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wareness of old age and preparation for old age of dental hygienists

이 미라  Mi-Ra Lee1박 경화  Kyung-Hwa Park2*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wareness of their old age, and preparation for their old age among dental hygienist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58 dental hygienists in Seoul, Gyeonggido, Incheon and Gangwondo from September 30 to October 30, 2016.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10 items), life satisfaction (10 items), awareness of old age (13 items) and preparation for old age (23 items). Respondents were asked to choose on the Likert 5-point scale. Results: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life satisfaction, awareness about old age and preparation for old age among dental hygienists (p<0.01): physical preparation for old age was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economic preparation for old age was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awareness for old age, 10 or more years of experience as dental hygienist and having offspring (two or more children). Psycho-emotional preparation for old age was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and awareness for old age.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and awareness of old age for their old age among dental hygienists.

Keyword



서 론

우리나라는 생활환경 개선과 의료기술 등의 발전으로 평균수명이 늘어나고 있고, 인구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사회․경제적 측면에서의 불균형 성장으로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사회문제를 수용할 수 있는 기반은 충분하게 갖추지 못한 실정이다[1]. 고령사회는 먼 미래의 문제가 아닌 우리의 당면과제가 되었으며, 노인의 문제가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2]. 특히, 우리 사회 노인 문제는 노인 부양의 문제뿐만 아니라 연장된 수명에 맞지 않는 퇴직제도, 사회적 역할의 상실, 소득 상실로 인한 생계의 불안정을 가지게 되고, 소외, 고독 그리고 건강상의 문제까지 야기될 수 있다[2].

노후에 대한 인식은 연령이나 신체적 변화 보다는 사회구조 내에서 개인이 스스로 노후를 인지하는 것으로 노년층의 삶의 태도와 질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3] 노후인식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노후준비는 중년에서 노인으로 넘어갈 때를 대비하여 자식세대에게 부담을 지우지 않고 스스로 자립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을 의미한다[4]. 노후를 준비 한다는 것은 노후의 삶을 보다 풍요롭게 보낼 수 있게 하는 것으로[5] 이를 위해서는 노후생활에 발생 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

생활만족도는 생활 전반에 대해 생활주체가 경험하는 객관적 및 주관적 느낌의 복합 상태이며 개인이 자신의 현재 위치와 활동에 대해 가지는 만족감을 의미한다[4]. Rowe와 Kahn [6]은 장애가 없고, 육체적인 기능을 유지하며, 삶에서 적극적인 활동 추구를 통한 생활만족도 증가 등이 성공적 노화의 주요 요인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생활만족도가 높을수록 성공적 노후가 가능하므로[7] 노후준비를 위해 함께 연구할 필요가 있다.

대부분 우리나라의 치과위생사는 작은 규모의 의원에서 근무하고 있다. 전문직임에도 불구하고 직업수명이 길지 않고, 복지와 정년, 은퇴와 퇴직에 관한 정해진 규정이 없는 것이 현 실정이다. 따라서 젊은 시절부터 퇴직 후의 삶에 대한 현실적이고 체계적인 자기관리와 장기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또한 스스로 노후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구체적인 노후준비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한 노후와 관련된 연구에는 노후준비[1,2], 퇴직 후 노년생활 및 직업에 관한 인식[8], 은퇴준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9] 등이 보고되고 있으나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생활만족도, 노후에 대한 인식과 노후준비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치과위생사들의 노후준비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노후생활 준비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6년 9월 30일부터 2016년 10월 30일까지 서울, 경기, 인천, 강원지역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258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목적 및 필요성을 설명하였고, 이에 동의한 대상자가 설문지 또는 온라인 설문지에 자기기입방법으로 작성하였다. 22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설문 문항을 수정한 후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설문지 가운데 결측값이 많은 12부를 제외시키고 246부를 최종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수는 G*power program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에서 유의수준 α=0.05, 중간수준효과 0.15, power 1-β=0.95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최소 174명을 충족하였다.

본 연구는 한양여자대학교 생명윤리 심의위원회의 심의(IRB: institutional review board, AN01- 201609-HR-018-02)를 거쳐 진행하였다.

