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job retention of dental hygienists

한국치위생학회
김 유린  Yu-Rin Kim1*

Abstract

Objectives: Although dental hygienists are professional workers, their job retention is short.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job reten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identity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was analyzed. Methods: From January 1 to April 30, 2020, 155 dental hygienists were examined. For data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s of professional identity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on job retention. Results: The dental hygienist's professional self-concep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eam manager than in the staff, but the professional ident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Dental hygienists' professional identity,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job retention were all positively correlated (p<0.05). As a factor influencing dental hygienist's job retention, the self-concept of the profes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but the identity of the profession did not. Conclusions: Since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has a positive effect on maintaining the profession of dental hygienists,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improve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in order to increase the job retention.

Keyword



서론

전문직은 과학적이고 학문, 역사적인 원리에 따라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뿐만 아니라 지식 확장을 통해 정책을 자율적으로 결정하며, 엄격한 기준에 따라 임무를 수행하는 자격을 갖춘 직업을 통칭한다[1]. 이러한 전문직은 윤리강령과 전문직 단체, 자율성, 지식, 장기적인 교육, 자격증 제도, 봉사 등의 속성을 지녀야 하고[2], 무엇보다 개인의 이익을 넘어 인류와 사회 복지에 기여해야 한다[3].

국민들의 구강건강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치과위생사는 수행 업무가 치과진료협조에서 진료로 변화하였고[4] 국민들이 구강건강의 예방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치과진료협조자에서 전문가로 직업에 대한 역할이 변하였다. 따라서 치과위생사는 최적의 구강 건강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며, 다양한 연령대의 인구에게 교육, 임상 서비스를 제공할 역량을 갖추고 있다[4]. 이러한 치과위생사는 3년에서 4년의 교육과정을 이수한 후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면허증을 취득할 뿐만 아니라 정기적인 보수교육으로 면허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치과위생사는 전문직으로서의 많은 기준을 충족하고, 사단법인 대한치과위생사협회(치위협)를 구성하고 있으며, 윤리강령을 제정하여 회원들에게 이를 준수할 것을 독려하고 있다[5]. 또한 치위협은 치과위생사를 구강질환의 예방, 치료,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면허를 받은 일차보건의료 전문가, 구강보건교육자, 임상가라고 정의하였고[5], 미국치과위생사협회는 치과위생사를 교육자, 임상가, 관리자, 연구자, 소비자, 옹호자로 역할을 정의하였다[6]. 이러한 치과위생사의 전문 직업성 확립은 직업 정체성과 자아개념을 향상시켜 결과적으로 치과위생사의 업무수행능력과 근속 의도를 높여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친다[7]. 치과위생사는 전문직업인으로 높은 취업률에도 불구하고 이직과 퇴직률이 매우 높아 치과의료계 전체에 인력난 부족이 심각한 현실이다[8]. 따라서 직업유지를 위해 자신의 직업에 대한 정체성 확립이 매우 중요하다.

정체성이란 지속적으로 자기 자신에 대해 인식하는 것으로 타인과 구별되는 존재 본연의 본질적인 특성을 말한다[9]. 특히 전문직 정체성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하는데 전문직 자체가 직업으로서 갖는 정체성은 타인이 해당 전문직 종사자를 평가하는 것이고, 전문직 종사자가 스스로 인식한 전문가로서의 주체성은 해당 전문직 종사자가 스스로 평가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문직 정체성은 전문직이라는 자신의 직업에 자부심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요소로 직업유지와 관련성이 있다[10].

전문직 자아개념은 자신의 업무에 대한 스스로의 생각을 말하며[11], 근무부서 조직의 정책이나 동료 관계의 조직적인 요인과 전문직에 대한 신념에 의해 향상된다[12]. 자아개념이 긍정적이면 생산적이고 긍정적인 자아 평가와 자기존중이 높아지며, 매사에 자신감이 생겨 업무에 대한 성취감과 인정, 독립, 존경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열심히 일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자아개념이 부정적이면 매사에 자신이 없고, 불안해하는 경향이 나타나[13] 직무수행능력을 잘 활용하지 못하여 직업유지에 악영향을 준다[14]. 따라서 이러한 전문직 정체성과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업유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15-19]는 치과위생사 또는 치위생(학)과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전문 직업성과 직업 정체성을 확인한 연구가 대부분으로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전문직 정체성과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업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직업유지와 관련하여 치과위생사의 직급에 따라 일반 스텝과 팀장 이상으로 구분하여 전문직 정체성과 전문직 자아개념의 차이를 확인하고, 직업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직업유지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방법

