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current status of curriculum for geriatric dental hygiene in Korea

한국치위생학회
김 여주  Yeo-Ju Kim1장 종화  Jong-Hwa Jang1,2*조 자원  Ja-Won Cho1,3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educational contents of the geriatric-related curriculum in dental hygiene departments at colleges across the country. Method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geriatric curriculum, it was investigated by searching the websites of colleges across the country where dental hygiene (curriculum) department was available. Furthermore, a literature review of domestic and foreign textbooks related to geriatric dental hygiene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ontents of geriatric dental hygiene curriculum. Results: Among colleges that offer dental hygiene (curriculum) department, 8 four-year and 12 three-year colleges (24.4%) offered geriatric dental hygiene courses. A comparison of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titled “Geriatric dental hygiene” published by Goonja, Daehan Narae, and Komoonsa showed that basic contents such as the characteristics, health problems, and oral health problems of elderly -people were described in the same context.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volume and importance of the concerned contents also. Conclusions: Universities and related organizations which offer dental hygiene curriculum should continue to conduct studies for the development of geriatric hygiene curricula. Moreover, heightened efforts are needed to ensure that geriatric dental hygiene education is more systematically offered.

Keyword



서론

치과위생사는 치과 진료실에 내원한 환자뿐만 아니라 전 국민의 구강 건강 향상을 위해 기여하고 구강 건강 요구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키는 구강 보건 전문 인력이다[1]. 한국에서 치위생학은 1977년 2년제 전문학사 과정 개설을 시작으로 1994년 3년제로 교육 연한을 연장하였다. 2002년에는 치위생학 학사학위 과정을 개설하였으며, 나아가 대학원 석·박사학위 과정에서 치위생학 전공이 개설되었다[2]. 학교 교육에서 교육 목적과 목표를 성취하는 핵심적인 수단이 교육과정이며[3], 교육과정을 통해 지식과 기술이 체계화되기 때문에 역량을 갖춘 치과위생사 배출은 타당한 교육과정 구성과 운영에 의해 결정된다[4,5]. 또한, 교육과정은 시대적 변화와 더불어 사회적 변화도 반영하며 변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6]. 현재 고령화 현상은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공통된 국가 문제이며, 국가 정책의 중요한 관심사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2026년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20% 이상을 차지하여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측되며, 이러한 한국의 고령화 현상은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급속한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7].

노인들이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국가적 차원의 정책이 필요하며, 기본적인 노인의 심리상태, 인지 변화, 감각 변화, 전신질환과의 관계성 등 노인의 공통적 욕구를 인식하기 위한 전문 인력의 배양 및 역할이 중요하다[8]. 국내 치의학 분야에서 노인치의학 관련 교과목은 11개의 치과대학 중 2개의 대학을 제외하고 9개의 대학이 개설되어있으며[9], 노인치의학 교육 관련 연구가 수행되었다. 고 등[9]의 연구에서는 한국의 치과대학 노인치의학 관련 교과목 강의계획서를 분석하고 외국의 교육 현황을 비교하고 전문가 패널토의 등을 통해 한국의 노인치의학 교육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으며, 이 등[10]의 연구에서는 노인치과 전문과정의 필요성을 강조하여 외국의 노인치과 전문과정 운영현황을 바탕으로 노인의 구강건강 관리, 예방 처치 등에 특화된 한국의 노인 치과 전문의가 배출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국내간호학 분야에서는 노인간호학 교육과정 현황조사 연구[11]부터 노인간호학 교육과정 분석[12] 및 교육과정 정립을 위해 노인간호학 관련 모형을 개발[13]하고, 공통된 핵심역량과 학습 목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14]가 꾸준히 진행되며 노인간호학 표준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2018년 시행된 간호학 학사과정의 노인간호학 핵심역량, 교육내용, 학습 목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14]에서는 미국의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of Nursing(AACN)에서 제시한 노인간호학에 필요한 19개의 핵심역량을 토대로 노인간호학회 전문가 패널토의와 전국의 노인 간호학 수업을 담당하는 교수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국내 노인간호학에서 달성해야 할 13개의 핵심역량과 표준교육과정으로 대분류, 소분류, 학습 목표를 도출하였다.

