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behavior and the pre-/post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in field practice

성 미경  Mi-Gyung Seong1황 세현  Se-Hyun Hwang1장 경애  Kyeung-Ae Jang2*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mote the value of field practice courses by installing an efficient field practice program through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behavior and the pre-/post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in field practice.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tudents in Gyeongnam and Busan majoring in dental hygiene, from which 218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from 23 November 2015 to 30 July 2016. Results:In terms of career decision/ behavior, the post-satisfaction scores in ideas about their major, about whether it was helpful to selecting their speciality and positive impression of dental hygienists, interest and understanding in training cours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pre-satisfaction scores (p<0.05).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in field training and career decision/ behavior following the field training, pre-/post-satisfaction on site-training content (r=0.371, p<0.01), pre-/post satisfaction in training instructions (r=0.267, p<0.01), and pre-/post-satisfaction in the training sites (r=0.436, p<0.01) were all proportionally correlated to the after-training career decision and behavior. Conclusions:It is necessary for training instructors to maintain close relationships with the students in field practice program courses. In advance, it is expected to promote students’ satisfaction in field practice and serve as a starting point where students can build self-esteem as a future dental hygienist by positively influencing their career decisions and behaviors.

Keyword



서 론

치위생학은 이론지식을 바탕으로 임상현장에서 적용되는 실용중심학문으로[1] 치위생(학)과 학생들이 졸업 후에 치과위생사의 역할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중 다양한 현장실습이 필요하다. 현장실습은 학교에서 배운 지식과 기술을 활용하고 적용하여 치과위생사로서의 기본적인 능력과 자질을 갖추게 한다[2]. 또한, 학생들에게 전공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게 하여 전공만족도로 이어지고 치과위생사로서의 직업에 대한 태도와 자긍심이 높아지게 한다[3]. 나아가 학생들은 현장실습 교육을 통해 졸업 후 근무하게 될 치과병․의원의 조직문화를 이해하고, 치과위생사로서의 직업 전문성을 갖추게 된다[4].

현장실습은 학교에서 교육받은 이론 지식과 기술을 현장에서 활용하여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중요한 교육과정이다[5]. 그러나 현장실습 과정에서 치위생(학)과 학생들은 치과위생사의 역할에 대한 습득과 직업관의 형성 및 대인관계를 비롯하여 여러 가지 문제들과 당면하게 된다[6]. 이는 현장실습을 임하는 학생들에게 정서적인 혼란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하면서 이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전공에 대한 자신감에 손상을 줄 수 있으며 나아가 치과위생사라는 전문 직업인으로서의 자긍심을 반감시킬 수 있는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7]. 이는 현장실습이 이루어지고 있는 치과병․의원은 학교 교육과는 다른 구조적인 교육기관의 환경으로 학생들의 현장실습 교육을 목적으로 운영되는 기관이 아니다. 즉 실습을 통해 이루어져야 하는 실습교육의 질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현장실습이 이루어지는 현장실습 교육기관은 교육목표의 실현 가능성이 기본적으로 보장되어야 하며[8], 현장실습 교육 지도자들은 학생들에게 변화하는 임상현장에서 갖추어야 할 태도와 이론 및 기술을 교육․관리하는 임무를 수행해야 한다[9]. 현장실습 교육기관인 치과병․의원에서 이루어지는 학생들의 임상실습은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미래의 치과위생사를 인식하고 인정받기 위한 학습 과정[2]이기에 현장실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실습교육기관에서 치위생학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체계적인 실습계획과 실습지침이 구축되어야 한다[10]. 또한, 학생들이 현장실습을 나가기 전 임상 관련 업무에 대한 역량과 자기관리능력을 충분히 갖추고 실습에 임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때 실습에 대한 만족감을 향상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효율적인 현장실습 교육을 위해 학교 교육기관의 담당 교수와 현장실습기관의 지도자는 상호연계 교육을 시행하고, 학생을 담당하는 현장실습 지도자는 슈퍼바이저가 되어 학생을 관리하고 지도하여 올바른 가치관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나아가 현장실습지도자들의 역할이 현장실습 학생들의 진로 결정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현장실습기관과 현장실습지도자에 대한 만족도와 관련된 연구[3,6]는 다양하지만 실습 전․후를 비교하여 현장실습의 만족도와 현장실습 후 진로의사 및 결정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현장실습 전․후에 대한 만족 정도를 알아보고, 현장실습내용, 실습지도자, 현장실습기관에 대한 사후 만족도와 사전기대의 차이를 통해, 실습 후 진로의사 및 행동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경남과 부산 일부 지역의 치위생(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교 2곳을 임의표본추출방법으로 진행하였다. 학생을 대상으로 사전에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충분히 설명하고 설문조사에 동의한 학생 225명을 조사하였다. 설문에 참여하는 동안 언제든지 본인이 원하는 경우 그만둘 수 있으며 연구참여 거부 시 불이익이 없음을 설명하였다. 연구대상에 대한 자료 수집은 현장실습 전과 현장실습 후로 이루어졌다. 1차 자료수집은 현장실습 전 실습오리엔테이션 기간에 시행되었고, 2차 자료수집은 치위생(학)과 학생들이 현장실습을 마친 후에 시행되었다. 대상자의 표본 크기는 Cohen Power analysis를 근거로 G*power3.1.7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의수준 5%, 검정력 80%, 효과크기 0.5의 조건하에 설정하였다. 설문지는 현장실습 전․후의 짝을 지어 조사되었고, 조사대상자 225명 중 설문의 응답이 불성실한 7부를 제외한 218부를 최종 연구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Unit: N (%)