2020년 1월부터 2020년 4월까지 부산 경남 지역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160명을 대상으로 연구목적을 설명하고,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대상자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기기입식으로 응답한 후 즉시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지를 제외한 155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정하였다. 표본 수의 적절성 검증을 위해 G*power 3.1.9.7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검증하였으며, 중간 효과크기 0.3, 유의수준 0.05, 검정력 0.95로 하였을 때 최소 111명이 필요하였다. 이 연구는 00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에서 IRB심의를 받아 수행하였다(No.1041449-201912-HR-003).

2. 연구도구

직업유지는 개인이 지역사회에 머무를 수 있는 능력의 주요 지표로 활용되며, 선행연구[20,21]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5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이[22]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전문직 자아개념은 2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전문직 정체성은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한 김[23]의 연구에서 ‘직업적 소명의식’, ‘학문적 역량 강화 욕구’, ‘위임된 권한 발휘도’, ‘윤리강령 준수도’, ‘전문직 단체 활용도’ 등 5가지로 하나의 구성요인 당 3개의 문항으로 개발된 15문항으로 구성되었고, 각 문항은 Likert 5점 척도로 측정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전문직 정체성, 전문직 자아개념, 직업유지가 높음을 의미한다. 평가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값은 전문직 자아개념 0.965, 전문직 정체성 0.849, 직업유지 0.634이었다.

3. 자료분석

자료의 분석은 IBM SPSS ver. 21.0 (IBM Co., Armonk, NY, USA)를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 α는 0.05를 기준으로 검정하였다. 직업유지에 영향을 주는 자아개념은 직급에 영향을 받으므로[17] 치과위생사를 직급에 따라 일반 스텝과 팀장, 과장, 실장, 이사로 구분하여 조사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일반 스텝과 팀장 이상의 두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과위생사의 두 직급에 따라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전문직 정체성, 전문직 자아개념, 직업유지는 Independent t-test를 시행하여 비교하였다. 전문직 정체성, 전문직 자아개념, 직업유지의 상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Pearson correlation을 시행하였고, 전문직 정체성과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업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직급 구분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직급 구분은 일반 스텝과 팀장이상 모두 여자였으며, 팀장이상으로 갈수록 연령이 높았다. 치과 의원과 치과병원에서 팀장 이상보다 일반 스텝이 더 많았고, 보건소는 팀장 이상이 더 많았다. 직업을 선택한 동기로 ‘적성과 흥미에 잘 맞아서’와 ‘남을 도울 수 있어서’, ‘취업이 보장되므로’는 일반 스텝이 더 많았고, ‘지인의 권유’는 팀장 이상이 더 많았다. 연령은 팀장 이상이 더 많았으며,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Table 1>.

Table 1.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job grade Unit : N(%)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200410_image/Table_KSDH_20_04_10_T1.png

*by chi-square test

2. 직급에 따른 전문직 자아개념

치과위생사의 직급에 따른 전문직 자아개념은 일반 스텝에서 3.32점이었고, 팀장 이상은 4.00점으로 일반 스텝에 비해 팀장 이상에서 더 높았다. 일반 스텝에서 가장 점수가 높은 문항은 20의 ‘나는 치과위생사가 환자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이 중요 하다고 생각 한다’였고, 팀장 이상에서 가장 점수가 높은 문항은 9의 ‘나는 책임감 있게 업무를 수행한다’였다. 문항 17의 ‘나는 일반적으로 업무시간이 기다려진다’는 직급에 상관없이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문항 19의 ‘나는 치과위생사직을 선택한 것에 만족하고 있다’와 문항 20의 ‘나는 치과위생사가 환자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를 제외한 모든 문항에서 일반 스텝보다 팀장 이상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Table 2>.