국내 치위생학 관련 선행연구에서 노인 치위생 관리 및 교육 필요성에 대해 언급해왔다[8,15-17]. 하지만 여전히 국내 치위생(학)과 정규 교육과정에는 노인치위생학 교과목에 대한 표준교육과정이 개발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관련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치과위생사는 국민의 구강건강 증진을 담당하는 인력으로 고령화 시대에 맞는 역량 강화와 직무 영역의 확장이 필요하며, 이에 필요한 핵심역량을 배양하기 위한 노인 관련 교육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전국 치위생(학)과에 노인 관련 교과목 개설현황과 교육내용을 분석하여 표준화된 노인치위생학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에 개설된 치위생(학)과의 교육과정에서 노인 관련 교과목 현황분석을 통해 노인치위생학 교육과정 확립과 표준화된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전국의 치위생(학)과가 개설된 홈페이지를 통해 노인 관련 교과목 개설현황을 파악하고, 노인 관련 교과목 교과서 분석을 통해 교육내용을 파악한 문헌조사 연구이다.

2. 연구대상

홈페이지 검색을 통해 전국 치위생(학)과가 개설된 82개의 대학(4년제 28개, 3년제 54개)을 전수 조사하였으며, 노인 관련 교과목이 개설되어있는 4년제 8개교, 3년제 12개교 노인 관련 교과목 교육과정표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치위생(학)과에서 노인관련 교과목 이수 시 사용하는 교과서 중 군자출판사의 ‘노인치위생학’[18], 대한나래출판사의 ‘노인치위생학’[19], 고문사출판사의 ‘노인치위생학’[20] 및 ‘노인 및 특수 구강관리학’[21], 지성출판사의 ‘oral rehabilitation’[22]을 사용하였다. 또한, 국외 치위생학과 교과서 중 미국 Wolters Kluwer 출판사의 ‘Clinical Practice of the Dental Hygienist 12판’[23], 일본 永末書店(영말서점) 출판사의 ‘歯科衛生士のための 高齢者自歯科学’(치과위생사를 위한 고령자치과학)[24] 교과서를 분석에 사용하였다<Table 1>.

Table 1. Textbooks related to geriatric related to be surveyed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200609_image/Table_KSDH_20_06_09_T1.png

3. 자료수집 및 분석 절차

노인 관련 교과목 개설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9년 11월 1일부터 11월 15일까지 전국의 치위생(학)과가 개설된 82개의 대학의 홈페이지를 검색하여 노인 관련 교과목이 개설된 4년제 8개교, 3년제 12개교의 교육과정표를 확보하였다. 확보한 교육과정표를 통해 노인 관련 교과목 명칭, 이수 영역, 편성 학기, 학점, 이론 시수, 실습 시수, 조사하였다. 부족한 내용은 해당 학교 학과 사무실로 전화 연결을 하여 본 연구의 목적을 설명한 후 질문하여 내용을 보충하였다.

노인 관련 교육내용 분석은 국내·외 치위생(학)과가 개설된 학교에서 사용하는 노인 관련 교과서 및 치과대학에서 사용하는 노인 관련 교과목 7종의 목차 및 학습목표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내용의 타당성 검정을 위해 치위생학 및 치의학 전문가 3인의 자문을 받았다.

