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influencing attitude toward the elderly of generation Z dental hygiene students

한국치위생학회
류 혜겸  Hae-Gyum Ryu1*

Abstract

Objectives: In an aging society, the demand for dental medical institutions among the elderly is increasing. There will be an increased demand for high-quality oral health servic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of Generation Z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98 dental hygiene student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1 to 30, 2020,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knowledge (24 items), attitude (20 items), and experience (11 items) of the elderly. The collection data we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Factors influencing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of dental hygiene students appeared positive in those with a lot of experience and higher knowledge of social area, in case of one grade. However, th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appears negative in those with a low knowledge of physical area. Conclusions: In order to improve Generation Z dental hygiene students' attitudes towards the elder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urse related to the elderly and a program related to high-quality elderly contact experience opportunities. Socially, it is necessary to promote healthy elderly life through internet broadcasting and YouTube.

Keyword



서론

고령화는 사회가 발전하여 경제적으로 성장하고 의료 및 복지수준의 발전과 향상으로 수명이 연장되어, 고령인구가 늘어나서 생기는 자연스러운 변화이다[1]. 국제연합(united nations, UN)의 고령화 사회의 분류에 따르면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비율이 7.0%에 달하면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 14% 이상이 되면 ‘고령사회’, 20% 이상이 되면 ‘초고령사회’ 가 된다고 한다[2]. 우리나라는 65세 이상 인구비율이 2000년에 7.2%에 이르러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으며, 2017년에는 당초 예상보다 1년 빠르게 ‘고령사회’에 도달하였다[3]. 통계청에서 발표한 2019년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25년 노인 인구 비율이 20.3% 이상인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고, 2060년에는 고령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43.9%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고 하였다[4].

노인이란 인간의 노령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생리적, 육체적, 심리적, 정서적, 환경적 및 행동의 변화가 상호작용하는 복합 형태의 과정에 있는 사람이라고 정의하였다[5]. 65세 이상 노인의 건강은 심리적, 신체적, 사회적, 경제적 요인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으며, 특히 구강건강은 삶의 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6]. 노년기로 접어들수록 치주질환 유병률 및 치아상실로 인한 저작의 불편감으로 구강기능이 저하되는 요인이 되며 또한 구강기능의 건강을 위한 칫솔질 실천율은 감소되고[7] 있어 노인들의 구강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더욱 요구된다.

임상에서 노인에게 구강건강관리를 제공하는 경우 노인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이 치과위생사의 실무와 노인구강관리의 질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하였다[8]. 노인을 대상으로 한 치과진료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그들의 전신적인 상태에 대한 이해와 심리적, 사회적, 경제적인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의사소통능력은 매우 중요하고[9], 원활한 의사소통으로 인한 노인에 대한 지식이나 접촉경험의 빈도, 노인에 대한 태도의 수준 또한 중요하다.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 경험과 관련된 선행연구로 지와 안[8]은 치과위생사의 노인에 대한 이미지 및 행동 연구에서 노인에 대하여 침착하다, 중요하다, 부지런하다, 허약하다의 이미지를 가졌고, 노인에 대한 이미지가 긍정적일수록 행동도 긍정적이라고 하였다. 심과 김[10]의 치과위생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연구에서는 학력이 높을수록 노인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하였다. 김[11]의 연구 노인유사체험이 치위생학 전공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노인과의 동거경험이나 노인과 관련된 교육을 받은 경우 노인유사체험 후 노인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고, 노인유사체험이 노화의 신체적 측면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와 관련된 연구는 꾸준히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현재 치위생과 학생들의 출생년도는 대부분이 1995년 이후 출생한 자들로 인구통계학자들은 일반적으로 1990년 중반에서 2000년대 중반까지 출생한 세대를 Z세대로 분류하고 있고, Z세대의 가장 큰 특징은 어릴 때부터 디지털 환경에 노출되어 자라서 이른바 ‘디지털 원주민(digital native)’이라 불린다. 인터넷과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technology)에 친숙하며, 텔레비전이나 컴퓨터보다 스마트 폰을 선호하고, 텍스트보다는 이미지와 동영상 콘텐츠를 선호한다. 아울러 관심사는 공유하지만 강한 개인주의 성향을 가지고, 경험이나 체험을 선호한다고 한다[12]. 디지털 원주민이라 불릴 정도로 인터넷과 정보통신기술에 익숙한 Z세대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 경험, 태도에 대해 조사하는 것은 시사점이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문적인 구강보건서비스의 주역이 될 Z세대 치위생과 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00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 승인(1040460-A-2020-013)을 받고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경남지역 M대학교 치위생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과게시판에 본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공고한 후 이에 동의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참여한 대상자에게는 소정의 답례품을 지급하였다. 연구는 2020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서면동의서에 서명한 후 구조화된 설문지에 자기기입방식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는 최종분석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표본의 크기는 G*power 3.1.9.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효과크기 0.15, 검정력 0.95, 유의수준 0.05, 그룹의 수를 5로 하였을 때, 본 연구에 필요한 최소표본의 크기는 138명이었고, 중도탈락률 44%를 고려하여 198명을 최종분석대상으로 하였다.

