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dental hygiene instructions based o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한국치위생학회
이 선미  Lee Sun-Mi  ,  권 홍민  Kwon Hong-Min  ,  김 창희  Kim Chang-Hee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n effective instruction method for dental hygiene students by determining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that they attach to the courses. Methods: Data obtained from a survey that was conducted on 654 dental hygiene students were analyzed.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version 23.0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A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 detec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egree of importance that the respondents attached to the courses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they achiev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wo was performed using the IPA analysis. Results: Regarding the items, the respondents found the environment most important, followed by the content, method, perspective, and assessment. Regarding satisfaction, they were most satisfied with the environment, followed by the perspective, method, content, and assessment. Regarding the importance of ideal teaching, the respondents gave the highest priority to ‘a class in which the core content is summarized, emphasized, and explained.’ The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toward ‘PowerPoint-based classes in which the core content is well-organi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PA analysis, the respondents regarded 16 items as requiring maintenance and continuous efforts, 12 items as low priority, and 4 items as requiring excessive efforts and timely improvement. Conclusions: An ideal class requires the instructor to utilize various teaching methods that would enable the students to comprehend the detailed teaching content and elicit active interaction and feedback from the students through easy-to-understand lectures that are appropriate for students.

Keyword



서론

최근 교육환경은 대내외적으로 교육시장 개방, 학령인구 감소, 급속한 정보화 사회 등 사회적인 변화[1]와 지식기반 사회에서 창의적이고 주도적인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대학 현장의 구체적인 변화의 요구로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다. 따라서 대학은 학문탐구를 목적으로 하는 전통적인 대학의 이념보다는 사회가 요구하는 역할과 이념으로 새롭게 재편되어야 한다는 요구들에 직면하고 있다[1]. 대학의 책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학생을 잘 가르쳐서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배출하는 것이다. 이에 대학수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높아지고 국가적 차원에서도 대학 교육의 강화를 위한 관심과 지원이 늘고 있다. 국가적 차원에서의 관심과 대학 수업에서의 변화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전통적인 수업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2].

좋은 수업은 우리의 수업 개혁이 나아가야 할 모습으로 교육제공자인 공동체 구성원간의 교육에 대한 합의가 요구된다[3]. 대학에서 좋은 수업의 인식은 학생의 성별, 전공, 나이, 학문의 수행능력 등에 따라 달라지며[4], 이상적인 수업 특징과 교수행동, 태도는 학생 특성에 따라 다르게 인식되기도 한다[5]. 또한 수업은 교수가 혼자 이끌어 가는 것이 아니라 학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며, 수업 전개 상황에서도 예측할 수 없는 일들이 발생한다는 점에서 복잡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3].

학습자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은 학문적, 교육적인 경험으로 학습자의 성장을 촉진하는 이론적, 실천적 지침을 제공해주며, 이로 인한 대학 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학습자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에 대한 효과적인 교수법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추진될 필요가 있다[6].

좋은 수업의 연구로는 국내에서 2000년대 이후부터 다양하게 수행되기 시작했다[7]. 선행연구로는 문헌이나 기존의 연구로 좋은 수업의 개념을 제시하는 연구[7,8], 면담이나 설문으로 좋은 수업의 개념을 제시하는 연구[9,10], 좋은 수업의 사례를 관찰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11,12] 등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권[13]은 좋은 수업에 대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좋은 수업을 네 가지 항목(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환경 및 분위기, 교육평가)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고, 정[14]의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좋은 수업의 가장 큰 특징을 교수와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이 잘 되는 수업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좋은 수업을 학생 참여형 수업, 다양한 수업자료를 활용하는 수업, 흥미 있는 수업, 토론식 수업 등이 높게 나타나 대학생들은 수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수업의 주체가 되기를 원하고 있었다. 민 등[15]의 연구에 의하면 대학생들은 좋은 수업의 조건으로 교수자 요인(전문성, 강의내용, 수업운영)에 가장 높은 반응을 보였다. 이처럼 대학에서 좋은 수업을 한 마디로 명확하게 정의하는 것은 쉽지 않다. 시대와 사회가 요구하는 교육과 수업에 대한 관점이 다르고 수업을 운영하는 개개인의 인식도 차이가 있기 때문에 좋은 수업에 대한 해석이 다를 수 있다[3].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시험을 치르게 되는 치위생과 학생들은 보건의료 계열과 함께 전문적 직업을 갖게 되는 직종으로 타 학과와는 수업진행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치위생과에서의 좋은 수업을 위한 학습자의 생각을 파악하고 좀 더 효과적인 수업의 새로운 방향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치위생과 학생을 대상으로 현재 수업에서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관점, 내용, 환경, 방법, 평가 영역별로 파악하고 이에 따른 중요도와 만족도를 확인하여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치위생과 학생에게 지향해야 할 좋은 수업의 특징을 정리하고, 좋은 수업을 실현하기 위한 보다 효과적인 수업방향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