연구결과

1. 치위생(학)과 노인관련 교과목 교육과정 현황

국내 치위생(학)과의 노인 관련 교과목 개설현황은 <Table 2, 3>과 같다. 치위생(학)과가 개설된 총 82개의 대학 중 4년제 8개 학교 3년제 12개 학교가 노인 관련 교과목을 전공필수나 선택으로 개설되어 있었다. <Table 3>은 노인 관련 교과목 교육과정 현황 요약 결과이다. 1개의 학교는 1학년에서, 3개의 학교는 2학년에서, 14개의 학교는 3학년에서 2개의 학교는 4학년에 노인 관련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었으며, 학점은 1학점 1개교, 2학점 17개교, 3학점 2개교로 2학점으로 개설된 경우가 가장 많았다. 4년제는 평균 2.12학점, 3년제는 2.00학점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이론과 실습이 동시에 개설되어있는 학교는 3개교였으며, 17개교에서는 이론 과정으로만 수업이 개설되어 있었다.

Table 2. Current status of dental hygiene and geriatric-related curriculum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200609_image/Table_KSDH_20_06_09_T2.png

A=Major required; B=Major elective; C=Intensive major; D=Elective

Table 3. Summary current status of dental hygiene and geriatric-related curriculum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200609_image/Table_KSDH_20_06_09_T3.png

2. 국내·외 노인 치과 관련 교과서

국내 치위생(학)과에서 배우고 있는 출판사별 노인 관련 교과서와 국내 치과대학에서 배우고 있는 노인 관련 교과서, 미국과 일본 치위생학과에서 배우고 있는 교과서 목차를 토대로 내용을 정리해 본 결과는 <Table 4>와 같다.

군자출판사, 대한나래출판사, 고문사출판사의 ‘노인치위생학’의 경우 노인에 대한 특성, 건강문제, 구강건강문제 등과 같은 기본적인 사항은 동일하게 기록되어 있었고, 노인과의 의사소통기법, 노인의 섭식 연하 관리 방법, 노인 구강건강 관리 및 교육 등에 있어서도 유사하게 기록되어 있었다. 차이점은 대한나래출판사의 경우 방문 구강건강 관리에서 칫솔질, 양치법, 구강세정 등의 방법과 치과위생사의 역할이 자세하게 기술되어 있었으며, 군자출판사의 경우 노인의 영양관리와 노인 전문가 치면세정술(와따나베법), 치간청결물리요법(PMTC), 치근면 불소도포 등의 노인치위생처치 방법, 주의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었다. 또한, 군자출판사의 경우 노인구강보건을 위한 치과위생사의 활동과 노인전문 치과위생사로서의 미래 발전 방향에 대한 내용이 기술되어 있었다. 고문사출판사의 ‘노인치위생학’의 경우 2018년부터 발표된 지역사회 통합돌봄(Communtiy care)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노인 치위생 관리과정과 진료실과 진료실 외의 환경에서의 구강관리 방법과 장애 및 질환 별 구강관리 방법이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었다.

대한나래출판사의 ‘노인 및 특수구강관리학’의 경우 노인의 건강 및 구강건강 문제와 관련된 기본적 사항들과 노인환자 구강관리방법과 더불어 와상 환자 구강관리, 전신질환과 구강관리, 장애인 구강관리와 같이 특수 환자의 구강관리와 전신질환과 구강건강의 관련성, 노인구강보건 사업들이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었다.

지성출판사의 ‘Oral rehabilitation(구강재활)’ 교과서의 경우 구강 기능과 관련된 구체적 사항과 노인구강위생 관리를 위한 구강위생용품, 고령자체험과 장애별 안내지침 방법이 기록되어 있었다. 또한, 병태별 환자의 방문지도 실습 방법과 입원실과 중환자실에서의 구강위생관리 등 치과진료실 뿐만 아니라 재택과 병원에서의 노인, 장애인 전신질환자의 구강기능 재활을 위한 치과위생사의 자세와 역할이 구체적으로 기록되어 있었다.

