를 통하여 그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그리고 감독관 2명을 두어 최종 분석결과가 실제 녹음파일에서 유래한 것인지 재차 확인하였다. 무엇보다 이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수행하지 않았던 현직 보건치과위생사 전국 대표단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하였다는 독창성을 확보하였다. 이를 통해 직접 현직에서 느끼고 생각하는 바를 실질적으로 수렴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향후에는 현직 보건치과위생사 뿐 아니라 보건소의 인력 채용을 담당하고 있는 부서의 책임자와 구강보건사업과 연계하고 통합하는 건강증진사업의 책임자 등을 대상으로 그 지역에서 보건치과위생사에게 기대하는 역할과 역량에 대한 의견을 도출해 볼 필요가 있다.

결 론

이 연구는 예비 보건치과위생사가 공직 진출을 위해 필요한 준비사항과 갖춰야 할 인성을 파악하고 향후 보건치과위생사의 진출 전망을 예측하기 수행하였다. 전국 16개 시․도별 대표자로 선정된 16명의 보건치과위생사 대표단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1.예비 보건치과위생사들은 지원하고자 하는 지역에서 공고한 시험과목을 확인하고 응시해야 한다. 그리고 그 과목들 간의 치우침 없이 모든 과목을 골고루 준비해야한다. 또한 필기시험 외에 보건관련 자격증(보건교육사 등), 컴퓨터 자격증, 운전면허증과 같이 공직에 필요한 자격증 취득이 필요하며, 치과 임상경력이 필요한 경우도 있었다.

2.미래 보건치과위생사가 갖춰야 할 인성은 창의성, 협동성, 적극성, 책임감이었다.

3.진출 전망은 ‘공중보건치과의사 수의 회복’과 ‘현 보건치과위생사의 정년퇴직의 시기’가 다가오고 있기 때문에 긍정적이라 볼 수 있다.

미래 보건치과위생사의 진출전망이 긍정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보건치과위생사가 되기 위해 공고된 시험과목과 다양한 자격증을 준비하고 갖춰야할 인성을 개발하는 노력을 기울여 치과위생사로서 임상영역 외에도 지역사회의 활동영역을 넓혀나가야 할 것이다.

Acknowledgements

이 연구(과제번호: 2016-04-0025)는 2016년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학생학술연구비를 지원받아 수행하였습니다.

References

1 [1]Korea Society Of Public Health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introduction, Introduction [Internet]. [cited 2016 April 4]. Available from: http://www.kdphs.org/company/page1_11.html 

2 [2]Darby ML, Walsh M. Dental hygiene-theory and practice. 2nd ed. Philadelphia: WB. saunders; 2003: 2-18. 

3 [3]Lee GY, Han YK, Kim YK, Lim HJ, Kown YO, Kim HM, et al. Contents analysis of the community dental hygiene practice outcome evaluation. J Korean Soc Dent Hyg 2016;16(1): 37-43. https://doi.org/10.13065/jksdh.2016.16.01.37  

4 [4]Kim HY, Lee SK, Park YD. Conditions and performance of public health dentists for public oral health activities.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8;32(1):86-95. 

5 [5]Choi JH, Moon HS, Kim JB, Paik DI. The knowledge level of dentists and oral hygienists about oral health policy goals.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2;26(3):435-50. 

6 [6]Yoo JS, Kang KH, Kim YN, Park JR, Lee SM, Jang JH. A study on academic classification formulation of the dental hygiene discipline. Seoul: Korean Association of Dental Hygiene Professors; 2014: 37-45. 

7 [7]Kim NH, Han YK, Kim YK, Lim HJ, Kwon YO, Kim HM, et al. Actual job performance of the community dental hygienist. Seoul: Kore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2014: 6-29. 

8 [8]Park SK, Han YK, Kim YK, Lim HJ, Kown YO, Kim HM, et al. Educational needs of an integrated health and oral health project for community dental hygienists.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5;39(2):127-33. https://doi.org/10.11149/jkaoh.2015.39.2.127 

9 [9]Cho EP, Kim YN, Hwang YS, Park DY. On-the-job training needs of dental hygienists in local health institutions.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9;33(2):298-308. 

10 [10]Kim SH, Kim SB. A cross-sectional study on job training course of the dental hygienists at the public health (sub)centers. J Dent Hyg Sci 2009;9(1):83-9. 

11 [11]Statistics Korea.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ystem (KOSIS), Statistics DB, Farm Helath [Internet]. [cited 2015 Dec 02]. Available from: http://stat.mohw.go.kr/front/statData/mohw AnnalsWpView.jsp?menuId=14&nttSeq=21849&bbsSeq=1&nttClsCd=01 

12 [12]Ahn YH. Community capacity building and community health nursing. J Korean Public Health Nurs 2007;21(1):102-9. 

13 [13]Hwang YS. A study on dental hygienists needs for specialized education in health promotion projects. J Korean Soc Dent Hyg 2007;7(4):611-25. 

14 [14]Kim KM, Yoo EM, Heo SS, Hwang SJ. Views of public dental hygienist about oral health hub center-in the area not implemented. J Dent Hyg Sci 2012;12(6):675-81. 

15 [15]Korean Dental Association, KDA news [Internet]. [cited 2016 Sep 9]. Available from: http://www. kda.or.kr/kda/kdaNews/kdaPress/board_read.kda?board_key=3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