2. 연구도구

본 연구의 일반적 특성은 연령, 결혼여부, 최종학력, 근무형태, 근무경력, 주당 근무시간, 근무기관, 월 평균 수입, 부동산 소유, 자녀수로 구성된 10문항이었다. 생활만족도는 고[10]가 사용한 평가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10문항 사용하였고, 노후에 대한 인식과 노후 준비는 허와 권[11]이 사용한 평가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노후에 대한 인식 13문항, 노후 준비 23문항, 하위항목으로 신체적 노후준비 9문항, 경제적 노후준비 9문항, 심리 정서적 노후준비 5문항, 총 5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생활만족도, 노후에 대한 인식 및 노후준비는 리커트 5점 척도로 “매우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보통이다” 3점,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으로 점수를 계산 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 노후에 대한 인식과 노후준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도구의 신뢰도는 생활만족도 Cronbach’s alpha=0.877, 노후에 대한 인식 Cronbach’s alpha= 0.862, 신체적 준비 Cronbach’s alpha=0.800, 경제적 준비=0.782, 심리․정서적 준비 Cronbach’s alpha=0.842로 나타났다. 노후준비 전체 문항 신뢰도는 Cronbach’s alpha=0.869였다.

3. 자료분석

본 연구의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2.0 (SPSS Inc., Chicago, IL, USA)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대상자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도, 노후에 대한 인식, 노후준비의 차이는 t-test, one way ANOVA를 사용하였고, Tukey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생활만족도, 노후에 대한 인식 및 노후준비 간의 관련성은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를 이용하였다.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생활만족도, 노후에 대한 인식 및 노후준비

대상자의 생활만족도, 노후에 대한 인식 및 노후준비는 <Table 1>과 같다. 대상자의 생활만족도는 3.12점, 노후에 대한 인식은 4.07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노후준비 하위항목으로는 신체적 준비 3.01점으로 가장 낮았고, 경제적 준비 3.13점, 심리․정서적 준비 3.82점 순으로 높았다.

Table 1. Life satisfaction, awareness of old age and preparation for old age (N= 246)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170512_image/Table_KSDH_17_05_12_T1.jpg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도와 노후에 대한 인식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도와 노후에 대한 인식은 <Table 2>와 같다.

Table 2. Life satisfaction and awareness of old ag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N=246)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170512_image/Table_KSDH_17_05_12_T2.jpg

a,bdenotes the same sub group by Tukey test

*by t-test or one-way ANOVA

생활만족도는 연령, 결혼상태, 학력, 근무경력, 월 평균 수입, 부동산 소유, 자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연령에서는 36세 이상(3.44점), 결혼 상태에서는 기혼(3.35점), 학력에서는 대학원(3.54점), 근무경력에서는 10년 이상(3.38점), 부동산 소유한 경우(3.44점), 2명 이상의 자녀를 가진 경우(3.49점)에서 높았으며(p<0.001), 월 평균 수입에서는 200만원 이상에서 높았다(p<0.01).

노후에 대한 인식에서는 학력, 주당 근무시간, 월 평균 수입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학력에서는 대학원(4.25점)에서 노후에 대한 인식이 높았고(p<0.001), 주당 근무시간에서는 40시간 이하(4.10점), 월 평균 급여에서는 200만원 이상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후준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후준비는 <Table 3>과 같다. 노후준비 하위항목으로 신체적, 경제적, 심리․정서적 준비로 나누었을 때 신체적 준비에는 연령, 학력, 근무경력, 월 평균 수입, 자녀수에서 차이가 있었다(p<0.01). 연령은 36세 이상(3.24점), 학력은 대학원(3.32점), 근무경력은 10년 이상(3.19점), 월 평균 수입은 200만원 이상(3.13점), 2명 이상 자녀가 있는 경우(3.27점) 신체적 준비 점수가 높았다.

Table 3. Preparation for old ag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N=246)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170512_image/Table_KSDH_17_05_12_T3.jpg

a,bdenotes the same sub group by Tukey test

*by t-test or one-way ANOVA

경제적 준비에는 연령, 결혼상태, 학력, 근무경력, 근무형태, 월 평균 급여, 부동산 소유, 자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연령은 36세 이상(3.51점), 결혼 상태는 기혼(3.42점), 학력은 대학원(3.32점), 근무경력은 10년 이상(3.45점), 월 평균 수입은 200만원 이상(3.41점), 부동산 소유(3.47점), 자녀수가 2명 이상인 경우 경제적 준비가 높았다(p<0.001). 근무형태는 정규직(3.17점)인 경우 경제적 준비 점수가 높았다.

