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areer competency, task and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 Focusing on public officials, public institution workers, and researchers

Research
정소현 So-Hyeon Jeong남상희 Sang-Hee Nam박지현 Ji-Hyeon Park신은지 Eun-Ji Shin오나원 Na-Won Oh유하림 Ha-Rim Yu김설희 Seol-Hee Kim*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areer competency, tasks, and job satisfaction of public servants, public institutions, and researchers.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about career competency, job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on work life. Next, they interview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job by two or three dimension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rom July to August 2017. Results: Career competencies were GPA with 3.87, 818 points of TOEIC score, and ITQ certification. Public servants required the information on literacy skills for employment and job performance, while civil servants need more than one year of clinical experience in the dental hospital. The non-commissioned officer needed a written test and fitness training.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center required more than one year of experience from general hospital or medical institutions. Researchers required a research career, language skill, and professors required research and teaching experiences with clinical experience more than three years. The main job tasks were as follows; for public servants, they were official document processing and community projects. For the civilian workers and military/noncommissioned officers, they were medical assistant and administrative works. The employees of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are examining the medical expenses and the medical examination, the researchers are experimenting, researching and writing articles, and the teaching staff are lecturing and conducting individual research. Conclusions: The results of job satisfaction survey showed that occupational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in civil servants, researchers, and teaching professions. Job security was the highest in health workers and health inspectors' evaluation centers, and time vacancy was the highest in civilian workers and military/noncommissioned officers. If you want to work in such an institution, you should prepare elements that match your basic literacy and job specific characteristics. And we should try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work even after work.

Keyword



서론

글로벌 경기침체로 청년실업은 전 세계적 문제이며, 우리나라의 청년(15-29세) 취업률은 40% 수준으로 매년 하락추세이다[1]. 취업률이 낮은 원인은 고학력자 청년들이 중소기업보다는 대기업, 안정적인 공무원과 공공기관 취업을 희망하고, 취업의사는 있으나 더 나은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취업하지 않는 기회추구형 청년들이 증가되고 있기 때문이다[2]. 대학생의 취업률을 분석한 결과 계열별로 의약계열이 83.4%로 가장 높았고, 공학계열 73.4%, 사회계열 64.7%, 자연계열 63.7%이 그 뒤를 이었다[3]. 의약계열은 다른 계열에 비해 취업률이 높은 편이지만 임상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의 경우 업무 비표준화로 인한 고유 업무 미수행, 긍정적 직업관의 결여, 근무조건과 직무 불만족 등으로 빈번한 이직이 발생되고 있으며, 안정적이고 보수의 공정성이 보장되는 근무환경과 자기성장성을 갖춘 기관에 취업 하려는 희망자가 증가되고 있다[4].

치과위생사는 의료기관뿐만 아니라 공공기관, 연구기관, 교육기관 등 다양한 직종에 취업을 하고 있다. 1979년 공중보건치의사활용제도 적용 후 1986년에 치과위생사는 보건소에 배치되었고 우리나라 보건소 구강보건실의 주요 인력으로 지역사회 주민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구강보건교육, 구강보건사업 기획과 수행, 행정업무를 담당하고 있다[5]. 군에서는 군인들의 보건의료 개선 요구에 부응하여 전문화된 군보건의료 인력을 지속적으로 확충하였고 특정직 국가공무원으로서 육, 해, 공군에서 치무군무원을 채용하고 있다[6]. 치무군무원의 경우 구강질환 예방과 위생에 관한 업무를 담당할 수 있는 치과위생사를 채용하고 있으며, 제한경쟁을 통한 공무원 선발과 복지혜택[7]으로 매년 선호도가 높아지는 직업으로 자리 잡고 있다. 또한 2007년 이후 육군에서는 장병들의 구강건강증진 및 군의무 발전을 위해 치과위생사 부사관을 선발하고 있으며, 부사관은 부대의 전통을 유지하고 명예를 지키는 간부로써 법규준수와 명령이행을 감독하고 교육훈련과 병영생활을 지도하며 병의 신상을 파악하여 선도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8]. 부사관은 안정된 직장보장, 다양한 복지혜택, 20년 이상 복무 후 전역 시 연금혜택 등이 제공되고 있다[9].

치위생 학문의 발전을 위해 2002년 4년제 교육과정이 개설된 이후 28개 대학에서 학사학위 과정을 운영하고 전문대학에서 전공심화과정을 통한 학점은행제를 시행하여 학업 및 업무역량 강화를 위한 성장을 이루고 있다. 학사 학위자 일부는 구강보건학, 치의학, 의료경영학 등 석ㆍ박사 과정을 이수하여 우리나라 치위생계의 교육 및 학문 연구를 수행하면서 전문가로서의 영역을 넓히고 있다[10]. 4년제 학사학위자의 대학원 진학은 치위생학뿐만 아니라 치의학, 의학, 보건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자로 활동하는 배경이 되고 있으며, 일부는 교직에서 교육과 연구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현재 치과위생사는 치과병의원뿐만 아니라 공무원, 군무원, 부사관, 공공기관, 보건복지부와 산하기관, 연구직, 교직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국민의 건강권과 보건의료정보 제공 주체자로써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리고 취업을 준비하는 치위생학과 졸업생 및 임상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의 취업 희망기관으로 부각되고 있다. 대다수의 취업준비자는 인터넷 정보검색을 통해 취업정보를 취득하지만 부정확한 지식을 얻을 수 있고[11] 그 내용이 제한적이어서 보건직, 공공기관, 연구직에 취업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갖추어야 할 역량과 취업 후 담당하게 될 업무, 근무자의 만족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획득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건직공무원, 공공기관(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군무원, 부사관, 연구직, 교직에 종사하는 치과위생사의 경험을 토대로 취업 전 갖추어야 할 역량, 채용과정을 중심으로 담당업무, 근무만족도를 조사하여 다양한 분야에 진출하고자하는 치과위생사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