2. 연구도구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항목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 학년, 주거형태 3문항, 노인에 대한 지식 24문항, 노인에 대한 태도 20문항, 노인에 대한 경험 11문항으로 구성되었다.

1) 노인에 대한 지식

노인에 대한 지식측정 도구는 1977년 Palmore[13]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고, 1998년에 수정‧보완된 FAQ Ⅰ(Fact on Aging Quiz PartⅠ)의 척도[14]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한 이[15]와 윤과 조[16]의 척도와 최[17]와 이[18]의 연구에서 사용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노인에 대한 지식척도는 총 24문항이며 하위영역으로 신체적 영역 11문항, 심리적 영역 6문항, 사회적 영역 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문항에 대한 정답은 1점, 오답은 0점으로 처리하여 측정한 점수는 최저 0점에서 최고 24점이며, 측정점수가 높을수록 노인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노인에 대한 지식의 신뢰도 계수 Cronbach's α=0.618로 나타났다.

2) 노인에 대한 태도

본 연구에서 사용한 노인에 대한 태도 도구는 Sanders 등[19]의 의미 분별척도로 최[17]와 이[18]의 연구에서 사용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20개의 상반되는 형용사가 쌍으로 구성되어, 각 문항에 1점 매우 부정적 에서 7점 매우 긍정적, Likert 7점 척도로 응답하도록 되어있다. 각 문항의 전체평균이 3.5점-4.5점(총점 70점-90점)까지가 중립적인 태도범위다. 점수가 높을수록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노인에 대한 태도의 신뢰도 계수 Cronbach's α=0.730 이었다.

3) 노인에 대한 경험

노인에 대한 경험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전[20]과 이[18]가 사용한 도구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총 11문항으로 가족, 친지, 이웃 노인과의 접촉경험 5문항, 노인관련 교육 참여 2문항, 실습·봉사에서 노인과의 접촉경험 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Likert 5점 척도로 ‘매우 그렇다’ 5점에서 ‘매우 그렇지 않다’ 1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노인에 대한 경험이 높음을 의미하고, 각 문항의 전체평균이 2.5점-3.5점(총점 30점-42점) 사이가 노인에 대한 경험의 중립적인 범위이다. 본 연구에서 노인에 대한 경험의 신뢰도 계수 Cronbach's α=0.812이었다.