http://dam.zipot.com:8080/sites/ksdh/files/N0220170209_image/Table_KSDH_17_02_09_T1.jpg

2. 연구도구

본 연구의 설문지는 조와 김[6]의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였으며, 자기기입식으로 실시하였다. 일반적 특성 2문항, 현장실습내용에 대한 만족도 7문항, 현장실습 지도자와의 관계 및 실습지도 만족도 11문항, 실습기관에 대한 만족도 6문항, 실습 후 진로의사 및 행동 7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문항의 응답은 현장실습내용에 대한 만족도, 현장실습 지도자와의 관계 및 실습지도 만족도, 실습기관에 대한 만족도, 실습 후 진로의사 및 행동은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긍정적인 것으로 해석하였다.

3.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분석은 IBM SPSS version 22.0 (IBM Co., Armonk, NY, USA)을 이용하였고, 유의 수준은 0.05에서 검정하였다. 설문지의 타당도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사용하였고, Bartlett의 단위행렬 점검과 KMO값은 표본적합도를 나타내는 값 0.5 이상인 문항을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각 세부 요인별 Cronbach’s α계수는 현장실습내용에 대한 만족도 0.886, 현장실습 지도자와의 관계 및 실습지도 만족도 0.945, 실습기관에 대한 만족도 0.856, 실습 후 진로의사 및 행동 0.832로 신뢰도 계수가 0.6 이상으로 나타나 설문도구의 내적일치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인 특성은 빈도분석으로 분석하였고, 현장실습내용에 대한 만족도, 현장실습 지도자와의 관계 및 실습지도 만족도, 실습기관에 대한 만족도, 실습 후 진로의사 및 행동은 paired-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현장실습 전․후에 대한 현장실습내용에 대한 만족도와 현장실습 지도자와의 관계 및 실습지도의 만족도, 현장실습에 대한 만족 정도와 실습 후 진로의사 및 행동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 현장실습내용의 전․후 만족도 비교

현장실습내용에 전․후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현장실습내용에 대한 만족도의 사전 기대는 3.23점으로 나타났고, 사후 만족도는 3.20점으로 사전 기대보다 낮게 나타났다. 실시되고 있는 실습제도의 효과성에 대한 사전 기대가 3.38점, 사후 만족도는 3.22점으로 나타났다(p<0.05). 사례와 업무의 적절성에 대한 사전 기대가 3.35점, 사후 만족도는 3.33점으로 나타났고, 실습기관의 실습목표에 대한 적절성에 대한 사전 기대는 3.31점, 사후 만족도는 3.24점으로 나타났다. 직원의 협조 경우는 사전 기대가 3.02점, 사후 만족도는 3.22점으로 나타났다(p<0.01).

