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self-control on department satisfaction in dental hygiene students

한국치위생학회
김 다희  Da-Hui Kim1*조 자원  Ja-Won Cho2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contro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on department satisfaction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306 dental hygiene students from Seoul, Gyeonggi, Chungcheong, Jeolla, and Gyeongsang. Results: The factors affecting college department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wer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β=0.609), volunteer activities_dummy 1 (No/Yes) (β=0.131), and year_dummy 3 (1/4) (β=0.128). The most deterministic factor was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the explanatory power of 37%.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thought that research on department satisfaction needs to be actively conducted to develop adequate measures and programs to enhance department satisfaction of students.

Keyword



서론

오늘날 대학생들은 대학진학이 목적인 입시 위주의 고등학교 교육과, 학과선택에 자신의 적성보다 성적에 맞추어 진학하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다[1]. 대학생이 자신의 전공 및 학과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학습에 대한 관심도가 낮아져 이로 인한 성적 불량, 학교에서 사회적 고립으로 인한 소외감, 대학 부적응으로 인한 불안과 같은 심리적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대학 전반적인 학습 분위기 저해와 개인이 가지고 있는 잠재적 가능성 개발의 기회가 박탈됨으로 그에 따른 개인적이며 사회적, 국가적 손실 등이 발생 가능할 것이다[2].

치위생 교육의 목적은 21세기에 대비한 전문 치과위생사로서 사회가 요구하는 업무수행능력을 갖추며, 올바른 가치관 형성 및 직업인으로서 책임감과 사명감을 갖춘 구강보건전문 인력을 양성하며, 역동적으로 변화해가는 사회에 적응 및 지도할 수 있는 치과위생사로 교육시키는 것이다[3]. 그리하여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통해 치위생 전공 학생을 효율적으로 지도하고, 전공분야에 대한 적응력과 만독도를 높일 수 있도록 동기부여 하며, 치위생학에 대한 확신을 심어주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4].

치과위생사는 환자 및 환자보호자와 직접적인 관계를 가지게 되며, 치과 치료의 전 과정에서 다양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므로 치위생 전공 학생은 성인 초기의 발달과제인 친밀한 인간관계 형성과 임상현장에서 일어나는 상황에 알맞게 대처 가능한 대인관계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5]. 치위생 전공 학생은 재학 중에 전문지식과 직업에 대한 사명감 및 자긍심은 물론 효과적인 업무수행을 위한 능력과 인격 및 협조적이며 원만한 대인관계의 형성이 가능한 자질을 갖추어야 한다. 그리하여 학업 및 학과에 대한 만족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6]. 또한 학업 및 대인관계만족도, 학과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 중 하나로 자기통제력을 꼽을 수 있다. 자기통제력은 현재의 욕구를 지연시키고, 장기적인 목표달성을 위하여 지금 당장의 충동적인 행동, 정서, 사고 등을 스스로 억제하고 조절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7]. 대학생들의 경우 자기통제력이 높으면 그렇지 않은 학생들 보다 현재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활동에 참여하는 것보다 꾸준한 노력이 필요한 학업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8]. 하지만 자기통제력이 부족한 경우 낮은 학업성취도, 공격적이고 충동적인 대인관계, 사회부적응과 문제해결능력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을 겪게 된다[9].

학과만족도에 관한 선행연구를 보면,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능력, 자기통제력, 회복탄력성, 스트레스, 자아개념, 학업적 자기효능감 등이 학과만족도에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4,10-12]. 이 등[4]은 자아존중감이 높아질수록 대인관계능력과 학과만족도가 높아지고, 대인관계능력이 높을수록 학과만족도가 높아진다고 하였다. 김[11]은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전공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고 하였으며, 전공만족도가 낮은 학생일 경우 중도에 학업을 포기할 수 있으므로 집중관리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학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대인관계만족도, 자기통제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고 판단해 대인관계만족도와 자기통제력이 학과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치위생 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 통제력과 대인관계만족도가 학생들의 학과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치위생과 교육개선 및 학생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