미국 치위생학과에서 배우고 있는 ‘Clinical practice of the dental hygienist’ 교과서 특별환자관리 파트 중 Chater 53 Older Adult Patient(노인치과환자) 파트에서는 치과위생사가 노인을 위해 갖춰야 할 지식과 실무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내용이 기술되어 있었다. 일반적 노화에 따른 변화와 전신질환 중 골다공증과 치주질환의 연관성, 알츠하이머씨 병의 특징적 소견과 관리 방법이 기술되어 있었다. 또한, 실무에서 필요한 구강 위생 관리 방법이 기술되어 있었는데, 치과위생사의 예방관리 계획에 필요한 치면세균막을 조절, 치주처치, 치아우식증 조절 관련 교육방법과 사용되는 기구, 재료 치료방법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리고 노인에게 필요한 영양과 식이 관련 구강 건강 교육을 어떻게 시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일본 永末書店(영말서점)출판사의 ‘歯科衛生士のための 高齢者自歯科学(森戸光彦, 3rd, 2017)’(치과위생사를 위한 고령자치과학)[24]의 경우 한국의 ’노인치위생학’에서 담고 있는 내용을 대부분 포함하고 있었으며, 추가적으로 노인의 전신적 기능과 구강기능, 특히 노인의 섭식 연하 기능을 평가하고 진단하는 방법이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고혈압,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당뇨, 신장질환 등의 전신질환 환자별 평가와 대응법과 통원곤란자 재택진료, 개호보험 제도에 따른 대상자 구강위생관리 내용이 상세히 기술되어 있었다. 그리고 이론적인 내용과 술기에 관한 내용 모두 기술되어 있었으며, 치과 진료실에서의 치과위생사의 역할과 통원 불가능한 자를 위한 재택에서의 치과위생사의 역할이 파트별로 구분되어 있었다.

Table 4. Textbooks related to geriatric dental hygiene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200609_image/Table_KSDH_20_06_09_T4.png

*Publisher: A=Koonja; B=Daehan Nare 1; C=Komoonsa; D=Daehan Nare; E=Jisung; F= olters Kluwer; G=Youngmal Books

총괄 및 고안

현재 한국의 치위생(학)과가 개설된 82개의 대학 중 4년제 8개교, 3년제 12개교 총 20개의 학교(24.4%)에서 노인 관련된 단독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었고, 노인 관련 실습이 개설되어있는 학교는 3개교에 불과하였다. 전국 치과대학이 개설된 11개의 학교에서는 2019년 9개교(81.8%)에서 노인 관련 교과목이 개설되어있다[9]. 또한, 한국의 간호학에서는 2008년 이미 4년제 간호학과 55개교 중 48개교(87.3%)가 독립된 교과목으로 노인간호학이 개설되어있었으며, 25개교(45.5%)에서는 노인간호학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고 있었다[25]. 이와 비교하였을 때 치위생(학)과의 노인 관련 교과목 개설이 매우 낮은 실정임을 알 수 있다.

치의학에서는 노인치의학 관련 교과목 강의계획서를 분석하고 외국의 교육 현황을 비교를 통해 노인치의학 관련 교과목 교육주제와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고[9], 간호학의 경우 노인간호학 핵심역량과 표준교육과정과 학습 목표를 개발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14]. 반면 치위생학에서는 노인교육의 필요성을 언급한 연구들이 시행되었지만[8,15-17], 구체적으로 노인치위생학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방안을 모색한 연구는 미비하였다. 연구를 시행하기에 앞서 교육이 선행되고, 교육으로부터 다져진 지식과 실무능력을 바탕으로 임상 과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발생 되는 문제나 연구 필요성이 대두되는 것이 연구 주제로 제시되어야 하지만 현재 치위생학 연구 동향은 반대로 연구 과정이 교육보다 앞서 시행되고 있는 현실이다. 치위생학에서도 다른 분야와 같이 노인치위생학 공통된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국내 치위생(학)과에서 일반적으로 노인 관련 교과목으로 사용되는 군자출판사와 대학나래출판사의 ‘노인치위생학’[18, 19]의 경우 포함된 내용이 유사한 부분이 많았지만, 목차 순서의 상당 부분이 상이하였으며, 내용에서도 분량과 중요도의 차이가 존재하였다. 또한, 2개의 출판사 모두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와 방문 구강관리에 대한 비중이 높았다. 2020년 고문사 출판사에서는 현재의 시대적 상황과 노인 구강 관리를 중점으로 교육내용이 편성된 노인치위생학 교과서[20]가 신규 발간되었으나, 대부분의 학교에서 노인치위생학 교과목이 개설되어있지 않거나, 전공선택으로 개설되어 통용되지 못하고 있다.