00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심의 승인(IRB No. 인간_006_20191130_2차)을 거쳐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 충청, 강원 일부 대학의 치위생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표본의 크기는 G*power 3.1.9.2를 이용하여 유의수준 0.05, 중간의 효과크기 0.25, 검정력 0.95수준으로 산출하여 612명이 도출된 결과를 반영하였다. 2019년 12월 3일부터 12월 19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결측값이 있는 설문을 제외한 총 654부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2. 연구방법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박[16]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본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였다. 설문문항은 총 40문항으로 일반적 특성 4문항, 관점 3문항(구체적인 수업전달, 능동적 학습, 수업목표 성취), 내용 9문항(이론과 임상수업, 직접 도움 되는 수업, 이해하기 쉬운 수업, 세부내용 이해하는 수업, 통합적 사고, 흥미로운 수업, 이론적 근거 수업, 현장경향 반영, 상호협력), 환경 2문항(임상과 유사한 환경, 수업의 적합한 인원), 방법 15문항(학습동기, 질문으로 생각하는 수업, 수업의 구체적 설명, 수업 이해도 확인, 핵심내용 요약, 교수-학습자의 상호작용, 학생의 의견 반영, 학생 간 의견공유, 직접 수행 기회, 열정적 수업, 철저한 수업, 임상의 실제적 활용, 시청각 매체 활용, PPT 활용, 임상실무 특강), 평가 7문항(수업내용 반영, 형평성 고려, 평가기준 제시, 다각적 사고평가, 동료-자기평가, 과제와 시험의 피드백, 자기발전 정도 평가)으로 구성하였고, 문항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리커트 5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기기입식으로 설문을 조사하였다. 도구의 신뢰도는 관점 Cronbach's α=0.814, 내용 Cronbach's α=0.912, 방법 Cronbach's α=0.936, 평가 Cronbach's α=0.871, 환경 Cronbach's α=0.728로 나타났다.

3. 통계분석

수집된 자료의 통계분석은 SPSS(PASW statistics) 2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된 자료의 특성에 따라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퍼센트로, 좋은 수업에 대한 영역별 중요도와 만족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중요도-만족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대응표본 t-test를 시행하였으며, 판정을 위한 유의수준은 0.05로 고려하였다. 또한 각 속성의 상대적인 중요도와 만족도를 동시에 비교·분석하기 위해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분석을 실시하였다.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분석은 Martilla와 James(1977)에 의해 경영학 분야에서 처음 소개된 후 마케팅, 서비스품질, 여행평가, 건강, 스포츠심리학, 이미지평가, 교육 인식 등 여러 학문의 연구에 적용되며 유용성이 입증된 분석기법으로[17], IPA는 좋은 수업을 위해 우선적인 개선 사항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노력이 요구되는 영역부터 과잉으로 실행되는 분야까지 세부적인 항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좋은 수업의 실현을 탐색하는데 도움을 주는 분석방법이다[19].

연구결과

1.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Table 1>과 같다.