자료 수집은 서울 · 경기 · 충청 · 전라 · 경상지역에 위치한 치위생(학)과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편의추출 하여 2019년 5월에서 6월까지 총 2개월간 진행하였다. 연구의 목적, 익명성 보장 및 연구 목적에만 사용함을 설명하고, 최종 동의한 대상자에게만 스마트폰을 이용한 온라인 설문을 발송하여 온라인 동의를 받은 후 설문조사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표본 크기는 G*power 3.1.9.4 에 의거 양측검정 유의 수준 0.05, 검정력 0.95, 회귀분석에서의 중간 효과크기인 0.15, 예측변수(자기통제력, 대인관계만족도, 학과만족도, 일반적인 특성)을 10개로 하였을 때, 최소 172명이었으며 탈락자를 고려하여 30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윤리적 고려를 위해 00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승인(IRB No: DKU 2018-10-010)을 받은 후 시행하였다.

2. 연구도구

학과만족도 34문항은 김과 하[2]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전공 교과내용과 학교, 교수와 학생과의 관계에 대한 만족, 전공학과 학문에 대한 일반적인 관심에 따른 만족, 학과의 사회적 인식에 대한 개인의 지각에 따른 만족, 졸업 후 진로에 관한 조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측정기준은 리커트 척도(전혀 그렇지 않다 1점, 매우 그렇다 5점)으로 측정하였다. Cronbach’s α는 0.954였다.

대인관계만족도 26문항은 은[13]의 인간관계만족도 검사(Tes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를 장과 전[14]이 대학생의 실정에 맞게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는 일반적인 대인관계만족도, 부모, 교수, 친구와의 대인관계만족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측정기준은 리커트 척도(전혀 그렇지 않다 1점, 매우 그렇다 5점)로 측정하였다. 총 점수가 높을수록 대인관계만족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자가진단의 결점을 보완 및 조사 대상자의 편향된 응답을 방지하기 위해 11개의 역 문항이 포함되었다. Cronbach’s α는 0.908였다.

자기통제력 20문항은 Gottfredson과 Hirschi[15]의 자기통제력 척도와 김[16]의 자기통제 평정 척도를 참고하여, 남[17]이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장기적인 만족, 즉각적인 만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측정기준은 리커트 척도(전혀 그렇지 않다 1점, 매우 그렇다 5점)으로 측정하였고, 이중 즉각적인 만족에 관한 문항은 역 채점하여 합산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자기통제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한다. Cronbach’s α는 0.784이였다.

3. 분석방법

자료는 PASW Statistics ver. 22.0(IBM Co., Armonk, NY, USA) 프로그램으로 분석하 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학과만족도, 대인관계만족도, 자기통제력은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학과만족도, 대인관계만족도, 자기통제력의 차이는 t-test와 일원분산분석으로 하였다. 분석 후 다중비교는 Scheffe’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학과만족도, 대인관계만족도, 자기통제력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을 실시하였고, 학과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은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유의수준은 α=0.05로 정하였다.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에 사용한 변수의 특성

연구대상자의 학과만족도 점수는 3.75점이었고, 대인관계만족도는 3.84점이었으며, 자기통제력은 3.54점 이었다<Table 1>.

Table 1. Reliability of instrument scales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200411_image/Table_KSDH_20_04_11_T1.png

2.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변수의 차이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학과만족도 요인을 보면, 학년(p=0.003)은 ‘4학년’에서, 성적(p=0.003)은 ‘3.5점 이상’에서, 전공 관련 봉사(p=0.001)는 ‘예’에서, 주관적 건강(p<0.001)에서 ‘건강하다’에서 높게 나타났고, 차이가 있었다. 대인관계만족도 요인을 보면, 학제(p=0.013)는 ‘4년제’에서, 학년(p=0.019)은 ‘4학년’에서, 성적(p=0.019)은 ‘3.5점 이상’에서, 전공관련 봉사(p=0.043)는 ‘예’에서, 주관적 건강(p<0.001)은 ‘건강하다’에서 높게 나타났고,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기통제력 요인을 보면, 학년(p=0.001)은 ‘3학년’에서, 성적(p=0.001)은 ‘3.0점 이상-3.5점 미만’에서, 주관적 건강(p=0.009)은 ‘보통이다’에서 높게 나타났고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able 2>.