심리․정서적 준비에는 학력, 주당근무시간, 월 평균 수입, 부동산 소유에서 차이를 보였다(p<0.05). 학력은 대학원(4.09점), 주당근무시간은 40시간 이하(3.86점), 월 평균 수입은 200만원 이상(3.95점), 부동산을 소유(3.97점)한 경우 심리․정서적 준비가 높게 나타났다.

4. 생활만족도, 노후에 대한 인식 및 노후준비와의 상관관계

생활만족도, 노후에 대한 인식 및 노후준비 간의 관련성 분석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생활만족도는 노후에 대한 인식(r=0.306, p<0.001), 신체적 준비(r=0.392, p<0.001), 경제적 준비(r=0.361, p<0.001), 심리 정서적 준비(r=0.539, p<0.001)와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 노후에 대한 인식은 신체적 준비(r=0.185, p<0.01), 경제적 준비(r=0.238, p<0.001), 심리․정서적 준비(r=0.397, p<0.001)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신체적 준비는 경제적 준비(r=0.462, p<0.001), 심리․정서적 준비(r=0.454, p<0.001)와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경제적 준비와 심리․정서적 준비의 관계는(r=0.326, p<0.001)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Table 4. Correlation between life satisfaction, awareness of old age and preparation for old age        (N=246)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170512_image/Table_KSDH_17_05_12_T4.jp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p<0.01,**p<0.001

5. 신체적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신체적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신체적 준비를 종속변수로 하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생활만족도와 노후에 대한 인식을 독립변수로 하여 분석한 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6.6%, 수정된 설명력은 16.1%이었다. 생활만족도가 높은 관련성을 보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생활만족도가 높을수록 신체적 준비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5.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lated factors of physical preparatione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170512_image/Table_KSDH_17_05_12_T5.jpg

1) Dependent variables: physical preparation

2) Excluded variables: age, education1 (university=1), education2 (graduate=1), working career1 (5∼9 years=1), working career2 (10 years above=1), income, number of children1 (1=1), number of children2 (2 above=1), awareness for old age

6. 경제적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제적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경제적 준비를 종속변수로 하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생활만족도와 노후에 대한 인식을 독립변수로 하여 분석한 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8.5%, 수정된 설명력은 26.9%이었다. 생활만족도(p<0.05)와 노후에 대한 인식(p<0.01)이 높을수록, 10년 이상의 경력(p<0.01), 2명 이상 자녀를 가지고 있을 때(p<0.05) 경제적 준비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6.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lated factors of economic preparation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170512_image/Table_KSDH_17_05_12_T6.jpg

1) Dependent variables: physical preparation

2) Excluded variables: age, marital status (single=0, married=1), education1 (university=1), education2 (graduate=1), working career (5∼9years=1), working status1 (contact worker=1), working status2 (part time=1), income, estate (yes=0, no=1), number of children (1person=1)

7. 심리․정서적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심리․정서적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심리․정서적 준비를 종속변수로 하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생활만족도와 노후에 대한 인식을 독립변수로 하여 분석한 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38.6%, 수정된 설명력은 37.9%였으며, 생활만족도와 노후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심리․정서적 준비를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Table 7.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lated factors of psycho-emotional preparation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170512_image/Table_KSDH_17_05_12_T7.jpg

1) Dependent variables: physical preparation

2) Excluded variables: education1 (university=1), education2 (graduate=1), income, estate (yes=0, no=1), working hours (40 times below=0, 40 times above=1)

총괄 및 고안

노년기는 쇠퇴기라기 보다는 자신의 삶을 더욱 의미 있게 만들고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기회의 시기이다[7]. 노년기를 의미 있고 건강하게 보내기 위해서는 젊었을 때부터 노년기를 대비한 계획과 준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들의 생활만족도와 노후에 대한 인식이 노후준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생활만족도, 노후에 대한 인식, 노후준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 근무경력과 월 평균 수입이 높을수록, 기혼, 대학원 이상의 학력, 부동산 소유와 2명 이상 자녀를 가진 경우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12]의 연구에서는 개인 소득은 양의 효과를 가지고, 연령이 증가하는 경우 생활만족도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U자 형태의 비선형 효과를 보였으며, 기혼, 자기 소유의 집을 보유한 경우, 15세 이하 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조와 배[13]의 연구에서도 고학력, 고소득, 전문직일수록 생활만족도가 큰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와 맥락을 같이 했다. 결혼으로 인해 외로움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고, 자녀가 많을수록 양육 부담은 느끼지만, 키우는 과정에서 갖게 되는 긴밀한 관계가 오히려 생활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보여지며, 부동산을 소유한 경우 이사, 월세, 전세금 인상 등의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안정감을 가질 수 있어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치과위생사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에 대한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노후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대학원 이상, 주당 근무시간이 40시간 이하인 경우와 월 200만원 이상 수입이 있는 경우 노후를 더 잘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과 우[1]의 연구에서 학력이 높을수록 치과위생사들의 노후 준비에 따른 의식이 높다고 하였다. 학력이 높은 사람일수록 정보와 지식의 습득이 많게 되고, 이는 노후를 잘 인식하는 계기가 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교육수준은 생애과정에서 전반적으로 부를 예측하는 요인[14]으로 수입이 많을수록 경제적인 여유가 생기게 되고, 근무시간이 적을수록 시간적 여유가 있게 되므로 이는 당연한 결과로 보여진다.