학년은 1학년 36.2%, 2학년 28.3%, 3학년 35.5%이었고, 고등학교 재학 시 계열로는 문과 49.5%, 이과 34.9%, 기타(검정고시, 특성화 등) 15.6% 순이었으며, 직전학기 학점 분포는 2.0-3.0 미만이 32.6%로 가장 높았고, 3.0-3.5 미만 31.2%, 3.5-4.0 미만 20.6%, 4.0 이상 11.5%, 2.0 미만 4.1% 순으로 나타났다. 지원동기로는 ‘취업률이 높아서’가 47.6%로 가장 높았으며, 전문직이어서’ 19.7%, ‘주변의 권유로’ 14.8%, ‘적성에 맞아’ 7.3%, ‘고교 성적을 고려하여’ 5.7%, ‘봉사직을 갖기 위해’ 2.1%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190310_image/Table_KSDH_19_03_10_T1.jpg

2. 좋은 수업에 대한 영역별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

좋은 수업에 대한 영역별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결과는 <Table 2>와 같다.

Table 2. Importance and satisfaction/perspective of an ideal class by item(perspective, content, environment)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190310_image/Table_KSDH_19_03_10_T2.jpg

※ The highest score is 5 in a five-point likert scale

*by t-test

Table 2. To be continued(method, assessment)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190310_image/Table_KSDH_19_03_10_T2_1.jpg

※ The highest score is 5 in a five-point likert scale

*by t-test

관점에 있어 중요도는 ‘교과내용을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전달하는 수업’이 4.31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수업을 계획대로 진행하여 수업목표를 성취한 수업’ 4.05점, ‘교수자와 학생이 상호협력으로 능동적으로 학습하는 수업’ 3.95점 순으로 나타났다. 만족도에 있어서는 ‘수업을 계획대로 진행하여 수업목표를 성취한 수업’이 3.78점으로 가장 높았고, 교과내용을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전달하는 수업’ 3.75점, ‘교수자와 학생이 상호협력으로 능동적으로 학습하는 수업’ 3.59점 순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와 만족도의 편차가 큰 항목은 ‘교과내용을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전달하는 수업’(0.55)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내용에 있어 중요도는 ‘임상판단과 직무수행에 직접 도움이 되는 수업’과 ‘최신의 현장(임상) 경향이 반영된 수업’이 4.38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학생의 눈높이에 맞게 이해하기 쉬운 내용의 수업’ 4.36점, ‘실제 현장사례를 바탕으로 이론과 임상이 연결되는 수업’이 4.35점, ‘학생들이 흥미를 느낄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된 수업’ 4.23점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가장 점수가 낮은 문항은 ‘내용에 대한 이론적 근거와 기전을 설명해 주는 수업’이 3.88점으로 낮게 나타났다. 만족도에 있어서는 ‘임상판단과 직무수행에 직접 도움이 되는 수업’이 3.7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실제 현장사례를 바탕으로 이론과 임상을 연결하는 수업’이 3.73점, ‘최신의 현장(임상) 경향이 반영된 수업’ 3.65점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가장 점수가 낮은 문항은 ‘학생이 흥미를 느끼는 내용으로 구성된 수업’이 3.47점으로 낮게 나타났다. 중요도와 만족도의 편차가 큰 항목은 ‘학생이 흥미를 느끼는 내용으로 구성된 수업’(0.75)이었고, 가장 낮은 항목은 ‘이론적 근거와 기전을 설명하는 수업’(0.31)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환경영역에 있어 중요도는 ‘적합한 인원으로 구성된 수업’ 4.28점, ‘유사한 임상환경을 적용한 수업’ 4.27점으로 거의 비슷하였으며, 만족도는 ‘유사한 임상환경을 적용한 수업’ 3.75점, ‘적합한 인원으로 구성된 수업’ 3.70점으로 나타났다(p<0.001).