한국과 법률 구조가 가장 유사한 일본의 경우 치과위생사의 역할이 진료실 내로 한정되지 않고 재택이나 시설에서 활동 시 어려움이 없도록 법으로 보호받고 있다[26]. 또한, 일본 치위생학과의 노인 관련 교육은 대부분의 학교에서 ‘치과위생사를 위한 고령자 치과학’을 필수 이수 교과목으로 지정하고 있으며, 일본의 치과위생사 국가고시에서는 노인 관련 문항이 출제된다[27]. 일본은 학부 교육과정부터 구강 노쇠에 대해 중요하게 교육하고 있으며, 2003년부터 연하곤란 관리 과정이 개발되었다. 또한, 노인과 관련된 치위생 교육과정에 노인요양 실습이 포함되고 있으며, 전신질환 환자 연하곤란 관리를 비롯한 치주처치, 구강위생관리 내용이 포함되어있다[28]. 일본은 전문치과위생사 제도가 존재하며, 그 중 노년치과학회의 심사를 거쳐 일본 치과위생사회에서 인정한 후 인증서를 교부하는 노년치과 인증 분야가 확립되어 있어 노인전문 치과위생사가 배출되고 있다[26]. 일본의 치위생학과에서 사용하는 교과서의 경우 이론적인 내용과 관리 방법에 대한 내용이 모두 기술되어 있었으며, 치과 진료실에서의 치과위생사의 역할과 통원 불가능한 자를 위한 재택에서의 치과위생사의 역할이 파트별로 체계적으로 구분되어 있었다[24].

총체적으로 현재 국내 치위생(학)과의 노인 관련 교육 현황은 미비하며, 교육내용에 있어 정확한 기준이 존재하지 않고, 통일성 있는 교육내용과 공통된 목표가 명확하지 않았다. 또한, 노인 관련 교과목이 전공선택으로 개설되어있는 경우가 많아 치과위생사를 양성하는 대부분의 학교에서 치과위생사가 노인에 대해 갖추어야 할 기술 및 지식을 함양하지 못한 채 졸업생을 배출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한 시사점은 첫째, 한국의 치위생(학)과에서는 노인 관련 교과서의 내용 중 우선순위를 바탕으로 핵심역량과 공통된 학습 목표 개발연구를 통해 교육내용에 통일성을 부여해야 한다. 또한, 고령화 시대에 맞는 치과위생사의 역량 강화와 직무 영역의 확장을 위하여 치과위생사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에서는 노인치위생학 교과목을 국가고시 교과목으로 지정하거나 노인전문 치과위생사 교육 제도를 도입하여 치위생학 전공자에게 노인을 대상으로 구강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핵심역량을 배양해야 한다. 아울러 한국치위생학 교육인증평가원에서는 치위생학 전공자들이 노인구강건강관리를 수행하는데 적합한 표준화된 교육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노인치위생학 교과목의 핵심역량, 표준교육과정, 학습 목표가 부재인 상황에서 노인 관련 교육 현황과 교육내용을 조사한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노인 관련 교육 현황을 홈페이지에 탑재되어있는 자료로 조사하였기 때문에 대학에서 실제 운영하고 있는 교육과정과 차이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는 노인 관련 교과목 담당 교수자들이 유동적이어서 실제 강의계획서 확보가 원활하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추후 후속 연구에서는 노인치위생학이 실제로 운영되는 교육내용에 대한 비교 분석 연구뿐 아니라 교육방법이나 교육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시된다.