연구는 K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IRB File NO. 2017-052)을 받은 후, 2017년 7월부터 2017년 8월까지 보건직공무원, 공공기관(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군무원, 부사관, 연구직, 교직에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자 모집은 기관을 목적표출한 후 최근 취업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기관내 종사자 중 치과위생사 면허취득이 10년 이내인 대상자 중 조사에 동의한 치과위생사를 최종선정 하였으며, 기관별 각 2-3인 총 14인을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자에게는 연구 목적을 설명하였고 참여과정 중 언제든지 자발적으로 참여를 중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어떤 불이익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또한 자료는 익명으로 처리되며, 결과는 연구 외의 목적으로 활용하지 않을 것을 설명하였다. 심층면접 과정 중 참여를 중단한 4인을 제외한 10명을 최종대상자로 분석하였다.

2. 연구방법

취업기관별 갖추어야 할 역량, 담당업무, 만족도 요인을 중심으로 주제, 하위주제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직종별 공통적 조사항목을 구성하여 1차 온라인 설문조사 하였으며 연구 내용은 취업 전・후 필요역량, 담당업무, 직무・복지・고용 만족도이었다. 구조화된 면접지 구성은 개방형과 폐쇄형 문항을 작성하였으며, 개방형 문항의 경우 연구자 개인의 편견이나 주관성을 상쇄하기 위해 공동연구자와 상호의견교환을 통해 신뢰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1차 설문결과 전사된 자료를 토대로 연구내용을 비교분석하였고 보건직, 공공기관, 연구직 취업에 관한 자료를 정리한 후 개방형 면담조사지를 작성하여 2차 조사를 시행하였다. 2차 조사는 실질적 취업역량과 취업준비과정, 근무경험, 제언사항에 관한 사실적 경험을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자 경험의 의미와 구조가 완성될 때까지 자료수집과 분석을 순환적으로 반복하는 질적연구를 적용하였다. 연구자는 면담과정을 학습 한 후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자료 분석의 공통성 유지 및 결과의 비교분석을 하였으며 연구대상자에게 추가 면담하여 경험이 잘 반영되었는지를 확인하였다. 면담내용은 메모하여 원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별 1-3차 조사를 시행하였다.

3. 분석방법

자료 분석방법은 이 등의 연구[12]에서 제시한 질적 연구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으로 본 연구의 특성을 고려하여 분석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조사과정을 재구성 하였다. 첫째, 기존 질적 연구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은 진술문장을 분류하고 재구성 단계를 거친 후 주제, 하위주제를 조직하였으나 본 연구는 연구목적을 중심으로 주제, 하위주제를 선조직한 후 대상자의 진술문장을 분류 및 재구성하였으며, 조사내용을 반복적으로 분석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자들의 진술 문장을 분류, 재구성하였다. 추상적 의미는 재면담을 통해 의미전달력을 높였으며 직종별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취업 전・후 필요역량, 직무・복지・고용 만족도는 기술통계 분석하였으며 직종별 담당업무, 실질적 취업역량, 취업준비과정, 근무경험과 제언사항 탐색은 포괄적으로 기술하여 결과를 작성하였다.

연구결과

1.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는 보건직공무원, 공공기관(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군무원, 부사관, 연구직, 교직 총 10명이었다. 성별은 남성 2명, 여성 8명이었고, 나이는 평균 26.5세 이었으며, 최종학력은 대학교 졸업 6명, 대학원 석・박사 4명이었다. 현 직장경력은 평균 2년 이었고, 임상경력은 평균 3년 이었다. 근무시간은 주 5회, 40시간 이상 근무자가 5명 이었으며, 급여는 151-250만원이 6명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Table 1>.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ccupational category

Gender

Age

Degree

Service

career

Clinical

career

Working

Pay

hour

1

Public official

Female

26

Bachelor

2Y 9M

3M

5/W

40+

151-250

2

Public official

Female

23

Bachelor

9M

-

5/W

40+

151-250

3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Female

26

Bachelor

1Y

3Y

5/W

40+

151-250

4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Female

28

Bachelor

9M

5Y

5/W

40+

251-350

5

Civilian worker in the

military

Female

28

Bachelor

1Y 8M

5Y

5/W

40+

151-250

6

Noncommissioned

Male

26

Bachelor

3Y

-

5/W

40+

151-250

officer

7

Researcher

Female

26

Master

2Y 1M

-

5/W

40+

351-450

8

Researcher

Male

31

Doctorate

5Y

-

5/W

40+

-

9

Professor

Female

28

Doctorate

1Y 6M

-

5/W

40+

151-250

10

Professor

Female

28

Doctorate

6Y

2Y

5/W

40+

151-250

*Service career(Y=year, M=month), working hour(W=per week)

2. 취업 전 ・후 필요역량

조사대상자의 평균학점은 3.82이었고, 7인의 TOEIC 평균점수는 815점이었으며, ITQ 3개 자격증(한글, 파워포인트, 엑셀) 취득자는 9명이었다<Table 2>.