방법에 있어 중요도는 ‘핵심내용을 요약하고 중요내용을 강조하여 설명하는 수업’이 4.42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수업을 이해하기 쉽게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는 수업’ 4.33점, ‘임상에서의 실제적인 자료가 활용되는 수업’ 4.30점, ‘핵심내용을 잘 정리한 PPT를 활용하는 수업’ 4.26점, ‘교수자가 수업준비를 철저하게 한 수업’ 4.25점 순으로 높았으며, 낮은 문항으로는 ‘질문으로 생각할 기회를 마련하는 수업’ 3.69점, ‘학생 간 상호작용으로 의견을 공유하는 수업’ 3.83점, ‘수업의 필요성을 설명하여 학습동기를 높이는 수업’ 3.90점 순으로 나타났다. 만족도에 있어서는 ‘핵심내용을 잘 정리한 PPT를 활용하는 수업’이 3.93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시청각 매체(동영상, 사진 등)를 활용하는 수업’과 ‘교수자가 수업준비를 철저하게 한 수업’ 3.88점, ‘교수자의 열정이 느껴지는 수업’ 3.86점, ‘핵심내용을 요약하고 중요내용을 강조하여 설명하는 수업’ 3.76점 순으로 높았으며, 낮은 문항으로는 ‘질문으로 생각할 기회를 마련하는 수업’ 3.41점, ‘학생 간 상호작용으로 의견을 공유하는 수업’ 3.46점, ‘수업의 필요성을 설명하여 학습동기를 높이는 수업’ 3.47점 순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와 만족도의 편차가 큰 항목은 ‘핵심내용을 요약하고 중요내용을 강조하여 설명하는 수업’(0.65), 편차가 가장 낮은 항목은 ‘질문으로 생각할 기회를 마련하는 수업’(0.28)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평가에 있어 중요도는 ‘평가자의 형평성을 고려하여 평가한 수업’ 4.19점, ‘평가기준과 항목이 수업 목표에 맞게 제시된 수업’ 4.15점, ‘배운 내용을 반영하여 평가에 활용한 수업’ 3.97점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가장 낮은 문항으로는 ‘동료와 자가평가를 활용한 수업’이 3.56점으로 가장 낮았다. 만족도에 있어서는 ‘평가기준과 항목이 수업 목표에 맞게 제시된 수업’ 3.81점, ‘배운 내용을 반영하여 평가에 활용한 수업’ 3.72점, ‘평가자의 형평성을 고려하여 평가한 수업’ 3.67점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가장 낮은 문항으로는 ‘동료와 자가평가를 활용한 수업’이 3.37점으로 가장 낮았다. 중요도와 만족도의 편차가 큰 항목은 ‘평가자의 형평성을 고려하여 평가한 수업’(0.51), 편차가 가장 낮은 항목은 ‘서술형 문항, 사례형 문항으로 다각적 사고를 평가하는 수업’(0.19)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각 영역별 평균 점수를 살펴보면 중요도에 있어서는 환경영역이 4.27점으로 가장 높았고, 내용 4.20점, 방법 4.13점, 관점 4.10점, 평가 3.90점 순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는 환경영역이 3.72점으로 가장 높았고, 관점 3.70점, 방법 3.68점, 내용 3.62점, 평가 3.55점 순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와 만족도의 편차가 큰 영역은 내용(0.57), 편차가 낮은 영역은 평가(0.34)로 나타났다.

각 문항기준으로 중요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인 문항은 방법 중 ‘핵심내용을 요약하고 중요내용을 강조하여 설명하는 수업’이 4.42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가장 낮은 문항으로는 교육평가 중 ‘동료와 자가 평가를 활용한 수업’이 3.56점으로 가장 낮았다. 만족도에 있어서는 방법 중 ‘핵심내용을 잘 정리한 PPT를 활용하는 수업’이 3.93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가장 낮은 문항으로는 교육평가 중 ‘동료와 자가 평가를 활용한 수업’이 3.37점으로 가장 낮았다. 중요도와 만족도의 편차가 큰 항목은 내용 중 ‘학생이 흥미를 느끼는 내용으로 구성된 수업’(0.75)이었고, 가장 낮은 항목은 평가 영역 중 ‘서술형 문항, 사례형 문항으로 다각적 사고를 평가하는 수업’(0.19)으로 나타났다.