Table 2. Awareness of clinical practice field satisfaction    Unit: Mean±SD

http://dam.zipot.com:8080/sites/ksdh/files/N0220170209_image/Table_KSDH_17_02_09_T2.jpg

*by paired-t-test

2. 현장실습 지도자에 대한 전․후 만족도 비교

현장실습 지도자에 대한 전․후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현장실습 지도자에 대한 만족도의 사전 기대는 3.12점, 사후 만족도는 3.03점으로 사전 기대보다 낮게 나타났다. 현장실습 지도자의 친절과 자상에 대한 사전 기대는 3.20점, 사후 만족도는 2.93점으로 나타났고(p<0.001), 현장실습 지도자의 나의 업무에 대한 존중 정도는 사전 기대가 3.13점, 사후 만족도는 2.99점으로 나타났다(p<0.05). 현장실습 지도자와 자유로운 상의에 대한 사전 기대는 3.09점, 사후 만족도는 2.95점으로 나타났다(p<0.05). 현장실습 지도자와 지도시간의 사전 기대는 3.00점, 사후 만족도는 3.06점으로 나타났다.

Table 3. Awareness of clinical practice training by the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field    Unit: Mean±SD

http://dam.zipot.com:8080/sites/ksdh/files/N0220170209_image/Table_KSDH_17_02_09_T3.jpg

*by paired-t-test

3. 현장실습기관에 대한 전․후 만족도 비교

현장실습기관에 대한 전․후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현장실습기관에 대한 만족도의 사전 기대는 3.17점, 사후 만족도는 3.13점으로 사전 기대보다 낮게 나타났다. 현장실습기관의 적절한 오리엔테이션에 대한 사전 기대는 3.17점, 사후 만족도는 3.02점으로 나타났고(p<0.05), 현장실습기관의 공식적 평가 진행에 대한 사전 기대는 3.23점, 사후 만족도는 3.22점으로 나타났다. 현장실습기관의 실습 프로그램의 정비에 대한 사전 기대가 3.02점, 사후 만족도는 2.95점으로 나타났다. 현장실습기관의 공간과 비품, 예산의 충분성에 대한 사전 기대는 3.04점, 사후 만족도는 3.05점으로 나타났다.

Table 4. Awareness of clinical practice field by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field    Unit: Mean±SD

http://dam.zipot.com:8080/sites/ksdh/files/N0220170209_image/Table_KSDH_17_02_09_T4.jpg

*by paired-t-test

4. 진로의사 및 행동의 전․후 비교

진로의사 및 행동의 전․후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진로의사 및 행동의 사전 기대는 3.24점, 사후 만족도는 3.11점으로 사전 기대보다 낮게 나타났다. 전공에 대한 생각의 사전 기대는 3.10점, 사후 만족도는 2.88점으로 나타났고(p<0.001), 전공분야 선택 용이에 대한 사전 기대는 3.24점, 사후 만족도는 3.05점으로 나타났다(p<0.001). 치과위생사에 대한 호감에 대한 사전 기대가 3.14점, 사후 만족도는 2.98점으로 나타났다(p<0.001). 실습과목에 대한 이해와 흥미에 대한 사전 기대는 3.25점, 사후 만족도는 3.18점으로 나타났다(p<0.001).