Table 2. Employment capability

No

Grade

Toeic

ITQ

Excel

Word

Power poinet

1

3.30

-

2

4.18

-

3

3.80

800

4

3.40

720

5

3.80

-

 

 

6

3.50

750

7

4.10

850

8

4.40

970

9

3.80

800

10

3.90

-

직종별 취업 전 필요역량 심층조사 결과 보건직 종사자는 ‘치과위생사 면허, 정보소양자격증인 엑셀, 한글 자격증 취득’,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종사자는 ‘임상경력, 종합병원 이상 요양기관의 임상경력 또는 진료비 심사기관 1년 이상의 경력, 필기시험(NCS) 및 토론 면접 준비’, 군무원 종사자는 ‘치과병의원 임상경력 1년 이상과 필기시험 및 면접 준비’, 부사관 종사자는 ‘필기시험, 체력단련’ 이라고 하였다. 연구직 종사자는 ‘석˙박사 학위취득, 연구경력, 어학능력’, 교직 종사자는 ‘석・박사 학위취득, 병원 임상경력, 전공 관련 임상적 지식, 컴퓨터 활용능력, 기존 연구와 향후 연구 계획안 및 연구동향 관찰’ 이였다.

직종별 취업 후 필요역량 심층조사 결과 업무수행을 위해 갖추어야 할 역량으로 보건직 종사자는 ‘책임감과 성실성, 민원인 응대를 위한 의사소통능력, 행정업무처리능력, 엑셀활용능력’,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종사자는 ‘끊임없이 학습하는 자세, 임상적 지식 활용 능력, 보고서 작성능력, 컴퓨터 활용능력, 통계처리 능력’ 이라고 하였다. 군무원 종사자는 ‘대인관계능력’, 부사관 종사자는 ‘리더십, 체력, 정신력’, 연구직 종사자는 ‘실험 계획, 수행력, 발표력, 외국어, 의사소통능력, 전공분야 역량, 통계 작업능력’ 이었고, 교직 종사자는 ‘발표능력, 전공 전문적 지식 및 이해력, 리더십’이 요구된다고 하였다.

3. 직종별 주업무 및 업무 만족도

직종별 근무기관 주업무 심층조사결과 보건직 종사자는 ‘공문서처리, 민원처리, 지도점검, 업무보고, 주민교육 홍보, 암환자 의료비 지원사업, 국가암 관리사업, 지역사회건강조사 등’ 이었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종사자는 ‘요양기관비용심사, 적정성 기준초과기관 방문지도, 진료비 확인요청 민원처리, 요양기관 진료경향 분석, 치과 보험청구 관련 전화문의 응대, 진료비심사, 의료질 평가, 비급여 진료비 확인, 재료관리, 의약품관리, 현지조사, 환자분류체계 개발 등’ 이었다. 군무원 종사자는 ‘진료보조업무, 행정업무, 구강보건교육 등’, 부사관 종사자는 ‘치과위생사 임상업무, 구급법 교육, 행정업무 등’, 연구직 종사자는 ‘세포, 동물실험, 데이터 정리 및 발표, 연구논문작성, 기존 연구와 향후 연구 계획안 및 연구동향 관찰 등’, 교직 종사자는 ‘강의, 개인연구, 정부과제관리, 연구 기자재 관리 등’ 이라고 하였다.

직종별 업무만족도 심층조사결과 직종별 만족, 불만족 사항은 다음과 같았다. 보건직 종사자는 ‘전문분야 역량강화, 담당업무 법령과 행정절차에 관한 끊임없는 학습 필요, 의료기술직으로써 행정직과 비교시 제한적 업무수행’ 이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종사자는 ‘요양기관과 국민 사이 중간역할 수행의 자부심, 업무량 및 업무강도, 업무 전문성, 책임감, 과도한 업무량, 심사평가 이외 다양한 업무의 전문성 확보 필요’ 라고 하였다. 군무원 종사자는 ‘치위생 전공 업무수행, 임상 의료기관 대비 안정적 업무수행, 과도한 행정업무’ 이었고, 부사관 종사자는 ‘간부로써 명령이행 및 감독, 교육훈련, 병영생활 지도, 병의 신상파악, 안전사고 예방업무’, 연구직 종사자는 ‘학업 가능한 인프라 구축, 연구를 위한 학습, 개인능력별 주체적 연구’, 해외 연구직 종사자는 ‘다양한 인종, 국적의 사람들과 협력적 업무수행’ 이었으며, 교직 종사자는 ‘지식 전달의 전문성 발휘’ 라고 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업무 만족도는 ‘업무수행시 충분한 행정지원’이 4.67점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능력 발휘’ 4.33점, ‘업무수행의 기회’ 4.11점 이었으며, ‘업무량 만족’이 3.60점으로 가장 낮았다<Table 3>.