3. IPA Matrix를 이용한 중요도와 만족도 차이 분석

IPA는 중요도와 만족도에 대해 속성별로 비교된 평가값에 의하여 4가지 다면적 의사결정을 내린다. 중요도와 만족도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나누어진 4분면에 대하여 <Fig. 1>과 같이 표시된다.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190310_image/Fig_KSDH_19_03_10_F1.jpg

Fig. 1. IPA matrix

각 영역의 세부항목별 IPA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Table 3>과 같다.

Table 3. As a result of the class importance-satisfaction IPA analysis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190310_image/Table_KSDH_19_03_10_T3.jpg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높아 현상유지 및 지속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항목은 16항목으로 관점에서는 ‘교과내용을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전달하는 수업’, 내용에서는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이론과 임상을 연결하는 수업’, ‘임상판단과 직무수행에 직접 도움이 되는 수업’, ‘최신의 현장(임상) 경향이 반영된 수업’, 방법에서는 ‘수업을 이해하기 쉽고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수업’, ‘수업내용에 대해 이해정도를 확인하는 수업’, ‘핵심내용을 요약하고 중요내용을 강조하여 설명하는 수업’, ‘교수자가 수업준비를 철저하게 한 수업’, ‘임상에서의 실제적인 자료가 활용되는 수업’, ‘시청각 매체(동영상, 사진 등)를 활용하는 수업’, ‘핵심내용을 잘 정리한 ppt를 활용하는 수업’, ‘현장경험이 풍부한 임상 실무자 특강을 활용한 수업’, 평가에서는 ‘평가자마다 형평성을 고려하여 평가하는 수업’, ‘평가기준과 항목이 수업 목표에 맞게 제시된 수업’, 환경에서는 ‘유사한 임상환경을 적용한 수업’, ‘적합한 인원으로 구성된 수업’으로 나타났다.

중요도는 낮으나 만족도가 높아 과잉노력으로 투입이 지양되어야 하는 항목은 4항목으로 관점에서 ‘수업을 계획대로 진행하여 수업목표를 성취한 수업’, 방법에서는 ‘학생이 직접 수행할 기회가 주어지는 수업’과 ‘교수자의 열정이 느껴지는 수업’, 평가영역에서는 ‘배운 내용을 반영하여 평가에 활용한 수업’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낮아 우선순위가 낮은 항목은 12항목으로 관점영역에서 ‘교수자와 학생이 상호협력으로 능동적으로 학습하는 수업’, 내용영역에서는 ‘전체적인 내용 파악과 통합적인 사고를 하는 수업’, ‘이론적 근거와 기전을 설명하는 수업’, ‘인력 간 상호 협력하는 수업’, 방법에서는 ‘수업의 필요성을 설명하여 학습동기를 높이는 수업’, ‘질문으로 생각할 기회를 마련하는 수업’, ‘학생들과 소통하며 의견을 반영하는 수업’, ‘학생 간 상호작용으로 의견을 공유하는 수업’, 평가영역에서는 ‘서술형 문항, 사례형 문항으로 다각적 사고를 평가하는 수업’, ‘동료와 자가평가를 활용한 수업’, ‘과제와 시험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수업’, ‘개인의 발전 정도에 맞춘 평가 수업’으로 나타났다.

중요도는 높으나 만족도가 낮아 시급한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항목은 4항목으로 내용영역 중 ‘학생의 눈높이에 맞게 이해하기 쉬운 내용의 수업’, ‘전체적인 맥락에 세부내용의 이해를 돕는 수업’, ‘학생이 흥미를 느끼는 내용으로 구성된 수업’, 방법에 있어 ‘교수자와 학생들의 상호작용과 피드백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수업’으로 나타났다.