Table 5. Future plans and behavior changes according to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Unit: Mean±SD

http://dam.zipot.com:8080/sites/ksdh/files/N0220170209_image/Table_KSDH_17_02_09_T5.jpg

*by paired-t-test

5. 현장실습 전․후에 대한 만족 정도와 실습 후 진로의사 및 행동과의 관계

현장실습 전․후에 대한 만족 정도와 실습 후 진로의사 및 행동과의 관계는 <Table 6>과 같다. 현장실습에 대한 만족 정도는 실습내용, 실습지도자, 현장실습기관에 대한 사후 만족도와 사전기대의 차이를 통해, 실습 후 진로의사 및 행동과의 관계를 상관분석으로 조사하였다. 현장실습기관의 실습내용에 대한 전․후 만족 정도는 실습 후 진로의사 및 행동과 정적 상관(r=0.371, p<0.01)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습지도자에 대한 전․후 만족 정도는 실습 후 진로의사 및 행동과 정적 상관(r=0.267, p<0.01)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현장실습기관에 대한 전․후 만족 정도도 실습 후 진로의사 및 행동과 정적 상관(r=0.436, p<0.01)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6.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 behavior and the pre-/post-satisfaction in field practice

http://dam.zipot.com:8080/sites/ksdh/files/N0220170209_image/Table_KSDH_17_02_09_T6.jpg

*by paired-t-test

Table 6. To be continued

http://dam.zipot.com:8080/sites/ksdh/files/N0220170209_image/Table_KSDH_17_02_09_T6_1.jpg

