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dental hygiene students’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ethical propensity on the willingness to performance of private patient information protection

한국치위생학회
김 선영  Seon-Yeong Kim1*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ethical awareness of dental hygiene (department)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located in Gwangju and Jeollanam-do on patients’ willingness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Methods: Professional self-concept, ethical disposition, and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ten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using t-tests and one-way ANOVA. After confirming the correlation through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he effect on the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tention was confirm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Professional self-concept, ethical disposition, and the patients’ willingness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all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The higher the communication skills of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the higher the idealism of ethical orientation, the higher the patients’ willingness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Conclusions: This study, ascertained the effect of dental hygiene students’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ethical consciousness on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practices. Th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that can enhance the practice of dental hygienists to protect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and to develop and conduct continuous policy development and research.

Keyword



서론

정보는 통신기술을 통하여 빠른 전달체계를 구축할 수 있었고, 개인 PC의 보급화와 상용화 및 스마트폰 기기의 일반화로 의료정보시대를 이룰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이러한 정보는 빅데이터를 형성하고 인터넷망을 통한 전 세계의 정보 교류 및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초고속 정보교류와 정보통신의 발달 및 서비스제공을 통하여 환자 개인정보 누출이라는 복잡하고, 다양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에서 채택한 ‘사생활보호 및 개인정보의 국제유통에 관한 지침’[1]에 따르면 개인정보에 관한 기본적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있으며,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DHHS)에서는 건강정보 보안규정을 2003년 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HIPPA)[2]에 추가하여 의료종사자의 환자 의료정보보호 의무를 강조하고 있다.

의료정보의 누출은 개인의 가장 사적인 부분의 정보로 그 피해가 크며, 이러한 환자 개인정보보호의 필요성은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의료정보는 환자 개인의 성별, 연령, 직업, 섭식, 영양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의료장비의 첨단기술화로 세부 상병명과 특정 신체 기관의 정보 등 민감성보이기 때문에 의료인과 의료기사의 윤리 강령에서도 환자의 비밀 유지에 대한 규정을 반드시 다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유출을 대부분 외부자 보다 내부자에 의한 심각성이 크다고 지적하기도 하였다[3].

이전 선행연구[4-6]에서는 의료보건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비교 분석하여 환자 정보관리와 윤리적인 가치관의 연관성이 높다고 하였다. 김[7]의 연구에서는 전문직 자아개념과 환자 개인정보보호 행동에 대한 실천도의 관계를 확인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한 전문직 자아개념에서는 임상업무, 직무만족도, 자아존중감 등의 관련성을 확인한 연구는 많았으나 환자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실천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는 복잡하고 다양한 사회적 현상과 문제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연구 시도가 필요하며, 환자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치과위생사의 실천적인 문제해결의 접근을 위해서는 선행적인 단계에 대한 대상자의 관점이나 인식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전문직 자아개념과 윤리적 성향 및 환자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실천적 의지는 임상에서의 경력과 경험으로만 다져지는 것이 아니라 임상실무 수행 이전의 선행적 단계인 치위생(학)과 학생 시절부터 학습될 수 있고, 고취될 수 있다고 본다. 최와 강[8]의 연구에서는 환자 개인정보보호의 실천적 행동은 지식과 인식에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고, 이러한 지식과 인식의 개선을 위해서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렇듯 교육의 중요성을 고려한다면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관점이나 인식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윤리적 성향을 확인하고 환자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실천적 요인을 파악하여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다양한 실천적 접근을 위한 방법적 모색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소속 기관의 생명윤리심의위원회 승인(IRB승인번호: 1041465-202205-HR-001-19)을 받은 후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광주·전남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치위생(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치과위생사의 표본 수는 G*power 3.1.9.7 program을 사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기 위해 중간크기 효과(Es)=0.15, 유의수준(α)=0.05, 검정력(power)=0.95, 예측변수 11개를 고려하여 표본 크기를 산출한 결과 최소표본 크기는 최소 178명이며 탈락률 10%를 고려하여 200부를 배부하였다. 이 중 기입오류 및 누락 등 불명확한 자료 3부를 제외하여 총 197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2. 연구도구