노후준비 하위항목을 신체적, 경제적 및 심리․정서적 준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연령, 학력, 근무경력과 월 평균 수입이 많을수록, 자녀가 2명 이상, 기혼, 정규직으로 근무, 부동산 소유, 주당 40시간 이하로 근무하는 경우 노후준비를 잘하고 있었다. 임상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이와 이[15]의 연구에서도 연령이 많을수록, 부양가족이 있는 경우 신체적 노후대책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최와 최[16]의 연구에서도 연령과 자녀수가 많을수록, 배우자가 있는 경우 신체적 노후준비를 잘하고 있었다. 또한 보건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한 이[9] 등의 연구 결과 연령, 근무경력, 수입이 높을수록 신체적 준비를 잘 하고 있어 본 연구와 유사하였다. 이와 이[15]의 연구에서도 연령, 교육 정도, 근무기간과 연봉이 높을수록 기혼, 부양가족이 있는 경우 경제적 노후대책 정도를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최와 최[16]의 연구에서도 학력, 월평균 수입, 자녀수가 많을수록, 배우자가 있는 경우 경제적 준비를 잘하고 있어 본 연구를 뒷받침 해주고 있다. 강[17]의 연구에서도 학력이 높을수록 정서적 준비를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와 이[18]의 연구에서 학력이 중졸보다 대졸에서 노후준비 수준이 높았고, 주거 자가 소유자들이 사회․정서적 노후준비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노후준비 하위항목 모두 학력과 월 평균 수입이 높을수록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대상자의 생활만족도, 노후에 대한 인식과 노후준비 하위 항목간의 관련성에서는 생활만족도, 노후에 대한 인식, 신체적 준비, 경제적 준비, 심리․정서적 준비 모두 상호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를 통해 생활만족도가 높고 노후에 대한 인식도가 높을수록 노후 준비와 관련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생활만족도와 노후 준비에 대한 하위 항목인 심리․정서적 준비에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생활만족도가 높을수록 심리․정서적으로 안정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으로 보여 진다.

노후 준비 하위항목 신체적 준비, 경제적 준비 및 심리․정서적 준비를 종속변수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생활만족도, 노후에 대한 인식을 독립변수로 하여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생활만족도가 노후준비 하위항목 모두와 관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만족도는 일시적인 경험이지만,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들은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친다[12]. 따라서 생활만족도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또한 노후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경제적 준비와 심리․정서적 준비와 관련이 있었으며, 경력이 많고 자녀를 많이 가진 경우 경제적 준비를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과위생사의 노후준비를 잘 할 수 있기 위해서는 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인들을 주시할 필요가 있고, 결혼과 출산 후에도 장기간 근무할 수 있도록 근무환경이 개선되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일부 도시의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편의표본 추출하여 조사 하였으므로 결과를 일반화하기엔 제한점이 있다. 추후 대표성 있는 표본을 추출하여 연구대상의 범위를 확대 조사할 필요가 있고, 풍요로운 노후 준비를 위한 복지정책과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할 필요가 있다.

결 론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들의 생활만족도, 노후에 대한 인식 및 노후준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서울, 경기, 인천지역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246명을 대상으로 최종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치과위생사의 생활만족도는 평균 3.12점 이었고, 노후에 대한 인식은 평균 4.07점이었다. 노후준비를 하위요인으로 나누었을 때 심리․정서적 준비 평균 3.82점, 경제적 준비 평균 3.13점, 신체적 준비 평균 3.12점 순으로 나타났다.

2. 생활만족도에는 연령, 결혼상태, 학력, 근무경력, 월 평균 수입, 부동산 소유, 자녀수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노후에 대한 인식에는 학력, 주당 근무 시간, 월 평균 수입에 차이를 보였다.