Table 2. Level of scal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Unit : Mean±SD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200411_image/Table_KSDH_20_04_11_T2.png

*by t-test or one-way ANOVA

a,b,csame letters indicate statistically indifferent by Scheffe multiple comparison

3. 치위생 전공 학생의 학과만족도, 대인관계만족도, 자기통제력 상관관계

치위생 전공 학생의 학과만족도, 대인관계만족도, 자기통제력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과만족도와 대인관계만족도(r=0.588), 자기통제력(r=0.331)은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독립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대인관계만족도와 자기통제력(r=0.457)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Table 3>.

Table 3. Correlation among variable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200411_image/Table_KSDH_20_04_11_T3.png

**p<0.001, by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4. 치위생과 학생의 학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과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하고, 일반적 특성, 대인관계만족도, 자기 통제력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고, 일반적인 특성은 더미변수로 전환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Durbin-Watson 검정계수는 1.708로 자기상관성의 문제가 없었고, 공차한계는 1.0이하로 유의한 모형이었으며(F=23.418, p<0.001), VIF는 10을 넘지 않아 문제가 없었다. 치위생과 학생의 학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인관계만족도(β=0.508, t=9.293, p<0.001), 학과관련 자원봉사_더미(아니오/예)(β=0.131, t=2.839, p<0.005), 학년_더미3(1/4)(β=0.128, t=1.986, p<0.048), 순이었고, 가장 영향을 주는 요인은 대인관계만족도였으며, 설명력은 37.0%이었다<Table 4>.

Table 4. Influencing factors of department satisfaction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200411_image/Table_KSDH_20_04_11_T4.png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t α=0.05

총괄 및 고안

본 연구는 치위생 전공 학생의 대인관계만족도와 자기통제력이 학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교육개선 및 학생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학과만족도는 3.75점으로 보건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김과 유[18]의 연구에서의 3.78점으로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일반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김과 김[19]의 3.42점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년(p=0.003)은 ‘4학년’에서, 주관적 건강(p<0.001)에서는 ‘건강하다’에서 높게 나타났고,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과 임[20]의 연구에서도 학년과 건강상태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학년에서는 ‘1학년’이 높게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다르게 나타났으며, 건강상태에서는 ‘건강하다’가 높게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하지만 김[11]의 연구에서는 ‘4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과만족도가 연구마다 다른 결과가 나타난 것은 대학 및 전공에 대한 사회적 인식에 따라 개인의 만족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2]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고 생각된다. 성적(p=0.003)은 ‘3.5점 이상’에서 높게 나타났고,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김과 은[21]의 연구에서 성적이 높을수록 학과만족도가 높다고 하여 본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이는 학과 적응이 성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게 되고, 본인 스스로 그에 대한 성취감을 느껴 학과만족도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대인관계만족도는 3.84점으로 간호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심과 방[22]의 연구에서 3.70점으로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보건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전과 노[23]의 연구에서의 3.40보다 높게 나타나 치위생전공 학생의 대인관계만족도는 중간이상으로 양호한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학제(p=0.013)는 ‘4년제’에서, 학년(p=0.019)은 ‘4학년’에서, 성적(p=0.019)은 ‘3.5점 이상’에서 높게 나타났고,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김과 김[24]은 학년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4학년’이 높게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이는 학년이 높을수록 학과 적응, 전공에 대한 이해도 및 학과 구성원간의 관계 형성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자기 통제력은 3.54점으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김[10]의 연구에서의 3.55점과 비슷하나 일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김[5]의 연구에서는 3.18로 본 연구결과가 더 높음을 알 수 있다. 학년(p=0.001)은 ‘3학년’에서, 성적(p=0.001)은 ‘3.0점 이상-3.5점 미만’에서, 주관적 건강(p=0.009)은 ‘보통이다’에서 높게 나타났고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김[10]의 연구에서는 학년, 건강상태에서 차이가 나타났다고 하였으며, 학년에서는 4학년에서 높게 나타나,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건강상태에서는 ‘건강하다’가 높게 나타나 본 연구와 같았다. 학년에서 다른 결과가 나타난 것은 김[10]의 연구에서는 4년제 대학생이 대상이지만, 본 연구는 3, 4년제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최고학년이 3학년인 경우도 있어 다르게 나타났을 것으로 생각한다.