본 연구의 설문지는 전문직 자아개념 26문항, 윤리적 성향의식 20문항, 환자 개인정보보호 실천의지 16문항, 일반적 특성 5문항으로 구성하였고 모든 설문 문항은 Likert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1) 전문직 자아개념

전문직 자아개념은 자신의 업무에 대하여 느끼는 전문성에 대한 정신적 지각으로 전문적 자아개념이 높을수록 자신감이나 자존감의 자아개념 향상을 통해 전문직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고 하였다[9]. 본 연구에서는 Arthur[9]의 간호 전문직 자아개념을 송과 노[10]가 번역하고, 윤[11]이 재수정한 도구를 본 연구 목적에 맞도록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3개의 하위영역으로 전문직실무(16문항), 만족감(7문항), 의사소통(3문항) 총 26문항으로 구성되었고, 도구의 신뢰도인 Cronbach’ α 값은 각각 0.923, 0.750, 0.713이었다.

2) 윤리적 성향

윤리적 성향은 변하지 않는 절대적 원칙을 적용하는 이상주의와 환경과 상황에 따른 상대적인 원칙을 적용하는 상대주의로 분류된다[12]. 이러한 윤리적 가치관을 살펴보기 위해 사용한 측정도구는 Schlenker와 Forsyth[12]에 의해 개발된 윤리적 개념 척도(EPQ: Ethics Perception Questionnaire)를 토대로 박[13]이 번안, 수정한 것을 본 연구 목적에 맞도록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2개의 하위영역으로 의상주의 성향(10문항), 상대주의 성향(10문항) 총 20문항으로 구성하였고, 도구의 신뢰도인 Cronbach’ α 값은 각각 0.848, 0.809이었다.

3) 환자 개인정보보호 실천의지

환자 개인정보보호 실천의지는 환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려는 실천적 행위를 의미하며 측정 도구는 Carolyn[14]이 개발하고 이와 박[15]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본 연구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총 16문항으로 구성하였고, 도구의 신뢰도인 Cronbach’ α 값은 0.978이었다.

3.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IBM SPSS program(ver. 26.0; IBM Corp., Armonk, NY, USA)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였고, 측정변수에 대한 Shapiro-Wilk 정규성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정규분포를 만족하는 것을 확인 후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윤리적 성향이 환자 개인정보보호 실천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일반적 특징에 따른 전문직 자아개념과 윤리적 성향 및 환자 개인정보보호 실천의지를 t-test와 One-way ANOVA로 분석하였고, 사후분석은 Scheffe post-hoc test를 이용하였다. 또한 변수의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를 통하여 상관관계를 확인 후 다중 회귀분석으로 환자 개인정보보호 실천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1. 학생들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윤리의식 및 정보보호 실천의지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윤리의식 및 정보보호 실천의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able 1>. 전문직 자아개념은 3.65로 하위영역에서는 의사소통 3.93, 전문직 실무 3.71, 만족감 3.36 순이였고, 윤리적 성향은 3.87로 하위영역에서는 이상주의가 4.07, 상대주의 3.68 순이였으며, 환자 개인정보보호 실천의지는 4.56으로 나타났다.

Table 1.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ethical propensity and willingness to performance of private patient information protec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220516_image/Table_KSDH_22_05_16_T1.png

PPIP=Private patient information protection

*by chi-square test

2. 일반적 특징에 따른 학생들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윤리의식 및 정보보호 실천의지

일반적 특징에 따른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윤리의식 및 정보보호 실천의지는 다음과 같다<Table 2>.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전문직 자아개념에서 학년, 환자 개인정보보호 교육경험 유무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학년별 전문직 자아개념은 1학년 3.81, 4학년 3.65, 2학년 3.62, 3학년 3.53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환자 개인정보보호 교육경험이 있는 학생 3.73, 경험이 없는 학생 3.55로 교육경험 있는 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게 나타났다. 윤리적 성향에서는 학년, 학제, 환자 개인정보보호 교육경험 유무, 환자 개인정보보호 교육 참여 의사, 취업희망기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환자 개인정보보호 실천의지에서는 교육 참여 의사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교육 참여 의사가 있는 학생은 4.50, 참여의사가 없는 학생은 4.24로 환자 개인정보보호 교육 참여 의사가 있는 학생의 환자 개인정보보호 실천의지가 높게 나타났다.