3.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VER.20.0 통계프로그램(IBM Co., Armonk, NY, USA)을 사용하였고, 통계적 유의성 검정은 α=0.05로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 경험은 빈도와 백분율, 기술통계를 하였으며, 학년에 따른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 경험은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과 사후검정은 Scheffe test로 검증하였다. 노인에 대한 태도와 변수들 간은 피어슨의 상관분석(pearson correlation)을 하였고, 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성별은 여자가 98.5%이였고, 학년은 1, 2, 3학년 고르게 분포 되었으며, 주거형태는 자택이 76.8%로 많았다<Table 1>.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198)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210107_image/Table_KSDH_21_01_07_T1.png

2. 노인에 대한 지식 정답률과 지식수준

노인에 대한 지식은 하위영역으로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영역으로 나뉘어지며, 신체적 영역에 대한 정답률이 가장 높은 문항으로 ‘노년기에 이르면 체력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91.9%, ‘노년기에 이르면 신체의 5가지 감각(시각, 청각, 촉각, 후각, 미각)의 기능이 감퇴한다’ 91.4%, ‘노인들은 보통 새로운 것을 배우는 것에 대해 시간이 젊은이 보다 더 오래 걸린다’ 81.8%의 순으로 정답률이 높았으며, 정답률이 낮은 문항은 ‘노인운전자들은 젊은 운전자들보다 1인당 사고 횟수가 적다’가 14.1%로 가장 낮았다.

심리적 영역에 대한 정답률이 가장 높은 문항은 ‘평균적인 노인들에게 있어서 새로운 것을 배운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84.8%, ‘대부분의 노인들은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65.2%의 순으로 정답률이 높았으며, 정답률이 낮은 문항은 ‘대부분의 노인들은 좀처럼 흥분하거나 화를 내지 않는다고 말한다’ 13.1%로 가장 낮았다.

사회적 영역에 대한 정답률이 가장 높은 문항은 ‘현재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15% 이상이 65세 또는 그 이상이다’ 69.7%, ‘대부분의 노인들은 일을 하고 있거나 가사일, 자원봉사 등 자신이 할 수 있는 일거리를 갖기를 원한다’ 67.2%의 순으로 정답률이 높았으며, 정답률이 낮은 문항은 ‘적어도 노인의 약 5% 정도가 장기체류기관(요양원, 정신병원 노인주거시설 등)에 살고 있다’ 6.1%로 가장 낮았다<Table 2>.

Table 2. Correct answer rate of knowledge for the elderly Unit : N(%)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210107_image/Table_KSDH_21_01_07_T2.png

노인에 대한 지식의 전체 평균은 11.52점이고 하위영역으로 신체적 영역 6.42점, 사회적 영역 2.66점, 심리적 영역 2.44점으로 조사되었다<Table 3>.

Table 3. The level of knowledge of the elderly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210107_image/Table_KSDH_21_01_07_T3.png

3. 노인에 대한 태도 수준

노인에 대한 태도 수준의 조사결과 태도에 대한 전체평균은 7점 만점에 4.05±0.52으로 중립적인 범위(평균 3.5점-4.5점)내로 조사되었다.

노인에 대한 가장 긍정적인 태도는 현명한(4.90±3.72), 신뢰할 수 있는(4.70±0.95), 좋은(4.55±0.89), 박식한(4.36±0.91)의 순으로 조사되었고, 노인에 대한 가장 부정적인 태도는 보수적인(3.17±1.22), 아픈(3.29±1.05), 불평이 많은(3.58±1.03), 비활동적인(3.66±1.25) 순으로 조사되었다<Table 4>.

Table 4. The level of attitude of the elderly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210107_image/Table_KSDH_21_01_07_T4.png

4. 노인에 대한 경험 수준

노인에 대한 경험 수준의 조사결과 하위요인으로 가족/친지·이웃 노인과의 접촉경험 평균 2.71점, 노인관련 교육 참여 평균 1.86점, 실습·봉사에서 노인과의 접촉경험 평균 2.27점이고 전체 평균은 2.40점이고, 총점은 26.36점으로 조사되었다. 평균 2.5점-3.5점(총점 30점-42점)의 경우 노인에 대한 경험이 중립적인 범위이므로 연구대상자들의 노인에 대한 경험이 다소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5>.

Table 5. The level of experience of the elderly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210107_image/Table_KSDH_21_01_07_T5.png

5. 학년에 따른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 경험

학년에 따른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 경험을 분석한 결과 학년 간의 차이점은 p>0.05로 통계적인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태도에서 학년 간에 평균의 차이가 다소 있는 것으로 보였다. Scheffe test의 사후검증결과 집단별 p>0.05 수준으로 평균 차에도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Table 6>.