치위생과 학생의 학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인관계만족도(β=0.508, p<0.001), 학과 관련 자원봉사_더미(예/아니오)(β=0.131, p<0.005), 학년_더미3(1/4)(β=0.128, p<0.048)순이었고, 가장 영향을 주는 요인은 대인관계만족도였으며, 설명력은 37.0%이었다. 이 등[24]의 연구에서도 대인관계능력과 학과 만족도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였다. 허[25]는 봉사활동이 학과와 관련성이 있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전공만족도가 더 높다고 하였다. 하지만 치기공과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최와 유[26]의 연구에서는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학과만족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전공과목과 실습에 대한 부담감이 학과별로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치위생 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편의추출 하였으며, 이로 인해 결과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다. 또한 학과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대인관계만족도와 자기통제력만 연구하여 학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 간의 관련성을 고려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의 학과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치위생 전공 학생들의 학과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방안들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결론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 통제력과 대인관계만족도가 학생들의 학과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치위생과 교육개선 및 학생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2019년 5월에서 6월까지 치위생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편의추출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구 대상자의 학과만족도는 3.75점이었고, 대인관계만족도는 3.84점이었으며, 자기통제력은 3.54점이었다.

2.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변수의 차이를 보면, 학과만족도에서는 학년, 성적, 전공 관련 봉사여부, 주관적 건강에서 유의한 차이가 이었다(p<0.01). 대인관계만족도는 학제, 학년, 성적, 전공 관련 봉사여부, 주관적 건강에서 유의한 차이가 이었고, 자기통제력은 학년, 성적, 주관적 건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3. 치위생 전공 학생의 학과만족도, 대인관계만족도, 자기통제력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과만족도와 대인관계만족도(r=0.588), 자기통제력(r=0.331)은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4 치위생과 학생의 학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인관계만족도(β=0.508), 학과 관련 자원봉사_더미(아니오/예)(β=0.131), 학년_더미3(1/4)(β=0.128)순이었고, 가장 영향을 주는 요인은 대인관계만족도였으며, 설명력은 37.0%이었다.

이상의 결과, 치위생 전공 학생의 학과만족도에 대인관계만족도가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과 내에서의 대인관계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d no conflict of interest.

Authorship

Conceptualization: DH Kim; Data collection: DH Kim, JW Cho; Formal analysis: DH Kim, JW Cho; Writingoriginal draft: DH Kim; Writing-review & editing: DH Kim, JW Cho

References

1  [1] Lim YS. A study on career socialization in college students with the focus on the degree of their satisfaction with major.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993;8(7):107-29. 

2  [2] Kim KH, Ha HS. A study of department satisfaction factors of undergraduate student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00;1(1):7-20. 

3  [3] Lee SM, Han SJ, Kim SC. A study of work values on the students of dental hygiene department. J Den Hyg Sci 2005;5(4):239-44. 

4  [4] Kim HJ, Lee JR, Ko HJ. The effects of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ies on department satisfaction in the dental hygiene students. J Korean Soc Dent Hyg 2014;14(1):39-47.  