Table 2.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ethical propensity and willingness to performance of private patient information protec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220516_image/Table_KSDH_22_05_16_T2.png

*by independent t-test at α=0.05 or one way ANOVA at α=0.05(scheffe post-hoc test)

a,bThe same character indication shows that there i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PPIP=Private patient information protection

3. 학생들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윤리적 성향 및 정보보호 실천의지에 대한 상관관계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윤리적 성향 및 정보보호 실천의지에 대한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다<Table 3>. 전문직 자아개념과 윤리적 성향 및 환자 개인정보보호 실천의지는 모두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전문직 자아개념영역의 전문직 실무는 만족감(r=0.482, p<0.01)과 의사소통(r=0.545, p<0.01), 윤리적성향인 이상주의(r=0.435, p<0.01)와 상대주의(r=0.327, p<0.01), 환자 개인정보보호 실천의지(r=0.397, p<0.01)와도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전문직 자아개념영역의 만족감은 의사소통(r=0.418, p<0.01), 윤리적성향인 이상주의(r=0.279, p<0.01)와 상대주의(r=0.247, p<0.01), 환자 개인정보보호 실천의지(r=0.202, p<0.01)와도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전문직 자아개념영역의 의사소통은 윤리적성향인 이상주의(r=0.431, p<0.01)와 상대주의(r=0.311, p<0.01), 환자 개인정보보호 실천의지(r=0.455, p<0.01)와도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윤리적성향인 이상주의는 상대주의(r=0.311, p<0.01), 환자 개인정보보호 실천의지(r=0.455, p<0.01)와도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윤리적성향인 상대주의는 환자 개인정보보호 실천의지(r=0.333, p<0.01)와도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Table 3. Correlation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ethical propensity, and Willingness to performance of private patient information protection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220516_image/Table_KSDH_22_05_16_T3.png

PPIP=Private patient information protection

**p<0.01 by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4. 학생들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윤리의식이 정보보호 실천의지에 미치는 영향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윤리의식이 정보보호 실천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에서 Durbin-Watson 통계량 1.633, 분산팽창요인(VIF)은 1.272-1.708로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없었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4>.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윤리의식이 정보보호 실천의지에 미치는 영향으로 확인된 요인은 전문직 자아개념에서의 의사소통(β=0.212)과 윤리적 성향에서는 이상주의(β=0.500)로 나타났다. 즉 의사소통력과 윤리적 이상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환자의 개인정보보호 실천의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모형설명력은 42.8%이었다.

Table 4. The effect of dental hygiene students’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ethical propensity on the willingness to performance of private patient information protection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220516_image/Table_KSDH_22_05_16_T4.png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t α=0.05