Table 6. Knowledge, attitude, experience of the elderly according to grade Unit : Mean±SD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210107_image/Table_KSDH_21_01_07_T6.png

*by one-way ANOVA

6. 각 변수들의 상관성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인에 대한 지식, 경험 그리고 학년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노인에 대한 태도와 경험(r=0.195, p<0.01) 간 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지식의 하위요인 신체적 영역(r=-0.165, p<0.05)과 학년(r=-0.154, p<0.05) 간 에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Table 7>.

Table 7. The correlation of variables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210107_image/Table_KSDH_21_01_07_T7.png

*p<0.05, **p<0.01, b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7. 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결과 노인에 대한 태도의 변량을 9.3% 설명하고 있으며, 공차한계는 모두 0.1 이상의 수치를 보여 다중공선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며, Durbin-Watson은 2.153으로 기준값 2에 근접하고 0 또는 4에 가깝지 않기 때문에 잔차들 간에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회귀모형이 적합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노인에 대한 경험이 많은 경우(β=0.173), 사회적 영역에 대한 지식이 높은 경우(β=0.155), 학년의 경우 3학년에 비해 1학년에서(β=0.152)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조사되었고, 신체적 영역에 대한 지식이 낮은 경우(β=-0.236) 노인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8>.

Table 8. Factors influencing the attitude of the elderly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210107_image/Table_KSDH_21_01_07_T8.png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총괄 및 고안

본 연구는 Z세대 치위생과 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 노인에 대한 지식수준 조사결과 ‘노년기에 이르면 체력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노년기에 이르면 신체의 5가지 감각(시각, 청각, 촉각, 후각, 미각)의 기능이 감퇴한다’에 대한 정답률이 90% 이상인 결과는 이 등[21], 이와 정[22], 임[23]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또한 이[18]의 간호사 대상의 연구결과와도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노인에 대한 지식 평균은 11.52점 이었다. 이는 최[24]의 8.39보다 높았지만 이 등[21]의 12.99와 이와 정[22]의 13.14보다 낮았다. ‘고령화 사회’에 조사된 노인에 대한 지식 평균점수에 비해 ‘고령사회’에 조사한 노인에 대한 지식 평균점수가 상대적으로 낮게 조사된 것은 본 연구에서 노인에 대한 경험 조사결과 평균이 2.40(총점 26.36점)으로 중립적인 범위보다 낮았고, 특히 경험에 대한 하위요인으로 노인 관련 교육 참여에 대한 평균이 1.86점으로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Z세대 치위생과 학생들은 이미지와 동영상 컨텐츠를 선호하고 본인의 관심분야에만 집중하는 성향이 강하며, 인터넷과 정보통신기술에 익숙하여[12] 본인의 궁금증은 언제, 어디서나 해결가능하기 때문에 노인에 대한 신체적, 사회적, 심리적 영역에 대한 관심이 적어서 나타난 결과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Z세대 치위생과 학생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이미지나 동영상 컨텐츠를 활용한 노인 관련 교육참여로 노인에 대한 지식을 전달할 필요가 있다.

노인에 대한 태도 수준 조사결과 7점 만점에 전체평균이 4.05점이고 총점은 80.91점으로 중립적인 범위(평균 3.5점-4.5점)(총점 70점-90점)에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치과위생사 대상의 임[23], 지와 안[8], 간호사 대상의 이[18]의 연구와 일치하였고, 치위생과 학생대상의 이 등[25]의 연구와도 일치하였다. 다만 치과위생사 대상의 심과 김[10]의 연구에서는 노인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으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일치하지 않았다.