5  [5] Kim HH, Kim SJ. Impact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body imag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in some regions. J Kor Contents Assoc 2013;13(12):337-47. [6] Song YS, Kwon SB, Ahn KS, Kim YN, Kim, SH, Cha MJ. A study on the department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majoring dental hygiene at K-college. Kyungbok c ollege 2003;7:297-316. 

6  [6] Song YS, Kwon SB, Ahn KS, Kim YN, Kim, SH, Cha MJ. A study on the department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majoring dental hygiene at K-college. Kyungbok c ollege 2003;7:297-316. 

7  [7] Yu HS, Kim BS. The relationship of mindfulness and self-control to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15;16(1):231-49.  

8  [8] Ha CS, Kim JH, Choi HC, Yoo HS. The relationships among self-control, class engagement, learning time after school, and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n adolescents. Studies on Korean Youth. Studies on Korean Youth 2006;17(1):181-200. 

9  [9] Ha CS, Ahn SY. The relationship among self-control, stress perception, and coping style of the university students-focusing on a local university student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08;9(2):391-403. 

10  [10] Kim SY. The influence of self - control and resilience on college lif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EN 2018;12(1):253-62. 

11  [11] Kim SY. Convergence study on the influence of dental hygiene students' stress in their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decision attitude. JCIT 2016;6(4):115-22. https://doi.org/10.22156/CS4SMB.2016.6.4.115 

12  [12] Jeon HS. A study on professional self-concept, academic self-efficacy and department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JKAIS 2017;18(12):213-21. https://doi.org/10.5762/KAIS.2017.18.12.213 

13  [13] Eun HG. Does self-regulatory group counseling improve adolescents’ interpersonal abilities: self-awareness, other-awareness, interpersonal skills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Doctoral dissertation]. Seoul: Univ. of Sungkyunkwan, 1999. 

14  [14] Jan HJ, Jeon YJ. The effect of introversion·extroversion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on smart phone addiction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016;25(2):137-52.  

15  [15] Gottfredson MR, Hirschi T. A general theory of crime.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0. 

16  [16] Kim HS, Kim HJ. Model development of affecting factors on health behavior and juvenile delinquency of adolescents.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1998;11(2):171-87. 

17  [17] Nam HM, Ok SW.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family environment, self-control and friends characteristics if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ir problem behaviors. Fam Environ Res 2001;39(7):37-58. 

18  [18] Kim EM, Yu EY. The effects of the department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on career stress of health university college students. Health & Welfare 2018;20(3):91-9. https://doi.org/10.23948/kshw.2018.09.20.3.81 

19  [19]Kim JM, Kim JC. The effects of colleg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019;25(5):273-88. https://doi.org/ 10.24159/joec.2019.25.5.273 

20  [20] Lim SA, Shin AR. The study on the happiness index and department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J Korean Soc Dent Hyg 2017;17(5):931-42.  

21  Kim EM, Yu EY. The effects of the department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on career stress of health university college students. Health & Welfare 2018;20(3):81-99. https://doi.org/10.23948/kshw.2018.09.20.3.81 

22  [22] Sim SS, Bang M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 interpersonal relations, and adjustment to a college life of nursing students. JKAIS 2016;17(12):234-42. https://doi.org/10.5762/KAIS.2016.17.12.634 

23  [23] Jun MJ, Noh EK. The convergence study effected of adjustment to college life in charact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health-related college . J Korea Converg Soc 2018;9(4):433-42. https://doi.org/10.15207/JKCS.2018.9.4.433 

24  [24] Lee JR, Kim HJ, Ko HJ. The effects of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ies on department satisfaction in the dental hygiene students. J Korean Soc Dent Hyg 2014;14(1):39-47. https://doi.org/10.13065/jksdh.2014.14.01.39 

25  [25] Heo SE. Convergence study on major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service experience in university students. J Korea Converg Soc 2016;7(4):8-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