Table 3. Job satisfaction by job type

Business satisfaction

Mean

Workload

3.60

Opportunity to perform

4.11

Ability to do business

4.33

Enough time to complete the task

4.00

Sufficient administrative support

4.67

4. 직종별 복지, 고용안정성, 보수, 행정, 여가시간의 만족도

조사대상자의 복지 만족도는 ‘출산 및 육아 휴직지원’, ‘충분한 휴식공간’이 3.80점 이었고 고용안정성은 ‘안정적인 직무’, ‘장기근속’이 4.50점 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고용정책 안정성’이 4.40점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보수・승진 만족도는 ‘경력과 능력에 따른 충분한 승진 기회’가 3.90점으로 높게 조사되었으며, ‘능력 대비 보수의 적정성’이 3.20점으로 낮게 나타났다. 행정 만족도는 ‘기관정책과 규정 만족’이 4.20점 이었고 ‘정책 수행시 의견 개진’은 3.90점 이었다. 여가시간 만족도는 ‘충분한 점심시간’, ‘ 휴가’ 등이 4.20점으로 높게 조사되었으며 ‘여가시간’은 3.50점으로 낮게 조사되었다<Table 4>.

Table 4. Welfare satisfaction, pay & promotion satisfaction, employment stability, administration, satisfaction of leisure time by job type

Characteristics

Division

Mean

Welfare satisfaction

Retirement benefit system

3.30

Support for childbirth and parental leave

3.80

Well-being benefit plan

3.70

Rest area

3.80

Mean

3.65

Pay & promotion satisfaction

Appropriateness of salary

3.20

Salary increase rate

3.30

Promotion opportunity

3.90

Overtime allowance

3.70

Mean

3.53

Employment stability

Job stability

4.50

Employment policy stability

4.40

Long-term service hope

4.50

Mean

4.47

Administration satisfaction

Reasonable organization

4.10

Opinion on institutional policy

3.90

Institutional policy, regulation

4.20

Mean

4.07

Satisfaction of leisure time

Vacation time

4.20

Free time

3.50

Time to work

3.90

Enough lunch time

4.20

Mean

3.95

직종별 복지, 고용안정성, 보수, 행정, 여가시간의 만족도 심층조사결과 장단점으로 보건직 종사자는 ‘정확한 근무시간, 급여 및 수당의 명확한 지급, 주도적 업무 수행, 안정적, 육체적 피로도 낮음, 재난, 비상 상황시 주말 출근’ 이라고 하였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종사자는 ‘육아휴직 등 복리후생, 직업 안정성, 잔업으로 인한 야근, 비상근무 당직이 필수적’ 이라고 하였고, 군무원 종사자는 ‘연금, 육아휴직 3년 보장, 안정적 직업 및 연금, 임상의료기관 대비 업무 부담 경감, 주 5일제 및 휴가 보장, 군대 조직 적응의 어려움, 부사관 종사자는 ‘평생직장이 가능함, 20년 근무시 연금지급, 계급사회의 단점, 군부대 특성상 자유롭지 못함, 시설이 현대적이지 않음’이었다. 연구직 종사자는 ’기대 이상의 대우, 자유로운 휴가 선택, 실험계획에 따른 유동적 시간활용, 직위 상관없는 수평적 관계, 석사, 박사 학위에 따른 승진 제한’이었고, 교직 종사자는 ‘우수 업무 환경’이였다.

5. 직종별 취업을 위한 제언사항

조사대상자들이 직종별 취업희망자에게 전하는 제언사항 심층조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 보건직 종사자 >

- 치과위생사로서 업무 및 역량발휘 측면의 이점: 의료기술직 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이 되고, 가산점이 부여된다

- 직급 승진 방법: 지자체별로 다를 수 있으나 근무기간, 근무평정 점수에 따라 승진한다.

- 현 직종의 미래 비전: 공무원이 갖는 직업의 안정성, 복지 등의 장점이 변함없을 것 같다.

- 추후 계획: 추후 치위생학과 전공을 살려 구강보건업무를 담당하여 국민들에게 도움이 되는 사업을 기획하여 이루어보고 싶다.