*by paired-t-test

총괄 및 고안

현장실습은 학생들에게 이론교육을 바탕으로 실습을 통한 실무능력과 직업에 대한 가치관을 바르게 식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과정으로[11] 학생들은 현장실습을 통해 전공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자신감을 가지게 된다. 오[3]의 연구에서 현장실습은 학생들이 치과위생사에 대한 자부심을 느끼도록 해주며 학과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고 보고하였다. 현장실습의 만족도와 중요도는 취업의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만족도가 높을수록 향후 업무능력과 기술 또한 향상되는 평가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현장실습 전․후에 대한 만족 정도를 알아보고, 실습 후 진로의사 및 행동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현장실습내용에 대한 만족도의 평균점수는 사후 만족도가 사전 기대보다 낮게 나타났다. 세부내용으로 시행되고 있는 실습제도의 효과성(p<0.05), 사례와 업무의 적절성, 실습기관의 실습목표에 대한 적절성의 사후 만족도는 사전 기대보다 낮게 나타났다. 직원의 협조 경우는 사후 만족도가 사전 기대보다 높게 나타났다(p<0.01).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현장실습기관의 전․후 만족 정도를 매개로 한 현장실습내용에 대한 만족도 선행연구가 없어 직접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성 등[12]의 연구에서 현장실습내용의 인지도가 높게 나타난 그룹은 현장실습기관에 만족하여 현장실습내용의 인식정도와 현장실습기관의 만족도는 관련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현장실습내용은 학생들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통한 교육을 계획하고 수행하여 적절한 학습환경과 연관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고 하였다[13]. 따라서 현장실습기관에서는 학생들이 실습 후 현장실습내용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실습교육 내용이 학습목표와 관련성을 가지고, 보다 구체적이고 계회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현장실습기관과 소통하여야 할 것이다. 이에 전문화되고 체계적인 현장실습 교육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현장실습 지도자에 대한 만족도의 평균점수는 사후 만족도가 사전 기대보다 낮게 나타났다. 세부내용으로 현장실습 지도자의 친절과 자상 정도(p<0.001), 현장실습 지도자와 나의 업무에 대한 존중 정도(p<0.05), 현장실습 지도자와 자유로운 상의 정도(p<0.05)의 사후 만족도는 사전 기대보다 낮게 나타나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현장실습 지도자와 지도시간의 경우는 사후 만족도가 사전 기대보다 높게 나타났다. 현장실습 지도자의 개념과 비슷한 역할을 하는 프리셉트가 있으며, 사전적 의미는 교사, 개인 지도교사 등의 뜻을 가지고 있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처음으로 프리셉트 교육제도를 시행하기도 하였다. 최 등[14]의 연구에서 프리셉트의 지도를 받은 학생들의 간호 수행능력과 실습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학생들은 실습에 대한 부담감으로 스트레스를 받으면 실습만족도가 저하되고, 치과위생사와의 관계 부족이나 자신의 역할이 불분명할 때 가장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하였으므로[15], 현장실습만족도는 진로의사 및 행동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즉 현장실습 지도자와 학생들의 상호관계는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변화를 줄 것으로 생각되어 현장실습 지도자는 학생들에게 촉매제의 역할을 하고, 본보기로 능숙한 지도자의 역할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도자의 자질과 협조적인 자세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현장실습기관에 대한 만족도의 평균점수는 사후 만족도가 사전 기대보다 낮게 나타났다. 세부내용으로 현장실습기관의 적절한 오리엔테이션 정도(p<0.05), 현장실습기관의 공식적 평가 진행 정도, 현장실습기관의 실습 프로그램의 정비 정도의 사후 만족도는 사전 기대보다 낮게 나타났다. 현장실습기관의 공간과 비품, 예산의 충분성의 경우는 사후 만족도가 사전 기대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16]의 연구에서 현장실습 전 실습기관에서 실습 오리엔테이션을 하는 것이 학생들의 임파워먼트에 효과적이다고 보고하여 사전교육의 중요성을 나타내고 있다. 학교는 사전교육 없이 학생들이 현장실습에 임하게 될 때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현장실습기관과의 간담회 등을 통해 충분히 소통하고, 학생들이 현장에서 체계적으로 실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현장실습교육 매뉴얼을 요구하여야 한다.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진로의사 및 행동의 평균점수는 사후 만족도가 사전 기대보다 낮게 나타났다. 전공에 대한 생각(p<0.001), 전공분야 선택 용이(p<0.001), 치과위생사에 대한 호감정도(p<0.001), 실습과목에 대한 이해와 흥미(p<0.001)의 사후 만족도는 사전 기대보다 낮게 나타나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17]의 연구에서 치과위생사의 사회적 이미지가 낮게 나타나 전문직 발전의 장애 요인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 이 등[18]의 연구에서 전문직 특성으로 자율성은 직무수행과정에서 자신의 업무기능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하였다. 치과위생사의 자율성 확보를 위해 의료인으로 변경과 치과의사 및 보건기관의 통제를 벗어날 수 있는 법적 근거 마련으로 치과위생사들의 힘을 키워나가야 한다고 하였다[19]. 