Table 2. Professional self-concept according to job grade Unit : Mean±SD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200410_image/Table_KSDH_20_04_10_T2.png

*by independent t-test

3. 직급에 따른 전문직 정체성

치과위생사의 직급에 따른 전문직 정체성은 일반 스텝에서 3.70점이었고, 팀장 이상은 3.89점으로 일반 스텝에 비해 팀장 이상이 높았다. 일반 스텝에서 가장 점수가 높은 문항은 9의 ‘나는 치과기공사, 간호조무사 등이 치과위생사의 업무를 수행하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한다’였고, 팀장 이상에서 가장 점수가 높은 문항은 9의 ‘나는 치과위생사 업무를 수행하려면 반드시 치과위생사 면허를 취득해야 한다고 생각한다’였다. 일반 스텝에서 가장 점수가 낮은 문항은 4의 ‘나는 정기적으로 치과전문지 및 치위생전공학회지를 읽는다’였고, 팀장 이상에서 가장 점수가 낮은 문항은 14의 ‘나는 협회가 치과위생사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느낀다’였다. 문항 4의 ‘나는 정기적으로 치과전문지 및 치위생전공학회지를 읽는다’와 문항 5의 ‘나는 치과위생사로서의 지식과 기술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치과위생사 대상 세미나에 참여한다’, 문항 8의 ‘나는 치과위생사가 법적으로 확보된 업무범위 내에서는 자율성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문항 14의 ‘나는 협회가 치과위생사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느낀다’에서 일반 스텝보다 팀장 이상이 유의하게 높았고, 문항 9의 ‘나는 치과기공사, 간호조무사 등이 치과위생사의 업무를 수행하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한다’에서는 팀장 이상보다 일반 스텝이 더 유의하게 높았다(p<0.05)<Table 3>.

Table 3. Professional identity according to job grade Unit : Mean±SD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200410_image/Table_KSDH_20_04_10_T3.png

*by independent t-test

4. 직급에 따른 직업유지

치과위생사의 직급에 따른 직업유지는 일반 스텝에서 3.70점이었고, 팀장 이상은 4.12점으로 일반 스텝에 비해 팀장 이상이 높았다. 문항은 1의 ‘나는 지금 일하고 있는 곳에서 3개월 이상 근무하고 있으며, 열심히 일하고 있다’로 직급에 상관없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일반 스텝에서 가장 점수가 낮은 문항은 5의 ‘나는 치과위생사라는 직업이 평생 직업이라고 생각한다’였고, 팀장 이상에서 가장 점수가 낮은 문항은 2의 ‘나는 지금 일하고 있는 곳에 만족하고 있으며, 이직의 기회가 있더라도 이직할 생각 없다’였다. 문항 2의 ‘나는 지금 일하고 있는 곳에 만족하고 있으며, 이직의 기회가 있더라도 이직할 생각이 없다’를 제외한 모든 문항에서 일반 스텝보다 팀장 이상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Table 4>.

Table 4. Job retention according to job grade Unit : Mean±SD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200410_image/Table_KSDH_20_04_10_T4.png

*by independent t-test

5. 전문직 자아개념과 전문직 정체성, 직업유지의 관련성

치과위생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전문직 정체성, 직업유지의 상관관계 분석한 결과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p<0.001)<Table 5>.

Table 5.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professional identity, and job retention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200410_image/Table_KSDH_20_04_10_T5.png

**p<0.001, by correlation analysis

6. 전문직 자아개념과 전문직 정체성이 직업유지에 미치는 영향

치과위생사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전문직 정체성이 직업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문직 정체성은 직업유지와 유의한 영향이 없었으며, 전문직 자아개념은 높을수록 직업유지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Durbin-Watson 지수는 2.089로 잔차의 자기상관이 없음을 확인하였고, 공차한계는 모두 0.1이상이었고, 분산팽창계수(VIF)도 모두 10미만으로 확인되어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없었다(p<0.001)<Table 6>.