결론

본 연구는 전국의 치위생(학)과가 개설된 홈페이지를 통해 노인 관련 교과목 개설현황을 파악하고 노인 관련 교과목 교과서를 분석한 문헌 조사연구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치위생(학)과가 개설된 82개의 대학 중 4년제 8개교, 3년제 12개교에서 노인 관련 교과목(24.4%)이 개설되어 있었다. 이수 영역은 전공선택, 이수 학기는 3학년 1·2학기, 이수 학점은 2학점으로 개설된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 한국의 군자출판사, 대한나래출판사의 ‘노인치위생학’의 경우 노인에 대한 특성, 건강문제, 구강건강문제 등과 같은 기본적인 사항은 동일하게 기록되어 있었고, 노인과의 의사소통기법, 노인의 섭식 연하관리 방법, 노인 구강건강 관리 및 교육 등에 있어서도 유사하게 기록되어 있었다. 하지만 전체적인 내용에 있어 분량과 중요도의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목차 순서의 상당 부분이 상이하였다.

3. 일본의 노인치위생학 교육내용의 경우 한국의 ’노인치위생학’에서 담고 있는 내용을 대부분 포함하고 있었으며, 이론적인 내용과 술기에 대한 내용 모두 기술되어 있었고, 치과 진료실에서의 치과위생사의 역할과 통원 불가능한 자를 위한 재택에서의 치과위생사의 역할이 파트별로 구분되어 있었다.

종합적으로 국내 노인치위생학 교육과정 현황은 개설 및 운영이 미흡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노인치위생학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심도있는 연구를 계속 수행하고, 노인치위생학을 전공필수 교과목으로 개설함으로써 노인치위생학 교육이 더욱 체계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활발한 노력이 필요하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d no conflict of interest.

Authorship

Conceptualization: Kim YJ, Jang JH; Data collection: Kim YJ; Formal analysis: Kim YJ; Writing - original draft: Kim YJ; Writing - review & editing: Kim YJ, Jang JH, Cho JW

References

1  [1] Kim CH, Lee SM, Kim HM, Opinions of Korean dental hygienists on the advanced dental hygienist system in Korea. J Dent Hyg Sci 2020;20(2):175-87. https://doi.org/10.13065/jksdh.20200017 

2  [2] Kim EK, Lim SH, Gwon MY, Choi YY, Han HH. Analysis of tasks and education needs for dental hygienist for development of dental hygiene curriculum. J Dent Hyg Sci 2014;14(1):35-42. 

3  [3] Min BS, Moon JS, Kim CS, Yoon WS, Jung JH, Shin HS, et al. A study on improving the curriculum of the A.F.N.A. J Military Nursing Research 2003;21(1):189-242. 

4  [4] Won BY, Hwang MY, Chun SY. The actual condition of operating dental hygiene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america. J Korean Soc Dent Hyg 2010;10(6):1061-71. 

5  [5] Won BY, Jang GW, Hwang MY, Kim SA, Jang JH. Development of Korean standard dental hygiene curriculum proposal. J Korean Soc Dent Hyg 2013;13(1):1-12. https://doi.org/10.13065/jksdh.2013.13.1.001 

6  [6] Kohn E. The impact of community on curriculum decision making: a case study from a north american jewish day school. J Curric Teach 2008;23(1):89-98. https://doi.org/10.7459/ct/23.1.07 

7  [7] Chung KH, Oh YH, Kang EN, Kim KR, Lee YK, Oh MA, et al. A preliminary study for survey of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elderly in 2017.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60-2. 

8  [8] Lee JH, Lee YH, Yun JW, Jang KA. The convergent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of elderly oral health care education by specialist and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Korea Con Soc 2019;10(10):43-50. https://doi.org/10.15207/JKCS.2019.10.10.043 

9  [9] GO HS, Kang KR, Kang KS, GO SM, So JS, Lee SG, et al. Development of education curriculum for geriatric dentistry at basic and expert levels. Seoul: Health policy Institute; 2019: 1-142. 

10  [10] Lee BR, Park SM, Huh JS, Huh KS, Seo JT, Choi SH, et al.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specialist program for geriatric dentistry for the elderly of korea based on their general health status. J Korean Dent Assoc 2019;57(10):579-87. 