- 후배들을 위한 조언: 의료기술직 치과위생사로 임용되더라도 전공이외 업무수행을 할 수 있다. 특히 엑셀 작업이 많으니 엑셀활용법은 잘 배워두고, 임상근무 등 많은 경험을 쌓고 공무원을 시작하는 것을 권장한다. 성실성, 판단력, 신중함, 친화력을 갖출 필요가 있다.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 취업준비 및 채용과정: 1차 서류전형으로 종합병원 임상경력이나 심사기관 경력이 필수사항이고, 한국어능력시험, 한국사시험, 워드나 컴퓨터 활용능력은 가산점이 있다. 2차 필기시험은 NCS 직무능력검사, 인성검사이고 3차는 인성면접, 심층면접이 있다. 필기시험과 면접 준비는 서울 학원에서 단기 수강하는 분들도 있던데 지방에서 임상 의료기관 근무 중에 취업을 준비해서 학원은 다니지 않고 관련 문제집을 많이 풀었다. 면접은 예상 질문을 만들어서 실전처럼 연습을 했다. 면접은 다른 기관과 유사하게 일반 상식, 최근 이슈, 건강보험제도에 관한 문제, 열린 질문들이 있는데 면접내용은 유출되지 않아야 하므로 자세한 사항은 이야기 할 수 없다. 심층 면접의 경우는 한 가지 주제를 10분의 시간을 주고 의견을 브리핑하였다. 주로 보건의료 관련 질문, 짧은 시간 문제해결력을 보기 위한 것이였다.

- 치과위생사로써 업무 및 역량발휘 측면의 이점: 치과 심사의 전문성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전공지식을 갖추면 업무수행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고 심사, 평가, 전산개발 등에 이점이 있다. 심사직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나 보험공단에서 중요 직종이며 치과위생사 면허가 큰 장점이다.

- 직급 승진 방법: 입사 시 행정직, 전산직, 심사직 세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행정직, 전산직은 6급 주임, 심사직은 5급 대리부터 시작한다. 행정직, 전산직은 진급을 해야 대리가 되지만 심사직은 대리부터 시작을 할 수 있는 메리트가 있다.

- 현 직종의 미래 비전: 요양급여비용을 심사하는 공공기관으로 고령화 사회 등으로 인한 요양기관 수요 증가는 기관의 필요성 증가로 이어질 테니 전망이 밝다고 생각한다.

- 추후 계획: 현재 주 업무인 1차 심사 외에도 현지 방문 조사, 수가개발 등 타 부서 업무도 경험하여 전문성을 갖춘 심평원의 중요한 일원이 되고 싶다.

- 후배들을 위한 조언: 치과위생사를 채용하고 싶어도 자격이 안되서 채용하지 못한 사례가 있었다. 대학생활 중 많은 준비를 하고 2-3차 기관에서의 임상적 경험, 한국사 등의 자격을 갖추어서 역량발휘를 하길 바란다. 적극성, 긍정적 마인드를 갖추는 것도 좋을 것 같다.

< 부사관 >

- 취업준비 및 채용과정: 부사관 필기시험, 체력검정, 면접 준비를 잘해야 한다. 치과위생사 면허의 가산점, 남학생의 경우 군복무 대체로 부사관을 선택하면 필수 4년을 군무하고 4년 지나 장기 선발되면 평생직장이 될 수 있고, 전역하고 싶으면 자신의 길을 찾아갈 수 있다.

- 치과위생사로써 업무 및 역량발휘 측면의 이점: 치과위생사 업무 외 부사관 업무로는 병사들 사격 교육, 구급법(심폐소생술), 병사기본훈련, 행정업무, 유격˙혹한기훈련 등이 있다.

- 현 직종의 미래 비전: 계약직 근무 후 장기 선발되면 평생직장이 될 수 있고 20년 지나 전역하면 연금이 있다. 한 지역에서 최대 10년 근무하고 이동 신청 할 수 있다.

- 후배들을 위한 조언: 남학생들의 경우 군입대 전 부사관 선택을 생각해보고 체력, 인성, 자신감을 갖추길 바란다.

< 연구직 >

- 취업준비 및 채용과정: 대학원 진학은 관심분야와 연구분야에 맞춰 선택 후 학위과정을 이수하였고, 연구기관에 대한 자료조사(논문검색, 연구성과 검색)를 하였다. 희망하는 기관, 학교들에 대해 지인, 지도교수님 상담, 기관에 직접적으로 전화문의, 메일발송, 직접방문 등을 통해 면담을 하고 개인적인 여건에 맞추어 진학과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는 관련분야의 연구와 지속적 관심을 갖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기관 취업을 위한 준비기간은 석사 2-3년, 박사 3년-10년 정도 학위기간이 소요되고, 개인역량에 따라 다른데 연구경험은 단일연구의 경우 6개월, 다년도 연구는 3년-5년 정도 필요하다.

- 치과위생사로써 업무 및 역량발휘 측면의 이점: 임상과 기초에 대한 복합적인 전공이수로 치과위생사 역량과 업무, 연구 지식을 융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 현 직종의 미래 비전: 치과위생사가 연구원이 되는 기회는 석박사 학위, 연구직으로의 최소기준(영어, 학점 등)이 충족되면 지원이 가능하나 채용인원이 비정기적이고 제한적이다. 개인의 역량에 따라 편차가 크겠지만 연구하는 분야에 따라 희소가치가 있고, 비교적 전망인 직종이라고 생각된다. 다양한 역량을 갖춘다면, 그만큼 비전이 밝은 편이다.

- 추후 계획: 취약계층을 위한 보건정책과 치과위생사들의 업무 범위, 역량증가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일에 관여할 수 있는 역할을 하고자 한다.