노인에 대한 태도는 가족, 직장, 또래집단, 학교 그리고 대중매체 등의 영향과 사회활동을 통한 인지적 과정에서 이루어지며 이러한 인지적 과정은 감정과 행동요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노인에 대한 태도를 결정짓는다고 하였다[26]. 치위생과 학생들은 노인에 대해 현명하고, 신뢰할 수 있는, 좋음과 같은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고, 반면 부정적인 태도로는 보수적인, 아픈, 불평이 많은, 비활동적이라고 인식하였다. 최[17]의 간호과 학생과 사회복지과 학생대상 연구와 치과위생사 대상 임[23]의 연구는 본 연구와 일치하였다. 이러한 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결과는 과거에는 주로 봉사활동이나, 치과병(의)원에서 접촉하는 노인의 경우 건강하기 보다는 구강이 불편하거나, 거동이 불편하고, 비활동적인 노인에 대한 경험에 의한 결과인 반면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실시한 2014년 무선 인터넷 이용실태조사에서 스마트 폰으로 인터넷을 이용하는 경우가 98.3%에 달했고, 다양한 1인 미디어제작자를 통해 수많은 정보를 쉽게 접하는[27] Z세대 학생들은 최근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는 극 보수성향의 태극기부대 집회와 코로나 19임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진 특정 종교집단의 대규모 집회[28]를 통해 노인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노인에 대하여 현명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좋은 태도를 가지는 것은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초고령사회를 대비하여 사회적으로 노인폄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공중파 방송이나 인터넷 방송 및 1인 미디어제작자는 사회적인 영향력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는 자세가 필요하고, 학교에서는 학생들이 양질의 노인접촉경험의 기회를 가질 수 있는 컨텐츠 개발이 필요하겠다.

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결과 노인에 대한 경험이 많은 경우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17]의 연구에서 노인과의 경험, 평소 알고 지내는 친척이나 이웃 노인과의 경험이 간호과와 사회복지과 학생들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고 하여 본 연구와 일치하였고, 이 등[25]은 노인과의 긍정적인 경험과 노인 관련 교육경험이라고 하였고, 이 등[21]에서는 노인 관련 교육경험유무가 태도에 차이를 보이진 않았고, 노인대상 봉사활동 경험이 있는 경우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고 하였다. 최[24]도 노인들에 대한 자원봉사활동의 경험이 있는 경우 노인에게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하였다. 그러나 전[20]의 의료인 대상 연구에서는 노인 관련 경험여부가 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고 하였다. 노인과의 경험에서는 경험의 질이 중요하고 노인과 동거하지 않은 집단에서는 노인유사체험을 통해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하였고[11], 노인에 대한 교육은 이론적 교육에 노인과의 경험적 교육이 병행될 때 교육의 효과는 최고로 발휘될 것이라고 하였다[29]. 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사회적 영역에 대한 지식이 많은 경우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었고, 신체적 영역에 대한 지식이 적은 경우 노인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노인에 대한 지식의 정답률은 신체적 영역 60.4%, 심리적 영역 40.7%, 사회적 영역 38%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와 안[8], 심과 김[10]의 치과위생사 대상, 전[20]의 의료인 대상의 결과에서도 신체적 영역이 높았고 심리적 영역, 사회적 영역이 낮게 조사되어 본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또한 최[17]의 연구에서도 노인에 대한 지식이 많은 경우 노인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이었고, 이[18]의 연구에서도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이 많을수록 태도가 긍정적이라 하고, 이 등[21]에서 노인에 관한 지식이 많을수록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본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전[20]은 의료인은 노인에 대한 지식이 많을수록 특히 신체적 영역, 심리적 영역의 지식이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노인에 대한 사회적 지식 문항으로 오답률이 가장 높은 항목은 ‘적어도 노인의 약 5% 정도가 장기체류(요양원, 정신병원, 노인주거시설 등)에 살고 있다’, ‘노인들 대부분은 최저생계비(정부에 의해 규정된)이하의 수입을 가진다’, ‘2022년이 되어도 노인들의 건강과 사회경제적인 상태는 젊은 사람들과 비교할 때 현재와 거의 같거나 더 나빠질 것이다’의 순으로 오답률이 높았고, 신체적 지식 문항에 대한 오답률이 가장 높은 항목은 ‘노인운전자들은 젊은 운전자들보다 1인당 사고 횟수가 적다’, ‘직장에서 나이든 사람들이 젊은 사람들 보다 사고가 적다’의 순이었다. 이는 최[17], 이[18], 이 등[21]의 결과와 비슷하였다. 인터넷이나 정보통신기술에 익숙하고 관심 분야가 뚜렷한 1인 방송 유튜버를 즐겨 찾는 Z세대 치위생과 학생도 1995년 이전 출생한 학생들과 비슷한 오답률을 보였다. 잘못알고 있는 정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Z세대가 즐겨 찾는 이미지나 동영상 컨텐츠, 유튜브를 통하여 노인들의 자기개발과 재취업 사례, 사회적 봉사로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노인에 대한 긍정적인 생활상에 대한 컨텐츠를 개발 및 홍보하여 지속적인 인식개선이 필요하겠다. 노인에 대한 태도에 학년의 경우 3학년에 비해 1학년의 경우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17]의 학년과 태도와는 관련성이 없다고 하였고, 심과 김[10]은 학력이 높을수록 노인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하여 본 연구와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3학년의 경우 상식적으로 1학년보다는 노인을 위한 봉사활동이나 접촉경험이 더 많음에도 불구하고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조사되지 않은 것은 2016년 촛불집회[30]를 경험하면서 일부 노인들의 비상식적인 행동들로 인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Z세대 치위생과 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일부 치위생과 학생만을 대상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려운 점과 치위생과 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관련 선행연구의 최근 자료가 부족하여 현재의 현황에 대한 비교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시대 흐름을 반영한 보건계열과 비 보건계열 또는 치위생과 학생과 치과위생사 간의 초고령사회를 대비한 노인에 대한 지식이나 태도에 대한 재조명이 필요하다고 본다.