치과위생사 개인의 노력으로 개개인의 신념과 이미지를 고취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및 학술대회, 세미나 등을 통해 치과위생사의 자부심과 직업에 가치관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교육기관에서는 산학협력체계의 강화와 현장실습 지도자를 바탕으로 실무중심의 체계적인 교육 커리큘럼이 반영되어 전공에 대한 이해와 만족도를 높여 치위생(학)과 학생들이 치과위생사의 직업에 대한 자긍심과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질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현장실습기관의 실습내용에 대한 전․후 만족 정도는 실습 후 진로의사 및 행동과 정적 상관(r=0.371, p<0.01), 실습지도자에 대한 전․후 만족 정도는 실습 후 진로의사 및 행동과 정적 상관(r=0.267, p<0.01), 현장실습기관에 대한 전․후 만족 정도도 실습 후 진로의사 및 행동과 정적 상관(r=0.436, p<0.01)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현장실습기관의 전․후 만족 정도를 매개로 한 진로의사 및 행동에 대한 선행연구가 없어 직접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채와 정[20]의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 행동은 임상실습만족도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임상실습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진로준비 행동이 높다고 보고하였다. 임과 조[21]의 연구에서는 임상실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의 관계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임상실습만족도의 하위영역인 실습교과만족, 실습내용만족, 실습지도만족, 실습환경만족과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실습기관의 협력체계를 강화하여 실습에 대한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연결하여 다양한 실습내용의 커리큘럼의 제공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현장실습 지도자의 전․후 만족 정도와 진로의사 및 행동과의 정적 상관관계는 학생들이 현장실습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들을 보고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고 행동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따라서 실습지도자의 역할을 하는 치과위생사들은 미래의 치과위생사가 될 치위생(학)과 학생들이 체계적인 실무중심 교육을 받고 올바른 전문직 가치관을 인식하여 취업결정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행동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 전체를 대표하는 결과로 일반화하기에 부족함이 있었고, 현장실습 전․후 만족도의 연구가 미흡하여 본 연구와 비교하여 설명하는 데 부족함이 있었다. 향후 현장실습 지도자를 대상으로 실습학생 관리와 태도 및 역할에 대하여 여러 가지 문제점과 해결점을 조사하여 상호보완된 교육프로그램 운영의 기초자료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으로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현장실습 전․후에 대한 만족 정도를 알아보고, 현장실습내용, 실습지도자, 현장실습기관에 대한 사후 만족도와 사전기대의 차이를 통해, 실습 후 진로의사 및 행동과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이에 현장실습기관의 산학협력을 통해 실습지도자와의 원활한 소통으로 실습기관의 질 높은 실습교육 프로그램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나아가 현장실습기관의 교육이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진로의사와 행동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어 미래 치과위생사로서 자부심을 가질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결 론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현장실습 전․후에 대한 만족 정도와 실습 후 진로의사 및 행동과의 관계를 파악한 후 효율적인 현장실습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알리고자 한다. 조사대상은 경남과 부산 일부지역의 치위생(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기간은 2015년 11월 23일부터 2016년 7월 30일까지 조사되어 총 218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1.현장실습내용에 대한 전․후 만족도는 실습내용에 대한 사례와 업무의 적절성은 사후 만족도 점수가 사전 기대 점수보다 낮게 나타났다. 실습제도의 효과성(p<0.05)과 직원의 협조의 경우(p<0.01)는 사후 만족도 점수가 사전 기대 점수보다 낮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현장실습 지도자에 대한 전․후 만족도는 현장실습 지도자의 친절과 자상함에 대한 사후 만족도 점수가 사전 기대 점수보다 낮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01). 현장실습 지도자가 나의 업무에 대한 존중 정도와 현장실습 지도자와 자유로운 상의는 사후 만족도 점수가 사전 기대 점수보다 낮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3.현장실습기관에 대한 전․후 만족도는 현장실습기관의 적절한 오리엔테이션에 대한 사후 만족도 점수가 사전 기대 점수보다 낮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4.진로의사 및 행동의 전․후 만족도는 전공에 대한 생각과 전공분야 선택 용이, 치과위생사에 대한 호감과 실습과목에 대한 이해와 흥미에 대한 사후 만족도 점수가 사전 기대 점수보다 낮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5.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에서 현장실습에 대한 만족 정도와 실습 후 진로의사 및 행동과의 관계는 현장실습기관의 실습내용에 대한 전․후 만족도는 실습 후 진로의사 및 행동과 정적 상관(r=0.371, p<0.01)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습지도자에 대한 전․후 만족도는 실습 후 진로의사 및 행동과 정적 상관(r=0.267, p<0.01)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현장실습기관에 대한 전․후 만족도는 실습 후 진로의사 및 행동과 정적 상관(r=0.436, p<0.01)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현장실습 전․후에 대한 만족 정도와 실습 후 진로의사 및 행동과의 관계는 현장실습기관의 실습내용, 현장실습기관, 현장실습 지도자의 만족도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에서는 현장실습기관의 현장실습 지도자와 밀접한 관계를 통한 현장실습 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학생들의 현장실습기관의 교육 후 만족도가 높아진다면 학생들의 진로의사와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미래 치과위생사로 자부심을 가질 수 있는 시발점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References