총괄 및 고안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윤리적 성향이 환자 개인정보보호 실천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에서는 광주전남지역 치위생(학)과 학생들 197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환자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실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전문직 자아개념을 파악한 결과, 전문직 자아개념은 3.65로 하위영역에서는 의사소통 3.93, 전문직 실무 3.71, 만족감 3.36 순으로 나타났다. 전문직 자아개념에서 실무능력과 본인의 업무에 대한 만족감 및 의사소통이 긍정적일 때, 현실과 이상의 조화를 이루고, 능동적이며[16], 모든 일에 적극적이고 성취가능성이 높다고 하였다[17]. 치과기공사들의 전문직 자아개념을 조사한 연구[15]에서는 전체 3.41로 하위영역에서 의사소통 3.59, 전문직 실무 3.50, 만족감 2.95 순으로 본 연구결과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하위영역의 순위도 일치하게 나타났다.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한 민[18]의 연구에서는 전문직 자아개념이 3.76으로 본 연구 결과보다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19]의 연구에서도 치위생(학)과 학생들보다 치과위생사들의 전문직 자아개념이 더 높게 나타났다. 치과위생사들의 전문직 자아개념이 치위생(학)과 학생들보다 높은 이유는 실무적인 부분에 대한 이해, 현장 경험과 경력 및 선행된 교육의 학습결과와 전문가적인 의식의 고취일수 있다. 일반적 특징에 따른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대한 결과,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전문직 자아개념에서 학년, 환자 개인정보보호 교육경험 유무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학년별 전문직 자아개념은 1학년 3.81, 4학년 3.65, 2학년 3.62, 3학년 3.53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환자 개인정보보호 교육경험이 있는 학생 3.73, 경험이 없는 학생 3.55로 교육경험 있는 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게 나타났다. 학년별 차이는 학교분위기 적응, 학점관리, 실습경험, 취업고민 등과 같이 학변 변화에 따른 다양한 환경요인에 따라 인식변화 가능성이 있다고 보며, 이러한 환경변화와 다양한 요인을 통한 학생들의 전문직 자아개념 향상을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또한 환자 개인정보보호 교육경험이 전문직 자아개념을 향상함에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어 지속적인 교육경험의 노출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과 기회를 고민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임상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18]에서는 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 경제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하였고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20]와 치과기공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16]에서도 일치한 결과를 보여줬다. 이렇듯 책임과 그에 따른 역할의 비중이 크고, 대우가 커질수록 높은 전문직 자아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환자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실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윤리적 성향은 3.87로 하위영역에서는 이상주의가 4.07, 상대주의 3.68 순으로 나타났고, 치위생(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21]에서도 본 연구결과와 유사하였으며, 임상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22]에서 이상주의 3.87, 상대주의 3.39로 이상주의가 더 높게 나타나 본 연구가 일치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이상주의 성향은 의료기관 형태에서 대학병원이 가장 높았고, 치과의원이 가장 낮았으며, 경력과 연봉에서는 10년 이상과 3,500만 원 이상이 가장 높았다고 하였고, 경력과 연봉이 높을수록 높은 윤리적 직무행동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 일반적 특징에 따른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윤리적 성향에서는 학년, 학제, 환자 개인정보보호 교육경험 유무, 환자 개인정보보호 교육 참여 의사, 취업희망기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이 상대주의보다 이상주의 성향을 높게 보이고 있으나 윤리적 성향의 차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아닌 것으로 확인된다.

본 연구에서 환자 개인정보보호 실천의지는 4.56으로 나타났으며,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20]에서는 3.69, 임상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8]에서는 척도를 동일하게 비교할 수는 없지만 2.26으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 환자 개인정보보호 실천의지가 다른 대상자들보다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다. 환자 개인정보보호 실천도에 미치는 영향은 환자 개인정보보호 지식과, 환자 개인정보보호 인식으로 정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였고[8], 이와 소[23]의 연구에서는 환자 개인정보보호의 인식도와 실천도가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준다고 하였다. 이렇듯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지식, 인식, 실천적 관계를 규명하고 있으나, 환자 개인정보보호 실천과 같은 사회적, 윤리적 실천적 문제는 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치과위생사는 의료 보건직으로 환자와 가장 밀접한 위치에서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구강보건업무를 수행하는 전문가 집단의 환자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방법으로는 실천적 의지가 중요하고 이러한 것의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다각적인 시각과 관점에서 접근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김의 연구[7]에서는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을수록 환자 개인정보보호 실천도가 높아진다고 하였으며, 이러한 개념은 윤리적 행동과도 관련이 있다고 하였다. 간호대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24]에서도 환자 개인정보보호 실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전문직 자아개념과 윤리적 성향으로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환자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실천 요인을 전문직 자아개념과 윤리적인 성향으로 접근하였고, 관련성을 파악하여 환자 개인정보보호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치과위생사가 되기 이전의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실천의지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이들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윤리적 성향이 환자 개인정보보호 실천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모두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났고, 환자 개인정보보호 실천의지에는 전문직 자아개념 중 의사소통이, 윤리적 성향에서는 이상주의 성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과위생사가 국민의 구강건강증진의 향상을 위해 환자의 예방과 교육, 진료협조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반드시 환자와의 의사소통이 필요하며 이러한 소통역량이 전문직 자아개념과도 관련하여 환자 개인정보보호에 실천적 행위 및 의지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윤리적 성향에서 이상주의는 결과보다는 행위자체의 기준으로 타협하지 않는 의사결정에 대한 생각이나 개념으로, 환자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상황에 따라 결과에 따라 변할 수 있는 상대주의가 아닌 이상주의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이상주의는 ’착한 거짓말’을 행위자체의 기준으로 허용하지 않으나, 상대주의는 이를 상황과 결과에 따라 허용하는 윤리적 성향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이상주의는 임상치과위생사[22]와 간호사[25], 치과기공사[16]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에 보고한 것 같이 의료종사자들에게 높게 나타나며 어떠한 상황에 흔들리지 않는 윤리적 성향과 실천이 중요한 보건직 관련 종사자들의 직업의식과도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생명을 다루며 신속, 정확해야 하는 의료보건 실무에서 상황과 결과에 따라 기준이 모호하게 되면 환자와 의료보건체계 뿐만아니라 개인과 집단에 혼란을 줄 수 있으므로 이상주의적 윤리성향이 의료보건 직역에서 더 강조될 수 있다고 본다.