- 후배들을 위한 조언: 충분한 탐색과 고민 후에 자신의 적성에 따른 연구분야를 선택하고, 막연한 이상을 갖지는 말되 국내 뿐 아니라 해외로도 눈을 돌려보면 좋을 것 같다. 안정된 선택도 좋지만 어릴 때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선택을 하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진학의 분명한 목적이 있을 것, 최소한의 금전적 준비를 가지고 시작할 것, 본인의 의지로 시작할 것, 영어공부, 구체적인 미래 설계가 필요하다.

< 교직 >

- 취업준비 및 채용과정: 석박사 학위과정을 이수했고, 연구실적이 필요하며, 임상에서 최소 3년 이상의 경력이 필요한 것 같다.

- 치과위생사로써 업무 및 역량발휘 측면의 이점: 전공 전문성 발휘가 가능하고 임상경력을 필수적으로 갖추는 것이 치과위생사로써의 업무수행에 관한 지식전달에 필요하다.

- 현 직종의 미래 비전: 수요는 많지는 않지만 지식전달의 가치있는 직종이라고 생각한다.

- 후배들을 위한 조언: 학점관리, 적극적인 발표, 영어공부, 연구활동, 학회활동, 행정업무 등 다양한 봉사활동, 컴퓨터 활용 능력을 갖추길 바란다. 전공분야의 학문적 지식을 쌓고, 그것을 더욱 연구하며 이해하는 능력을 갖추고, 많은 연구실적, 3년 이상의 임상경력, 기회가 주어지면 강의경력을 많이 쌓으며, 꾸준함과 끈기를 겸비하면 좋을 것 같다.

총괄 및 고안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다양한 취업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임상 의료기관 외의 직종인 공무원, 공공기관, 연구직 등에 종사하는 치과위생사의 경험을 토대로 취업역량, 근무에 필요한 실질적인 역량과 담당업무, 직장생활의 만족도 등을 조사한 결과 직종별 특이사항을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자의 평균 학점은 3.82이었고, 토익응시자 6명의 평균 TOEIC점수는 815점 이었으며, ITQ 자격증은 아래한글·MS워드, 한글엑셀, 한글액세스, 한글파워포인트, 인터넷의 5개 과목중 3개 이상 취득자가 9명 이었다. 학점, 영어점수는 좋은 직장의 취업 가능성을 높이고, 일부 직종에서 토익점수는 임금수준과 정의 관계를 나타내며 자격증은 취업 및 임금인상효과에 영향을 미치지만 직종에 따라 그 효과는 상이하였다[13]. 다양한 기관의 취업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대학생활 중 학점관리와 어학능력 향상, 전공관련 자격증 취득 등 기본기를 갖출 필요성이 있었다.

직종별 업무, 만족도, 특성 분석결과 보건직 공무원은 직무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면접조사 시 직종을 선택한 이유가 안정성, 근무시간, 근무환경이었는데 취업 후 고용만족도가 가장 높게 조사되어 직종선택 시 고려했던 사항이 반영되어 근무 만족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었다. 보건직 공무원의 직무 만족도에 관한 최 등의 연구[14]에서 20대 연령의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사회 초년생들이 취업난으로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안정된 직장을 갖게 됐다는 자긍심과 주당 야근횟수도 주 1-2회 수준이여서 일상 업무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수당이 보상효과가 있어 다른 부분의 만족도가 상쇄되어 선호도가 높은 직종으로 자리매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종사자는 취업준비 과정 중 가장 중요한 요소가 필기시험(NCS) 및 토론 면접 준비라고 응답하였고, 취업 시 필수 역량으로는 임상경력 1년 이며, 업무수행 시 갖추어야할 역량은 임상실무 경험 및 노하우라고 응답하였다. 특히 종합병원급 이상의 임상경력이 요구되어지는 특성 및, 필기시험 등을 충족하기 위한 사전 준비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종사자에게 직종 선택의 이유를 물었을 때 안정성이라고 답변하였고, 실제로 직무 만족도 결과에서 고용안정성이 평균 5.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시간적 여유 만족도 결과 평균 3.6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진료비 심사부서원의 직무만족도 조사결과 심사업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월 급여와 경력과 함께 조직몰입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5]. 심평원 근무자의 경우 야간근무시간이 많은 것이 불만족 요인으로 작용되어 이에 관한 환경적 개선 등이 요구되었다.

군무원 종사자는 취업준비 과정 중 가장 중요한 요소가 필기시험과 면접이라고 응답하였고, 업무 수행 시 갖추어야 할 역량은 대인관계라고 응답하였다. 또한 직종 선택의 이유로는 안정적인 직장이기 때문이라고 하였고, 실제로 직무 만족도 결과에서 고용안정성을 비롯한 전체적인 만족도 결과가 다른 직종보다 높게 나타났다. 군무원은 일반 공무원과 같은 국가공무원이기는 하나 국가공무원법 상 특정직국가공무원으로 법관, 검사, 경찰, 군인 등과 같이 담당업무가 특수하여 자격·신분보장·복무 등에서 국가공무원법 보다 특별법이 우선 적용되는 공무원이다[16]. 또한 우리사회의 안보를 책임지고 국민의 안전한 경제활동과 생활을 보장하는 최전선에 있는 군인의 보건의료서비스를 담당하는 인력으로[6], 지속적인 군 보건의료수준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군의료 환경은 지속적으로 개선될 것이며, 치무군무원 인력도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므로, 군에서 구강병 예방, 교육 업무를 기획하고 수행하는 전문성 확립을 이룰 필요가 있겠다.