결론

본 연구는 2020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경남지역에 소재한 M대학교 재학생 198명을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노인에 대한 지식의 전체 평균은 11.52점이고 하위영역으로 신체적 영역 6.42점, 사회적 영역 2.66점, 심리적 영역 2.44점으로 나타났다.

2. 노인에 대한 가장 긍정적인 태도는 현명한, 신뢰할 수 있는, 좋은, 박식한의 순이고, 노인 에 대한 가장 부정적인 태도는 보수적인, 아픈, 불평이 많은, 비활동적인 순으로 나타났다.

3. 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노인에 대한 경험이 많은 경우, 사회적 영역 에 대한 지식이 높은 경우, 1학년의 경우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신체적 영역에 대한 지식이 낮은 경우 노인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Z세대 치위생과 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노인에 대한 지식과 노인 관련교육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과 양질의 노인접촉경험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 개발이 필요하며, 사회적으로는 공중파 방송과 인터넷 방송을 통한 건전한 노인생활상에 대한 홍보가 필요하겠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 declared no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1 [1] Han JR. Youth's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003;23(4):181-94.  

2 [2] Naver. United Nations [Internet]. [cited 2020 Aug 03]. Available from: http://www.un.org/2000.  

3 [3] Naver.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 Security [Internet]. [cited 2020 July 21]. Available from: http://mois.go.kr/frt/a01/frtMain.do  

4 [4] Naver. United Nations [Internet]. [cited 2020 Aug 15]. Available from: http://www.newspost.kr/news/articleView.html?idxno=80145  

5 [5] Naver. Welfare theory for the elderly[Internet]. [cited 2021 Feb 15]. Available from: http://blog.naver.com/sumghee 770/221742095935  

6 [6] Jo EB. Oral exercise for improve oral function. J Advan Prosthodontics(Autumn Conference) 2008: 1-26.  

7 [7] Kang BW, Kang HK, Kim KY, Kim KS, Kim DH, Kim SY, et al. Preventive dentistry. 1st ed. Seoul: Komoonsa; 2016: 345-7.  