이상의 결과를 확인한 결과, 환자의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실천을 위해서는 전문직 자아개념과 윤리적 성향이 중요한 요인이며 이러한 요인들의 향상을 위해서는 치과위생사들의 교육과 윤리적 소명의식의 고취 그리고 환자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실천적인 방법적 모색이 필요하다. 이러한 교육과 윤리의식의 고취는 치과위생사에게도 필요하지만, 실무를 접하기 이전, 교육을 통한 학습과 경험 및 윤리의식의 고취가 학교에서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대학기관에서의 윤리교과서 적용 및 국가시험문항 출제와 대한치과위생사협회에서의 윤리강령 준수는 중요한 의미가 있으며, 보수교육에서의 지속적인 의식개발도 필요하다. 대학기관과 협회차원에서의 윤리의식 강조와 이를 위한 교육방법 및 프로그램 개발이 조화롭게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이러한 윤리적 의식의 향상뿐만 아니라 전문직 자아개념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치과위생사의 책임과 역할의 비중의 확대되고, 국민의 구강건강증진에 기여하는 핵심 전문 인력임이 증명될수록 그에 따른 전문가로서의 업무 독립확보와 처우개선이 필요하며 치과위생사의 권익보호, 증진을 위한 정책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본 연구는 일부지역 치과위생(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 이들은 임상현장에서의 실무경험 부족으로 다소 환자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개념이 모호하거나 명확하지 않아서 한계가 있을 수 있고, 일반화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환자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실천적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전문직 자아개념과 윤리적 성향으로 접근한 의미 있는 시도였다고 생각한다. 이에 추후 연구에서는 치과위생사들을 대상으로 진행함은 물론 다른 치과종사자들 및 타 의료 보건 직군과의 비교 연구 등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치과위생사의 환자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실천적 접근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교육과 정책개발 등의 근거로 활용되어질 필요가 있다.

결론

본 연구는 광주전남에 소재한 대학에 재학중인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윤리의식이 환자 개인정보보호 실천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윤리의식 및 정보보호 실천의지를 살펴보면, 전문직 자아개념에서 의사소통 3.93, 전문직 실무 3.71, 만족감 3.36 순이였고, 윤리적 성향은 이상주의가 4.07, 상대주의 3.68 순이였으며, 환자 개인정보보호 실천의지는 4.56으로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징에 따른 환자 개인정보보호 실천의지에서 관련 교육 참여 의사가 있는 학생들이 실천의지가 높게 나타났다.

3. 전문직 자아개념과 윤리적 성향 및 환자 개인정보보호 실천의지는 모두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4. 전문직 자아개념의 의사소통력과 윤리적 성향의 이상주의가 높을수록 환자의 개인정보보호 실천의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윤리의식이 환자 개인정보보호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전문직 자아개념의 의사소통력과 윤리적 성향의 이상주의가 높을수록 환자의 개인정보보호 실천의지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치과위생사들의 환자 개인정보보호 실천향상에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지속적인 정책개발 및 타 직군과의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 declared no conflicts of interest.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Kwangju Women’s University research grants in 2022 (KWUI22-055).

References

1 1. OECD. Recommendation of the Council concerning Guidelines Governing the Protection of Privacy and Transborder Flows of Personal Data[Internet]. [cited 2022 Aug 20]. Available from: http://www.oecd.org/sti/ieconomy/privacy.htm.  

2 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 of 1996 (HIPAA)[Internet]. [cited 2022 Jul 12]. Available from: http://www.cdc.gov/phlp/publications/topic/hipaa.html#privacy-rule.  

3 3. Choi JY. A study on the privacy protection in hospital information system[Master’s thesis]. Iksan: Univ. of Wonkwang, 2007.  