부사관은 취업준비 과정 중 중요한 요소로 필기시험, 면접, 체력이라고 하였으며 취업 후 군사훈련에 참여하기 때문에 평상시에 체력관리를 제안하였다. 부사관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처우 개선이 지속적으로 시행되어 평생 직업을 희망하는 청년들이 지원하고 있으며 장기선발시 경쟁우위에 서기 위해서는 부사관 학교에서의 성적이 매우 유효하며, 교육생 대부분이 대학생활 중 관련 깊은 것은 학업성취라고 하였다[6]. 부사관 종사자는 전체적으로 평균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보수 및 승진 만족도 결과는 평균 3.0으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안정적 직업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었다. 여성 장교와 부사관은 2010년 3.5% 수준으로 여성이 진출한 다른 분야에 비해 낮은 편이지만 국방개혁 2020자료에 의하면 여군장교는 5.5%, 부사관은 7.7% 확대할 계획[17]을 가지고 있으므로 남성뿐만 아니라 여성 치과위생사도 이에 관한 준비를 갖출 필요가 있다.

연구직은 근무기관 취업을 위해 필수적으로 갖추어야할 역량과 업무 수행 시 필요한 역량을 공통적으로 영어라고 응답하였는데, 이는 연구직 종사자의 업무 특성상 다양한 인종, 국적의 사람들과 일하기 때문이다. 연구직 종사자의 만족도 조사 결과 시간적 여유가 평균 4.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보수 및 승진이 평균 2.8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연구원의 경우 직무자율성, 직무만족도, 수평관계성, 평가공정성 등이 조직몰입과 경력몰입에 긍정적으로 작용되었고, 경력몰입을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경력에 맞는 역할과 직무계발의 노력이 필요하였다[18]. 직무만족도 중요 영향요인으로 보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보수는 개인의 능력에 대한 보상을 의미하며 안정적 사회생활 영위를 위한 요인으로 생각하는 것으로[19] 지속적 연구력 향상과 경력이 보수와 승진의 기회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겠다.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직 직무만족도 조사결과에서도 직무만족도, 대인관계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는데 승진기회, 쉼터, 휴게실, 도서실 등 부대시설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아 직원들의 후생복지 차원에서 시설투자를 통한 구성원들의 만족도 향상이 요구되었다[20].

교직은 최소 3년의 임상 경력과 연구업적이 필요하고, 현 직종의 비전에 대해 수요는 많지 않지만 전도유망하다고 응답하였다. 교직 종사자의 직무만족도 결과 다른 직종에 비해 낮은 편이였는데 교수는 자신이 내부고객인 동시에 같은 내부고객인 학생과 외부고객과의 관련성이 중요하게 관련되어, 이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것은 내·외부 고객의 만족도 향상과 관련되었다. 대학이 직면한 무한경쟁에서 교수의 직무만족은 내,외부 고객의 만족도를 향상시켜 우위를 점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방법[21]이 될 것이고, 교직을 준비하는 대상자들이 임상경력, 강의경력, 연구경력도 중요하지만 그 외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안에 대한 관찰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직종의 근무, 복지, 고용안정성 등의 만족도는 임상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 3.3점 보다 높게 조사되었으며,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보수 공정성 자기성장성 분야의 만족도가 높게 조사되었다[4]. 2007년 치위생학 석사과정 개설을 시작으로 2014년 치위생학 박사과정이 개설되어, 치위생학의 학문적 발전과 다양한 환경에서의 질 높은 전문성이 발휘되고 있다[8]. 앞으로도 각 분야에서 구강건강증진 및 교육, 연구자, 관리자 등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전문직으로서의 역량발휘 및 성취의욕을 높일 수 있도록 더 많은 준비를 통해 실현할 필요가 있겠다. 또한 가장 많은 치과위생사 인력이 활동하고 있는 임상 의료기관에서도 병원전체의 문제해결 또는 업무체계화에 기여함으로써 조직기여도를 높여 안정적인 위치에서의 직장생활을 수행할 필요가 있겠다[22].

본 연구는 공무원, 공공기관 등의 취업자를 대상으로 취업전 역량을 비롯 실질적인 업무, 만족도 및 제언사항을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다양한 기관에 취업하고자 하는 대상자에게 깊이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조사대상자가 제한적이고 최근 취업자의 취업준비역량을 반영하기 위해 연구대상자를 최근 10년 이내 졸업자, 최근 입사자로 제한하여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된 제한점을 고려하여 다수의 직종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각 직종에서 전문성 및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여 치과위생사가 다양한 직종에서 전문성을 발휘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졌으면 한다.