1 Jacqueline AJ, Lynn S. Advocacy for the provision of dental hygiene service within the hospital setting: Development of a dental hygiene student rotation. J Evid Base Dent Pract 2016;16:129-35. https://doi.org/10.1016/j.jebdp.2016.01.023 

2 Won BY, Jang GW, Hwang MY, Jang JH.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of clinical practice and training in dental hygiene students. J Korean Soc Dent Hyg 2016;16(6):993-1007. 

3 Oh HS. Study on the teaching efficiency and satisfaction levels of clinical practice instructors during clinical practice training for some dental hygienists and students. J Korean Soc Dent Hyg 2013;13(5):777-86. https://doi.org/10.13065/jksdh.2013.13.05.777  

4 Yang JS. A study on th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f dental hospital by dental hygiene students.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0;24(3):205-15. 

5 Hong SM, Han JH, Kim HK, Ahn YS. A study on the stress of clinical practice, stress coping and somatization for dental hygiene students. J Dent Hyg Sci 2009;9(2):219-24. 

6 Cho MS, Kim C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levels of education and clinical practice in the dental hygiene students. J Korean Soc Dent Hyg 2014;14(5):649-58. https://doi. org/10.13065/jksdh.2014.14.05.649 

7 Ko SJ, Kang SS, Kim CS, Choi SY, Kim JH. Study o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by students in department of radiologic science. J Korean Soc Radiol 2011;34(4):287-96. 

8 Song JH, Kim MW. Study on clinical education for nursing in hospital in korea. J Korean Acad Soc Nurs Edu 2013;19(2):251-64.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2.251 

9 Jacobson MD. Effect and ineffective behavior of teachers of nursing as determined by their students. Nur Res 1996;15(3):218-24. 

10 Lee MJ, Kim KM, Lee JS, Lee TY, Kang DH, Lee KS, et al. The curret fieldwork affiliation status of the occupational therapy education programs in korea. J Korean Soc Occup Therapy 2004;12(2):105-17. 

11 Park JH, Lee MJ, Goo HJ. Satisfaction towards clinical training institution according to clinical practice contents in the dental hygiene students. J Korean Soc Dent Hyg 2015;15(4):631-9. https://doi.org/10.13065/jksdh.2015.15.04.631 

12 Seong MG, Hwang SH, Kang HK, Jang KA. Influencing factors on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field in dental hygiene students. J Korean Soc Dent Hyg 2016;16(3):391-9. https://doi. org/10.13065/jksdh.2016.16.03.391 

13 Park MY. A study on the satisfaction and stress factor of clinical practice fo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J Dent Hyg Sci 2006;6(4):243-9. 

14 Choi KO, Jo HS, Kim JY, Kim BY, Jang SJ. The teaching effectiveness of preceptorship and satisfaction of student for clinical practice on nursing education. J Korean Acad Nurs 2002; 8(1):73-83. 

15 Lee JH, Jeon ES. A study on cause of stress experienced by part students of dental hygiene department during clinical traning. J Dent Hyg Sci 2009;9(1):137-43. 

16 Lee YG. Effects of a blended learning orientation program for clinical practicums of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08;14(1):30-7. 

17 Lee KH. Nediation effect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students’ powerlessness and nursing image. J East-West Nurs Res 2010;16(1):26-34.  

18 Lee SH, Kim SY, Kim JA. Nursing students’ image of nurse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J Korean Acad Nurs Adm 2004:10:219-31. 

19 Han YK, Kim HH. The effects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n image of dental hygienists in dental students. J Korean Dent Hyg Sci 2015;15(4):457-64. 

20 Chae MJ, Jung HJ. Mediating effect of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on the 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with majo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J Korean Health Serv Manage 2016;10(3):213-22. https://doi.org/10.12811/kshsm.2016.10.3.213 

21 Lim KM, Jo EJ. Influence of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nd image of nurses on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J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 2016;17(4): 556-66. https://doi.org/10.5762/KAIS.2016.17.4.5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