총괄 및 고안

본 연구는 일부 대학 치위생과 학생들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학생들에게 좋은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중요요소를 확인해보고자 치위생과 학생 654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좋은 수업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는 관점적인 측면에서는 ‘교과내용을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전달하는 수업’이 4.31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수업을 계획대로 진행하여 수업목표를 성취한 수업’, ‘교수자와 학생이 상호협력으로 능동적으로 학습하는 수업’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와 유[9]의 연구에서도 좋은 수업에 대한 구성요소 중 전달 관점의 좋은 수업은 ‘수업 내용이 명확하고 효과적으로 전달되는 수업’을 의미한다고 하는 것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이와 양[19]의 연구에서 의과대학생들도 ‘이해하기 쉽게 내용을 요약하는 수업’이 좋은 수업이라 조사되어 치위생과 학생들과 비슷하게 조사되었으나, 일반대학의 경우 ‘학생과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수업’을 좋은 수업이라고 답하여 차이를 보였다[20].

이는 의과대학 학생이나 치위생과 학생의 학습 분량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치위생과 학생이 생소한 전공지식을 짧은 시간에 체계적으로 많은 양을 학습해야 하는 부담이 있기 때문에 이론적인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해 주는 수업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좋은 수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각각의 수업을 담당한 교수자가 강의에 필요한 구체적인 내용들을 충분히 이해하고 수업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수법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고 과목별 효율적인 수업 방법에 대한 훈련과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수업 내용적인 측면에 있어서 중요도와 만족도는 ‘임상판단과 직무수행에 직접 도움이 되는 수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윤[21]의 연구에서도 대학에서 수업 중 기억하는 좋은 수업은 특히 ‘실제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유용성과 실용성이 높은 수업’이라고 답한 결과와 같았고, 최[22]의 연구에서도 좋은 전공수업은 전문성과 함께 취업과 같은 사회진출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주요한 사항으로 지적하였다. 수업의 내용이 실제 임상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실제 적용사례를 보여주거나, 기초 지식이 임상에서 어떻게 활용되어지는가를 연계함으로써 수업에 대한 관심과 집중을 유발하는 수업을 좋은 수업이라 평가한 것으로 보여진다.

수업 환경적인 측면에서 좋은 수업의 중요도와 만족도는 ‘적합한 인원으로 구성된 수업’, ‘유사한 임상환경을 적용한 수업’ 순이었다. 이는 이론 수업에서 너무 많은 학생들이 배정되어 수업의 집중도가 흐려지거나, 실습수업에서 많은 인원의 배정으로 실습의 효율성이 떨어지거나 실습 기회가 적어지는 등의 학생 의견이 반영된 것으로 보여지고 이는 임상과 비슷한 환경의 실습실에서 수업을 받음으로써 현장적응시간을 줄이고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판단되어진다.

수업방법에서 중요한 것은 ‘핵심내용을 요약하고 중요내용을 강조하여 설명하는 수업’이 가장 많았고, 만족도에서는 ‘핵심 내용을 잘 정리한 PPT를 활용한 수업’이 점수가 가장 높았다. 이 결과는 김과 전[23]의 연구에서도 의과대학생들이 방대한 학습 내용에 대해 핵심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정리한 요약본의 형태로 의과대학생들이 학습하는 것을 선호하였고, 이와 양[19]의 연구에서도 수업내용을 쉽게 잘 요약해 주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여 치위생과 학생들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이는 일반대학과 달리 의과대학 강의자나 치위생과 강의자에게 요구되는 차별화된 특성이라고 볼 수 있다.

수업 평가에서는 ‘평가자의 형평성을 고려하여 평가한 수업’을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평가기준과 항목이 수업 목표에 맞게 제시된 수업’의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 평가에 대해 민감하게 생각하는 학생들이 수업 시작 전 평가기준과 평가항목에 대한 정확한 공지를 원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 결과는 최근 학생들이 과제와 평가에서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고, 교수자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수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형식과 내용을 포함한 시험과 과제에 대한 일대일 피드백을 제공하고 시험의 내용과 결과에 대한 공지와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제공하는 방안도 제안해야 한다는 민과 이[24]의 연구와도 같은 맥락이다.