3. 노후준비를 하위영역으로 나누었을 때 신체적 준비에는 연령, 학력, 근무경력, 월 평균 수입, 자녀수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경제적 준비에는 연령, 결혼상태, 학력, 근무경력, 근무형태, 월 평균 수입, 부동산 소유, 자녀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심리․정서적 준비에는 학력, 주당 근무시간, 월 평균 수입, 부동산 소유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4. 생활만족도, 노후에 대한 인식, 신체적 준비, 경제적 준비, 심리․정서적 준비 간의 상호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가졌다.

5.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생활만족도가 높을수록 신체적 준비가 높았고, 생활만족도와 노후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10년 이상의 경력, 2명 이상의 자녀를 가지고 있을 때 경제적 준비가 높게 나타났다. 생활만족도와 노후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심리․정서적 준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치과위생사의 노후준비를 잘 할 수 있도록 생활만족도와 노후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할 필요가 있고, 노후와 관련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해 줄 필요가 있으며 이를 제공해줄 수 있는 연계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References

1 Shim YS, Woo HS. Preparation for old age of dental hygienists. J Korean Soc Dent Hyg 2015;15(2):179-88. https://doi.org/10.13065/jksdh.2015.15.02.179 

2 Kim MY, Kim SJ, Kim JH. Preparation for old age life of dental hygienists. J KoCon A 2014;14(8):250-6. https://doi.org/10.5392/JKCA.2014.14.08.250 

3 Kim HJ.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viding care for grandchildren and subjective perceptions of aging among the middle and old aged people: comparisons between female and male. KJGSW 2016;71(2):299-320. 

4 Jang MY, Jung EY, Kim EY.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preparation for old age, aging anxiety on the depression in middle aged men. KSFEA 2014;16(1):493-505. 

5 Park BR, Shin JI. A study on preparation for elderly life of hospital worker. KAFA 2012;4(2): 79-89. 

6 Rowe JW, Kahn RL. Successful aging. Aging 1998;10(2):142-4. 

7 Lee SH, Moon MJ. The relationship of life satisfaction, health behaviors and successful aging in the elderly. J Korean Pubilc Health Nurs 2012;26(2):204-14. https://doi.org/10.5932/ JKPHN.2012.26.2.204                  

8 Kim SD, Lee YK, Lee JW. A paper of the perception of some dental hygienists regarding old life after retirement and occupations. J Korean Acad Dent Hyg 2010;12(2):97-108. 

9 Lee SM, Jang JH, Hwang CJ. The effect of preparation toward retiremen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ublic health dental hygienists. KCGR 2015;19(2):93-108. 

10 Ko DY.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living satisfaction among retired and pre-retired officials : focusing on married life, subjective health, and social network[Doctoral dissertation]. Yongin: Univ. of Kangnam, 2014. 

11 Hur HJ, Kwon YC. A study of convergence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turnover intention and retirement plans of hospital nurs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5;13(8):337-44. https://doi.org/10.14400/JDC.2015.13.8.337 

12 Kang SJ. The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life-satisfaction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Economic Studies 2010;58(1):5-36. 

13 Cho TH, Bae MK. Study of the factors determining life satisfaction of local residents in chungbuk province. J Korea Contents Assoc 2017;17(5):591-601. https://doi.org/10.5392/ JKCA.2017.17.05.591 

14 Jeon GY, Bae MJ. Study on the perception and behavior for preparing their old age. J Korean Home Manage Assoc 2010;28(1):13-24. 

15 Lee MS, Lee JH. Attitudes toward aging and retirement planning of clinical nurses. J Korean Pubilc Health Nurs 2013;27(1):129-41. https://doi.org/10.5932/JKPHN.2013.27.1.129 

16 Choi MH, Choi SI. Relations among personal,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preparation for the old age-focused on the workers in the banwol·siwha industrial complex. J Korea Contents Assoc 2012;12(6):249-64. https://doi.org/10.5392/JKCA.2012.12.06.249 

17 Kang I. Perceptions of successful aging and preparations for the later life among the baby boom cohort. J Korea Contents Assoc 2016;16(9):460-72. https://doi.org/10.5392/JKCA.2016. 16.09.460 

18 Lee SA, Lee SR. A comparison of the preparation for the old age life between the self employed and wage workers in Korea.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Administration Studies 2016;30(1):2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