11  [11] Lee YJ. A study on the offering status and curriculum of gerontological nursing course[Master’s thesis]. Seoul: Univ. of Ewha Womans, 2007. 

12  [12] Kim MW, Park JM, Han AK. Analysis of curriculum of 4- year nursing school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1;17(3):414-23. https://doi.org/10.5977/JKASNE.2011.17.3.414 

13  [13] Song MS, Gong YS, Kim NC, Kim JH, Kim CK, Kim HK, et al. Development of gerontological nursing curriculum model. J Korean Acad Nurs 2003;33(4):376-85. https://doi.org/10.4040/jkan.2003.33.3.376 

14  [14] Baik SH, Shin DS, Chang SO, Hong GR, Kwon SH, Kim MS, et al. Baccalaureate competencies and curriculum in gerontological nursing. J Korean Gerontol Nurs 2018;20(2):76-85. https://doi.org/10.17079/jkgn.2018.20.2.76 

15  [15] Lee KH, Choi YY, Jung ES. Proposal for dementia-related curriculum development for dental hygiene degree programs in Korea. J Korean Soc Dent Hyg 2019;19(6):891-9. https://doi.org/10.13065/jksdh.20190076 

16  [16] Yun KO, Kim JS, Kim SH. Satisfaction of the aged with their dental treatments and consideration of the necessity for dental hygienic education about the aged. J Korean Soc Dent Hyg 2010;10(4):765-75. 

17  [17] Lim HK, Kim HJ. Factors influencing the communication skill for the elderly of dental Hygienist. J KoCon.a 2016;16(6):627-35. https://doi.org/10.5392/JKCA.2016.16.06.627 

18  [18] Kang BW, Kim NH, Park JR, Lee HS, Jong JJ, Jung SY, et al. Geriatric dental hygiene care. 1st ed. Gyeonggi: Koonja; 2012: 1-207. 

19  [19] Park MS, Kim SR, Kim JA, Kwon SJ, Kwon HS, Kim SH, et al. Geriatric dental hygiene care. 1st ed. Seoul: Dahannarae; 2012: 1-211. 

20  [20] Kim YK, Park JR, Yoo JH, Jang JH, Jung MO, Jung JY, et al. Geriatric dental hygiene care. 1st ed. Seoul: Komoonsa; 2020: 1-286. 

21  [21] Park MS, Kim SR, Bae SJ, Jung JA, Kim KS, Kim MJ, et al. Geriatric and special care dentistry. 1st ed. Seoul: Dahannarae; 2020: 1-207. 

22  [22] Oh SH, Kwon HS, Kim CS, Lee MO, Lee SM, Jang KA, et al. Oral rehabilitation. 1st ed. Seoul: Jisung; 2018: 1-190. 

23  [23] Esther M. Wilkins. Clinical practice of the dental hygienist. 12th ed. Wolters Kluwer. Baltimore 2017: 825-37. 

24  [24] 植田耕一郎 . 歯科衛生士のための 高 齢 者自歯科学 . 第 3 版 . 永末書店 . 日本 . 2017: 1-232. 

25  [25] Yoon ES. Study on the curriculum of gerontological nursing–baccalaureate degree programs (BSN) in Korea -.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08;14(2):188-94. 

26  [26] Yun JW, Kim JS. A study on the dental hygiene legislation in Korea and Japan. J Korean Oral Health Sci 2019;7(3):77-82. 

27  [27]⻭科衛⽣⼠ 国試問題研究会. 徹底分析!年度別⻭科衛生士国家試験問題集 2020年版. 医⻭薬出版. 日本. 2019: 1-484. 

28  [28] Sato Y, Miura A, Saito A. Dysphagia management in a 3‐year dental hygiene education programme in Japan. Int J Dent Hyg 2005;3(4):179-84. https://doi.org/10.1111/j.1601-5037.2005.00144.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