IPA분석 결과 시급한 개선 노력이 필요한 부분은 ‘학생의 눈높이에 맞게 이해하기 쉬운 내용의 수업’, ‘전체적인 맥락에 세부내용의 이해를 돕는 수업’, ‘학생이 흥미를 느끼는 내용으로 구성된 수업’, ‘교수자와 학생의 상호작용과 피드백이 일어나는 수업’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학생과의 상호작용이라는 영역이 대학 수업의 질과 매우 밀접하게 연관이 되어있으나, 상대적으로 한국의 대학 교수자의 경우는 학생 참여와 토론을 진행하는 데 일부 어려움을 겪고 있고, 학생들 입장에서도 중요성에 대한 논의는 많았으나 좋은 사례로 제시할 수 있는 경험이나 사례가 풍부하지는 못하다. 학생들은 ‘질문으로 학생을 이해하고 자극하는 수업’이나 ‘질문을 성의 있게 답변하는 수업’과 같이 수업 중 질문과 응답으로 교수자와 학습자간 상호작용과 피드백의 필요성을 제기한 경우가 있었고, ‘교수와 함께 참여하는 발표 및 토론식 수업’과 ‘학생 간 교류를 촉진하는 수업’이라는 참여와 토론 중심의 수업에 대한 요구도 함께 보여주었다고 조사된 민과 이[24]의 연구와도 비슷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좋은 수업을 위한 교수자와 학생이 상호작용과 피드백을 유도하는 다양한 교수법의 연구와 교수자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재 수업에서의 중요도, 만족도를 관점, 내용, 환경, 방법, 평가 영역별로 파악하여 치위생과 학생에게 지향해야할 좋은 수업의 특징을 정리하고, 좋은 수업을 실현하기 위한 효과적인 수업방향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전체적인 맥락 속에서 세부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하여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이 필요하다. 둘째,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이해하기 쉬운 수업 내용과 의사소통능력이 필요하다. 셋째, 교수자와 학생들의 상호작용과 피드백이 일어나는 수업이 될 수 있도록 이론 및 실습수업에 대한 적정 인원 배정과 슈퍼바이저 등의 수업보조자가 필요하다. 이를 토대로 좋은 수업이 운영된다면 치위생과 학생들이 전공 수업을 들을 때 보다 체계적인 지식을 갖추게 되고 수업의 질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임상에서도 자신감과 만족감을 가지고 업무를 수행하게 되어 치과위생사의 직군에 질적인 향상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들의 좋은 수업의 인식을 확인함으로써 치위생과 학생의 수업의 방향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각 개별 수업에 대한 IPA분석이 아니라 치위생과 재학생 전체 수업에 대한 IPA분석으로 학년별 교과내용, 교수자의 교수법의 큰 차이로 인해 각 개별 수업의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제한점이 있다. 그리고 일부 치위생과 학생을 편의 추출하여 측정함으로써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추후 연구로는 국가시험을 치르는 학생들의 좋은 수업의 인식뿐만 아니라 교수자의 관점에서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과 이에 따른 학습자와 교수자의 관점에서 좋은 수업의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치위생과에서의 수업의 의미를 정립하고 치위생과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결 론

본 연구는 일부 치위생과 재학생들의 좋은 수업에 대한 견해를 확인하고, 치위생과 학생들을 위한 좋은 수업이 실현되기 위한 중요요소를 확인해보고자 실시되었다. 경기, 충청, 강원에 소재하고 있는 치위생과 학생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654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좋은 수업에 대한 각 영역별 평균 점수는 중요도에 있어서는 환경영역이 4.27점으로 가장 높았고, 내용 4.20점, 방법 4.13점, 관점 4.10점, 평가 3.90점 순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는 환경영역이 3.72점으로 가장 높았고, 관점 3.70점, 방법 3.68점, 내용 3.62점, 평가 3.55점 순으로 나타났다.

2. 좋은 수업에 대한 중요도는 방법에서 ‘핵심내용을 요약하고 중요내용을 강조하여 설명하는 수업’이 4.42점으로 점수가 가장 높았고, 교육평가에서는 ‘동료와 자가 평가를 활용한 수업’이 3.56점으로 점수가 가장 낮았다.