결 론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다양한 직종 취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공무원, 군무원/부사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연구원, 교원이 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역량, 업무 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취업 역량 공통사항은 평균 학점 3.87, TOEIC 818점, ITQ 자격증을 갖추고 있었다.

2. 보건직 종사자는 정보소양능력,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종사자는 종합병원급 이상 요양기관 및 진료비 심사기관의 1년 이상 경력, 군무원은 치과병의원 1년 이상의 임상경력, 부사관은 필기시험, 체력검정, 연구직 종사자는 연구경력과 어학능력, 교직은 3년 이상의 임상경력, 교육, 연구가 필요하였다.

3. 직종별 주 업무로 보건직 종사자는 공문서처리와 담당 부서 지원사업이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종사자는 진료비심사이며, 군무원/부사관은 진료보조업무이다. 연구직 종사자는 실험과 연구 및 논문작성이고, 교직 종사자는 강의 및 개인연구이다.

4. 직종별 직무 만족도 조사 결과 업무만족도는 군무원/부사관, 연구직, 교직이 가장 높았고, 고용안정성은 보건직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시간적 여유는 군무원,부사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임상의료기관 외 다양한 기관에 취업을 희망하는 경우 직종별 특성에 맞는 취업역량을 갖추고 취업 후에도 지속적인 자기개발을 한다면 각 분야에서 치과위생사로서 역량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조사기관 외 치위생 전문성 확대를 위한 추후 취업연구가 필요하다.

Acknowledgements

References

1 The federation of Korean industries. Improvement plan for youth employment rate. FIP Issue paper 2010;176:1-27. 

2 Ju HJ, Ju HJ. A study on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unemployed youth in Korea: focusing on youth panel data. KPPAR 2017;16(2):51-73. 

3 Naver. Korean educational satistics service, employment rate[Internet]. Education statistics research center;2017.[cited 2017 May 19]. Available from: http://blog.naver.com/kedi_cesi/221009244311. 

4 Go EJ, Cho YH, Yoon HS. Relative factors intent to leave for dental hygienists. J Korean Soc Dent Hyg 2009;9(4):644-58. 

5 Kwun HS, Jo GS. A study on the role of dental hygienist for revitalization of dental health class in community health center. J Korean Soc Dent Hyg 2006;6(4):263-82.  

6 Ko IS. A study on improvement of laws and ordinance about the military health-care. European Constitution 2016;20:293-319. 

7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Civil employment[Internet].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jobs;2017.[cited 2017 July 3]. Available from:http://recruit.mnd.go.kr/recruit.do. 

8 Park MS, Park KH. A study on the influence of role identity, ambiguity and conflicts of noncommissioned officers of the ROKA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focused o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HRD 2012;15(2):39-72.  

9 Naver. Army noncommissioned officer[Internet]. Republic of Korea army;2017.[cited 2017 August 1]. Available from:https://www.goarmy.mil.kr:447/2016/sub04/sub04_01_01.jsp 

10 Moon HJ, Lim SR, Lee GY, Han YS. A study on graduate school choice conviction related in dental hygienics. J Dent Hyg Sci 2015;15(4):495-502. https://doi.org/10.17135/jdhs.2015.15.4.495  

11 Yang SY, Son GY, Cho MS, Oh SH. Awareness towards employment in the dental hygiene students. J Korean Soc Dent Hyg 2015;15(4):613-21. https://doi.org/10.13065/jksdh.2015.15.04.613 

12 Lee EJ, Song JE, Kim MH, Kim S, Jun EM, Ahn SH, et al. Analysis on reports of qualitative researches published in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12;18(4):321-32. 

13 Park SJ, Ban JH. Effects of pre-employment efforts of the college graduate youth in Korea. Korea J Popul Stud 2006;29(3):29-50.  

14 Choi WC, Kang SW, Jeong SH. An association between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among public health officials. J Health Info Stat 2013; 38(1):81-92. 

15 Park H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health insurance review team leader and member. Korean J Health Serv Manag 2012;6(2):1-13.  

16 Ko SS, Lee CW.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leadership styles for each rank in Korea’s national defense organization. Korean Policy Sci Rev 2011;16(2):111-39. 

17 Kim KS. Changes in the defence environment and enhancing the role of women in the Korean military. Minjok Yeonku 2011;45:113-37. 

18 Park JM, Jeong SY. An empirical assessment on the career selection, research efforts, and the effect of commitment among researchers: the case of a Korean public research institute. Korean J Industrial Relation 2011;21(4):51-77. 

19 Jang GW, Lee GR.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dental hygienists. J Dent Hyg Sci 2006;6(1):35-9. 

20 Seo SB.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government affiliated organizations. KGR 2002;9:1-15. 

21 Lim SB. Development of a measure of university faculty job satisfaction-testing its reliability, validity, and prediction power through partial least squares path modeling. JEAP 2015;33(3):103-32. 

22 Kwon JY, Lee SY. Relationship of between task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ntribution of dental hygienists. J Dent Hyg Sci 2016;16(4):302-9. https://doi.org/10.17135/jdhs.2016.16.4.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