Table 6. The effect of professional identity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on job retention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200410_image/Table_KSDH_20_04_10_T6.png

*by regression analysis

총괄 및 고안

최근 환자의 수요에 따라 매년 5,000여 명의 치과위생사를 배출하고 있지만[8], 총 75,833명의 치과위생사 면허자 중에서 절반도 되지 않는 33,392명만이 현재 치과에서 근무하고 있는 실정이다[24]. 이러한 치과위생사는 전문직이라는 특성으로 높은 취업률을 자랑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평균 직업 수명이 3년으로 직업유지가 심각한 수준이다. 따라서 이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자신의 직업에 대한 정체성과 자아개념 확립이 중요하며[25], 이에 본 연구에서 치과위생사의 직급에 따라 일반 스텝과 팀장 이상으로 구분하여 전문직 정체성과 전문직 자아개념을 비교하고, 직업유지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치과위생사의 직급에 따른 근로형태는 치과 의원과 치과병원은 일반 스텝이 더 많았고, 보건소는 팀장 이상이 더 많았다. 또한 연령도 일반 스텝보다 팀장 이상이 많았으며, 이는 근무기간이 늘어날수록 팀장 이상으로 직급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치과위생사의 직급에 따른 전문직 자아개념은 모든 문항에서 일반 스텝보다 팀장 이상이 높았고, 이는 직책이 없을수록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게 나타난 민[26]의 연구와는 상반된 결과로 추후 대상자를 더 확장하여 경력과 함께 조사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전문직 자아개념 25문항 중 일반 스텝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것은 ‘나는 치과위생사가 환자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로 나타났다. 반면 팀장 이상에서는 ‘나는 책임감 있게 업무를 수행한다’로 나타나 일반 스텝의 경우 환자의 구강관리를 위해 진료실에 있는 시간이 더 많기 때문에 환자의 이해에 중점을 둔 것이라 생각되며, 팀장 이상은 여러 업무를 동시에 수행하므로 자신의 업무수행에 대한 책임감에 중점을 더 둔 것이라 생각된다. 전문직 자아개념 25문항 중 가장 낮은 점수를 받은 것은 ‘일반적으로 업무시간이 기다려진다’로 해당 문항은 직급에 상관없이 자신의 업무에 대해 그 시간이 기다려질 만큼 자아개념이 높아지기는 어려운 현실성이 반영된 것이라 생각된다. 전문직 자아개념의 전체 평균은 3.66점이었으며, 강[27]의 연구에서는 3.34점, 김과 유[28]의 연구에서는 2.71점으로 본 연구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29]는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을수록 업무수행능력이 높아진다고 하였고, 이[17]는 평직원 보다 팀/실장급에서 직업에 대한 소명감이 높고, 전문직에 대한 자아개념 또한 높아진다고 하였다. 이와 유사하게 본 연구에서도 일반 스텝에 비해 팀장 이상의 전문직 자아개념이 월등히 높은 결과로 보아 단순히 직업수명을 늘리는 것에만 그치지 말고 자신의 업무능력에 따라 직급이 향상되어 자신의 업무에 대한 인정과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치과의료기관은 직급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전문직 정체성 15문항 중 일반 스텝의 경우 ‘치과기공사, 간호조무사 등이 치과위생사의 업무를 수행하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한다’가 가장 높았으며, 팀장 이상의 경우 ‘치과위생사 업무를 수행하려면 반드시 치과위생사 면허를 취득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가 가장 높았다. 이는 전문직 정체성의 5가지 구성요인 중 ‘위임된 권한 발휘도’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직급에 상관없이 자신의 업무에 대한 권한의 정체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치과위생사의 자율성에 대한 욕구가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전문직 정체성의 전체 평균은 3.79로 이의 연구[29]의 평균 3.44보다 높았으며, 일반 스텝보다 탐장 이상이 높았지만 유의하지 않은 것에 비해 이의 연구[29]에서는 근무경력이 높아질수록 전문직 정체성이 유의하게 높아지는 차이점이 있어 추후 대상자를 확대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전문직 정체성의 영향요인으로 박 등[15]은 치과위생사의 발전 가능성, 조직의 분위기, 관심분야의 업무가 가능한지에 대한 여부가 있었고, 김 등[16]은 학력과 근무경력, 이[17]는 연령, 결혼 유무, 재취업에 대한 견해, 예상 근무기간, 이 등[18]은 이상주의 성향, 근무 만족도, 연봉, 학력, 박 등[19]은 소명의식과 자아존중감이 있었다. 따라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전문직 정체성을 높일 수 있는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근무현황 등 다요인적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직업유지는 일반 스텝보다 팀장 이상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전문직 자아개념, 전문직 정체성, 직업유지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치과위생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을수록 직업유지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지만, 전문직 정체성은 직업유지와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이는 구 등[30]의 연구에서 치과위생사의 전문직 정체성이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과 유사한 결과로 전문직 정체성에 있어 치과위생사가 자신의 직업에 대한 자아개념을 향상시켜 스스로 전문성을 추구하는 치과위생사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일부 부산, 경남지역에 국한되어 조사되었기 때문에 전체를 일반화하기는 어려움이 있고, 직급에 따른 분류가 단지 치과위생사의 현재 직급상태만을 조사하였으므로 추후 대상자를 확대하고 근무경력을 포함하여 직급을 확인하는 심층연구를 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임상치과위생사의 직급에 따라 구분하여 전문직 정체성과 전문직 자아개념을 비교하였고, 전문직 정체성과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업유지와의 관련성을 찾고자 시도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직업유지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변수를 확인하여 단계별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수정 보완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결론