8 [8] Ji MG, Ahn KS. A study of images of the elderly perceived by dental hygienists and their behaviors. J Korean Acard Dental Hyg Educ 2008;8(3):23-36.  

9 [9] Lim HJ, Kim HJ. Factors influencing the communication skill for the elderly of dental hygienist.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6;16(6):627-35. https://doi.org/10.5392/JKCA.2016.16.06.627  

10 [10] Sim SH, Kim JS. A study on knowledge of and attitude to the elderly among some dental hygienist. J Dent Hyg Sci 2010;10:71-7.  

11 [11] Kim SJ. The effect of senior simulation on dental hygiene student’s attitute toward the elderly. J Dent Hyg Sci 2012;12:652-9.  

12 [12] Naver. Generation Z [Internet]. [cited 2020 Sept 14]. Available from: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4871&cid=43667&categoryId=43667  

13 [13] Palmore E. Facts on aging quiz: a short quiz. Gerontologist 1977;17(4):315-20. https://doi.org/10.1093/geront/17.4.315  

14 [14] Palmore E. The ageism survey: first findings. Gerontologist 2001;14(5):572-5. https://doi.org/10.1093/geront/41.5.572  

15 [15] Lee HW. Study on the social worker's attitude toword the elderly in Korea. Korean Academy of Social Walfare 1999;39:266-89.  

16 [16] Yoon J, Jo SM. The gyongsan facts-aging quiz.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1982;2:5-15.  

17 [17] Choi YD. A study on attitudes and knowledge of the elderly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nursing and social work[Master’s thesis]. Seosan: Univ. of Hanseo, 2008.  

18 [18] Lee UH. The analysis of nurses knowledge, attitude, experience and care performance for the elderly[Master’s thesis]. Seoul: Univ. of Chungang, 2012.  

19 [19] Sanders GF, Montgomery JE, Pittman JR, Balkwell C. Youth's attitude toward the elderly. J Appl Gerontol 1984;3(1):27-36.  

20 [20] Jeon HR. The effect of aging related experience and knowledge of doctors and nurses on their attitudes to the elderly[Master’s thesis]. Seoul: Univ. of Hanyang, 2010.  

21 [21] Lee YO, Yoon HS, Kim YS. Impact of aged-related experience on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aged-dental hygiene students. J Dent Hyg Sci 2009;9(5):551-6.  

22 [22] Lee JY, Joung MG. Knowledge of dental hygiene students following elderly-related characteristics.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4;12:331-9. https://doi.org/10.5392/JKCA.2014.14.12.331  

23 [23] Lim GU. Effect of image and knowledge for the elderly of dental hygienists on the elderly oral health care attitude[Master’s thesis]. Cheonan: Univ. of Namseoul, 2016  

24 [24] Choi SS. A study on dental hygiene students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towards the elderly in Gyeong-iu. J Dent Hyg Sci 2007;7(2):59-64.  

25 [25] Lee JH, Park UJ, Choi JM. A study on the knowledges, attitudes and behaviors of some university students about the old. J Korean Soc Dent Hyg 2011;11(2):233-42.  

26 [26] Kim HG. The effect of positive experience of adolescents with elderly on the knowledge and the attitude towards the elderly: based on ‘the generation-integrated aging simulation program’.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2013;10(4):454-68.  

27 [27] Jeon MY, Lee HE, Lee JY, Kim SY, Choi JH. 2016 Trend Korea. Seoul: Miraebook Publishing Co.; 2016: 246-54.  

28 [28] Naver. News. Taegeukgi Unit [Internet]. [cited 2020 Aug 17]. Available from: http://news.mt.co.kr/mtview.php?no=2020081711047661795&outlink=1&ref=%3A%2F%2F  

29 [29] Ahn BW. Effects of senior simulation program on attitudes and knowledges toward the elderly. Journal of Creation and Innovation 2010;3(2):223-50.  

30 [30] Naver. Candlelight vigil [Internet]. [cited 2020 Aug 20]. Available from: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24858&cid=40942&categoryId=31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