3. 좋은 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방법에서 ‘핵심내용을 잘 정리한 PPT를 활용하는 수업’이 3.93점으로 점수가 가장 높았고, 가장 낮은 문항으로는 교육평가 영역에서 ‘동료와 자가 평가를 활용한 수업’이 3.37점이었다.

4. IPA분석 결과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높아 현상유지 및 지속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항목은 16항목,

중요도는 낮으나 만족도가 높아 과잉노력으로 투입이 지양되어야 하는 항목은 4항목,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낮아 우선순위가 낮은 항목은 12항목, 중요도는 높으나 만족도가 낮아 시급한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항목은 4항목으로 나타났다.

치위생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좋은 수업은 보건계열의 특성상 학생의 눈높이를 잘 맞추고 전체적인 맥락을 이해시키며, 교수자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높이는 수업이 시급한 노력으로 필요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치위생과 교수자들은 좋은 수업을 위해 치위생과 학생에 맞는 교수법을 개발하는데 노력이 필요하고 이를 토대로 학생들의 수업을 효과적으로 이해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d no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1 Hong BS. Re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and the social demand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2012;6(2):269-91. 

2 Kim JS. Effective teaching methods and the characteristics of good teaching that multi-majoring learners recognize in a large lecture room.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5;22(12):703-26. 

3 Ahn JH. A qualitativ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good” college classes.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2014;22(1):163-91 

4 Zimitat C. First year student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good teaching: Not all things are equal. Research and Development in higher education 2006;29:386-92. 

5 Feldman KA. The superior college teacher from the student’s view.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1976;5:243-88. 

6 Yune SJ, Lee YN, Lee SS. An analysis of undergraduate student essays on good instruction. J Kor Edu 2009;36(4):126-49. 

7 Son SN. Guter unterricht aus allgemeindidaktischer hinsicht. Education Idea 2006;20:115-34. 

8 Gim CC, Byeon HJ. A critical analysis of meaning of ‘good instruction’. The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005;17(3):373-82. 

9 Seo KH, Yoo SY. The good instructional practice from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perspective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004;42(4):285-315. 

10 Lee SS, Lee YN, Li L. Comparison of the high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 on ‘good instruction’ in Korea and China. KJCE 2008;19(3):27-47. 

11 Kim KH. Case study about qualitative improvement of instruction for excellent strengthening of university education.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2003;11(2):345-75. 

12 Koh CG. An ethnographic study on the instructional characteristics found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good” instruction: focuse on act, elicitation, teaching behavior element, and repair.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2006;14(1):25-49. 

13 Kwon SY. Teachers’ conceptions of teaching in secondary school: the analysi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JET 2010;26(1):195-215.  

14 Jeong EI. Perceptions by teachers and students of good teaching at colleg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 Methodology Studies 2010;22(3):25-44.  

15 Min HR, Yu BM, Shim MJ. A study on the factors of best lecture for improving the educational quality of university teaching. KAEIM 2005;11(3):41-65.  

16 Park MN. Nurses and nursing students’ recognition of good instruction[Master’s thesis]. Seoul: Univ. of Ewha Womans, 2019.  

17 Martilla A, James C.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1977;41(1):77-119.  

18 Lee SH, Lee J.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for conceptions on ‘good teaching’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econdary school. J Korean Teacher Education 2010;27(4):317-41.  

19 Lee HB, Yang EB.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xcellent lecturers in medical school. Korean J Med Educ 2013;25(1):47-53..3946/kjme.2013.25.1.47  

20 Gamson ZF. A brief history of the seven principles for good practice in undergraduate education. New Dir Teach Learn 1991;47:5-12.  

21 Yun GY. A study on course evaluation and student perceptions of good instruction [Master’s thesis]. Seoul: Univ. of Korea, 2017.  

22 Choi MG. Student's perception of 'good instruction' of major and liberal arts subject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2016;10(3):325-48.  

23 Kim SH, Jeon WT. The failure experiences of medical school students: a qualitative study. Korean J Med Educ 2008;20(4):351-62.  

24 Min, HR, Lee HW. The characteristics of good teaching based on the students' awareness.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2011;19(1):57-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