본 연구는 직급에 따라 전문직 정체성과 전문직 자아개념을 확인하고, 전문직 정체성과 전문직 자아개념, 직업유지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직업유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분석하였다.

1. 치과위생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의 점수가 높은 문항은 일반 스텝의 경우 문항 20의 ‘나는 치과위생사가 환자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이 중요 하다고 생각 한다’였고, 팀장 이상의 경우 문항 9의 ‘나는 책임감 있게 업무를 수행한다’였다. 전문직 자아개념의 총점은 일반 스텝보다 팀장 이상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2. 치과위생사의 전문직 정체성의 점수가 높은 문항은 일반 스텝의 경우 문항 9의 ‘나는 치과기공사, 간호조무사 등이 치과위생사의 업무를 수행하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한다’였고, 팀장 이상의 경우 문항 9의 ‘나는 치과위생사 업무를 수행하려면 반드시 치과위생사 면허를 취득해야 한다고 생각한다’였다. 전문직 자아개념의 총점은 일반 스텝보다 팀장 이상에서 높았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치과위생사의 전문직 정체성과 전문직 자아개념, 직업유지는 모두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05).

4. 치과위생사의 직업유지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전문직 자아개념은 유의한 영향이 있었지만, 전문직 정체성은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위의 결과를 통해 일반 스텝에 비해 팀장 이상이 전문직 정체성과 자아개념이 높았고, 직업유지도 높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직업유지에 전문직 자아개념이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므로 전문직 자아개념이 형성되는 치위생(학)과 학생 때부터 다양한 임상실습을 바탕으로 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전문직 자아개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 declared no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1  [1] Wilkins EM, Wyche CJ, Boyd LD, August J. Clinical practice of the dental hygienist. 12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Co; 2016: 1-35. 

2  [2] Ju SH, Chun SY, Kim TG, Shin BS, Lee SY, Kim YN, et al. Education administration and education management. 5th ed. Seoul: HAKJISA Co; 2015: 1-480. 

3  [3] Um YR. An idea for professional ethical practice : positive ethics. Institute of Anthropology 2014;27:141-66. 

4  [4] Kim HM, Lim SR, Bae HS. The professionalization of American dental hygienist. J Dent Hyg Sci 2014;14(3):276-86. https://doi.org/10.17135/jdhs.2014.14.3.276 

5  [5] Korean Dental Hygiene Association. Code of ethics for dental hygienists [Internet]. Korean Dental Hygiene Association; 2016. [cited 2020 Jun 04]. Available from:  

6  [6] Americ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Professional-roles [Internet]. RDH Magazine. [cited 2020 Jun 04]. Available from: http://www.rdhmag.com/articles/print/volume-33/issue-5/columns/public-health-remains-a-part-of-dental-hygiene-career-paths.html. Recite. 

7  [7] Kwon KJ, Ko KH, Kim KW, Kim JA. The impact of nursing professionalism on the nursing performance and retention intention among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es. J Korean Acad Nurs Admin 2010;16(3):229-39. 