4 4. Lee EJ, Shin HS, Ha EC. Factors influencing patient privacy protection behavior among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8;24(3):225-34. https://doi.org/10.5977/jkasne.2018.24.3.225  

5 5. Seo HE, Doo EY, Choi SJ, Kim MY. Influence of information literacy and perception of patient data privacy on ethical values among hospital clinical nurses. J Korean Acad Nurs Adm 2017;23(1):52-62. https://doi.org/10.11111/jkana.2017.23.1.52  

6 6. Yakov G, Shilo Y, Shor T. Nurses’ perceptions of ethical issues related to patients’ rights law. Nurs Ethics 2015;17(4):501-10. https://doi.org/10.1177/0969733010368199  

7 7. Kim MO. A study on protecting patients privacy of obstetric and gynecologic nurses.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12;18(4):268-78. https://doi.org/10.4069/kjwhn.2012.18.4.268  

8 8. Choi YJ, Kang HK. A study on dental hygienist’ knowledg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JKAIS 2016;17(2):416-26. https://doi.org/10.5762/KAIS.2016.17.2.416  

9 9. Arthur D. Measuring the professional self - concept of nurses: a critical review. J Adv Nurs 1992;17(6):712-9. https://doi.org/10.1111/j.1365-2648.1992.tb01969.x  

10 10. Sohng KY, Noh CH. An analytical study of the professional self - concept of hospital nurses in Korea. J Nurs Acad Soc 1996;26(1):94-106. https://doi.org/10.4040/jnas.1996.26.1.94  

11 11. Yoon MY, Park GJ.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efficacy, autonomy and professional self conception among nurses working in intensive care units. J Wholistic Nursing Sci 2013;6:109-22.  

12 12. Schlenker BR, Forsyth DR. On the ethics of psychological research. J Exp Soc Psychol 1977;13(4):369-96. https://doi.org/10.1016/0022-1031(77)90006-3  

13 13. Park HS. Evaluating the ethics of controversial advertising issues and moderating effects of ethical ideologies. KJA 2000;11(3):147-63.  

14 14. Carolyn B. Safeguarding patient privacy. J Nurs Manage 2002;33(12):31-5.  

15 15. Lee MN, Park YI. A study on the nurse’s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protecting patient privacy. J Korean Clin Nurs Res 2005;11(1):7-20.  

16 16. Lee HE. A study on the dental technicians’ professional self - concept. J Kor Aca Den Tech 2007;29(2):35-47.  

17 17. Lee HW, Leem YS, Song IJ, Chun KS. A study on the self - esteem and professional attitude of middle level manager. Korean Nurses Association 1998;27(1):69-78.  

18 18. Min HH. The relationships among professional self - concept, self - esteem and job satisfaction in the clinical dental hygienists. J Korean Soc Dent Hyg 2018;18(1):55-63. https://doi.org/10.13065/jksdh.2018.18.01.55  

19 19. Ji MG. The effects of professional self - concept and self - esteem o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J KOEN 2017;11(4):173-81. https://doi.org/10.21184/jkeia.2017.06.11.4.173  

20 20. Choi DW, Park YM. The effect of nurse’s professional self - concept, sense of ethics on the performance of protecting patient privacy. J Indus Converg 2020;18(6):129-38. https://doi.org/10.22678/JIC.2020.18.6.129  

21 21. Hong HK, Han GS. The influence of ethical propensity on dental hygiene professional intuition and ethical competency. J Korean Soc Dent Hyg 2021;21(3):301-10. https://doi.org/10.13065/jksdh.20210029  

22 22. Lee SJ, Han GS. The ethical propensity, professionalism and ethical job behavior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2;36(3):328-48.  

23 23. Lee SY, So JH. Knowledge and practice of dental practitioners regarding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J Dent Hyg Sci 2017;17(2):99-107. https://doi.org/10.17135/jdhs.2017.17.2.99  

24 24. Lee EJ, Shin HS, Ha EC. Factors influencing patient privacy protection behavior among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8;24(3):225-34. http://doi.org/10.5977/jkasne.2018.24.3.225  

25 25. Kim BE. Ethical values of nurses, professional self - concept, information utilization ability on patient privacy protection[Master’s thesis]. Seongnam: Univ. of Eulji,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