8  [8] Lee JH, Yoon JW, Jang KA, Lee YH, Choi MS. A study on the changes in the dental hygiene and education and dental hygienists in the future with the change of dental medical environment. Korea. Korean association of dental hygiene professors. Seoul: Sehwa Publishing; 2019: 17-8.  

9  [9] Kemph JP. Erik H. Erikson.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W. W. Norton Company, 1968. Behavioral Science 1969;14(2):154. https://doi.org/10.1002/bs.3830140209 

10  [10] Park JW. Research of professional identity of social entrepreneurs[Doctoral dissertation]. Seoul: Univ. of Seoul National, 1994. 

11  [11] Arther D. Measuring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A critical review. J Adv Nurs 1992;17(6):712-9. https://doi.org/10.1111/j.1365-2648.1992.tb01969.x 

12  [12] Kettinger Geiger JW, Davit JS. Self-image and job satisfaction in varied settings. Nurs Manage 1988;19(12):50-8. 

13  [13] Leddy S, Pepper JM. Development of professional self concept; in conceptual bases of professional nursing. Philadelphia: Lippincott Co; 1985: 135. 

14  [14] Kim SH. Effects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n professional self-concept among radiological students[Master’s thesis]. Busan: Univ. of Inje, 2014. 

15  [15] Park JE, Kim SA, Park YD. Professionalism identity and related factors of dental hygienists. J Korean Soc Dent Hyg 2016;16(4):609-15. https://doi.org/10.13065/jksdh.2016.16.04.609 

16  [16] Kim CH, Lee HO, Lee SM. Clinical dental hygienist's ethical dilemma and professionalism. J Dent Hyg Sci 2011;11(4):345-52. 

17  [17] Lee JY. A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of the dental hygienist's professionalism. J Dent Hyg Sci 2011;11(6):573-81. 

18  [18] Lee SJ, Han GS. The ethical propensity, professionalism and ethical job behavior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2;36(3):238-48. 

19  [19] Park JR, Kim HS.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calling and self-esteem upon professionalism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Holistic Health Science 2012;2(1):73-9. 

20  [20] Yoo HJ, Yoo TY, Chung TI, Bae SH, Jo AR. Scale development of occupational identity and testing model of antecedents and outcome variables of occupational identity. Korean J Ind Organ Psychol 2014;27(4):617-45. https://doi.org/10.24230/kjiop.v27i4.617-642 

21  [21] Lee JH. A study on job selection reasons and choice motives of major for college students in culinary and food service in Busan. Journal of Regional Studies 2011;19(2):69-85. 

22  [22] Lee HE. A study on the dental technicians professional self-concept - centering on the dental technicians in Seoul area. J Kor Aca Den Tec 2007;29(2):35-47. 

23  [23] HM Kim.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measure of professional identity for dental hygienists[Doctoral dissertation]. Cheonan: Univ. of NamSeoul, 2016. 

24  [24] Dentalk. Planning serialization [Internet]. Kore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cited 2020 July 13]. Available from: http://news.kdha.or.kr/news/articleView.html?idxno=5179 

25  [25] Jeong HM. Influence of new dental hygienists' job factors and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Master’s thesis]. Seoul: Univ. of Kyunghee, 2011. 

26  [26] Min HH. The relationships among professional self-concept, self-esteem and job satisfaction in the clinical dental hygienists. J Korean Soc Dent Hyg 2018;18(1):55-63. https://doi.org/10.13065/jksdh.2018.18.01.55 

27  [27] Kang YJ. A study on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dental hygiene students and their satisfaction level with clinical practice. J Korean Soc Dent Hyg 2009;9(1):1-17. 

28  [28] Kim KS, Yu MS. A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the practice performance as dental hygienist. J Dent Hyg Sci 2004;4(3):111-5. 

29  [29] Lee SM. A study on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dental hygienists. J Korean Soc Dent Hyg 2009;9(2):1-12. 

30  [30] Gu JY, Lim SR, Lee SY.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dental office and professional identity of dental hygienis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J Dent Hyg Sci 2017;17(6):516-22. https://doi.org/10.17135/jdhs.2017.17.6.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