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among dental hygienists on providing oral health care and awareness among the elderly

한국치위생학회
정 경이  Kyung-Yi Chung1하 명옥  Myung-Ok Ha2*김 경희  Kyung-Hee Kim3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dental hygienists understanding of the provisions of oral health care and awareness for the elderly.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285 dental hygienists, currently practicing around Gwangju province, Korea. The questionnaire contained questions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5 items), oral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5 items), and awareness (8 items) among the dental hygienis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chi-square test. IBM SPSS 21.0 program was used for all statistical analyse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47.7% of the dental hygienists took care of 1 to 5 elderly patients per day; they could not provide high quality oral health education to these patients because of lack of knowledge, lack of treatment time, and excessive workload. An analysis of the hygienists’ professional educational experience related to oral healthcare of the elderly during university years showed that the older and more experienced hygienists’ were less likely to have completed this education, i.e., 22.05% and 10.9%, respectively (p<0.001). Of all the dental hygienists, 62.8% were interested in oral health problems of the elderly, and 34.4% of dental hygienists for geriatric oral care were the most needed for geriatric oral care education (p<0.001). Conclusions: According to these results, it is important that dental hygienists participate in training on oral healthcare for the elderly and develop various programs for managing the oral health of the elderly.

Keyword



서론

통계청 인구총조사 결과 2018년도 총 인구는 5,163만 명으로 2014년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반면에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율은 14.8%로 꾸준히 증가하며 고령사회로 진입하였다고 보고하였다[1]. 노인에서 발생하는 질병은 만성병 유병율이 높으며 고혈압, 관절염, 당뇨, 정신질환 및 치주질환 등 5개 질환은 65세 이상의 연령에서 자주 발생한다. 이 중 정신질환과 치주질환은 다른 질환에 비하여 증가 속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치주질환에 지출된 의료비는 2005년 845억 원에서 2015년 9,247억 원으로 10.94배의 증가율을 보여주며 당뇨에 비하여 더 많은 의료비를 지출한다고 하였다[2]. 이와 같이 노인인구의 지속적인 증가는 건강문제로 인한 의료시설 이용 및 의료비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노인은 생리적인 회복력과 면역기능 등 신체 기능의 저하로 인하여 질병에 취약할 뿐 아니라 쉽게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환자의 삶의 질과 수명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건강의 유지와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고령자 10명 중 6명이 보건의료와 건강관리서비스와 관련된 복지서비스를 증가시켜야 한다고 응답하였다[3]. 노인환자 대상 치과 만족도도 치과의사와 치과위생사의 높은 진료수준 뿐만 아니라 친절한 서비스가 중요한 요인이라고 하였다[4]. 임상에서 치과위생사가 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와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다면 노인환자의 구강관리의 질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치과위생사의 노인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고취가 필요하다[5]. 이렇듯 치과위생사에게 노인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태도는 의료서비스의 질과 직결되므로 점점 더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의료분야 서비스에 적극적인 노력과 함께 보건의료 문제에도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6].

구강분야에서 치과위생사는 고령이 되면서 상실되는 치아뿐만 아니라 연하, 발음, 저작 등 구강기능장애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한다[7]. 치과위생사들에 의해 제공되는 전문적인 구강건강관리는 노인들에게 식사의 즐거움을 제공하는 것에서 한층 더 나아가 삶의 질을 더욱 높여주는 의미가 있다[8]. 노인들의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할수록 구강보건전문가로서 치과위생사의 역량 강화는 더욱 필요하며[7], 노인 연령층의 구강건강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인 구강보건사업의 강화도 필요하다. 하지만, 지역보건의료기관에 배치된 구강보건교육 인력은 매우 부족한 상황으로 일선 치과에서 방문하는 노인 환자대상 구강보건교육 및 관리에 관심을 더욱 기울일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임상치과에서는 촉박한 진료 시간이나 치료위주의 진료 또는 노인구강보건에 대한 인식부족 등 다양한 원인으로 노인환자 대상 구강보건교육이 소홀해 지게 된다[9]. 따라서 임상치과에서 치과 관리자 및 치과위생사가 노인환자의 구강보건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노인 구강관리 역량강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치과위생사의 노인과 관련된 선행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에 대한 인식, 노인에 대한 이미지,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업무에 관한 인식도 연구, 보수교육 인식도등이 진행되었다[5,10-12]. 치과위생사가 인식하는 노인의 이미지가 긍정적일수록 행동도 긍정적으로 나타난다고 하였다[5]. 그리고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행동을 조사한 결과 부산지역의 학생들은 노인에 대한 지식이 높으면 태도는 긍정적이었지만 행동은 그렇지 못하였다고 하였으며[10], 경주지역의 학생들은 노인층에게 자원봉사의 경험이 있는 경우 노인에 대해 긍정적인 행동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11]. 또한 일부 치과위생사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을 조사한 결과 노인의 신체적‧생리적 영역에 대한 지식은 높게 나타났지만, 가족‧사회적‧심리적 영역에 대한 지식은 낮게 나타났다[12]. 이렇듯 치위생과 학생 및 치과위생사가 갖고 있는 노인에 대한 이미지와 지식‧태도‧행동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치과에서 노인환자를 대상으로 구강보건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태에 대한 연구는 많이 조사되지 못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치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노인환자에 대한 구강보건관리 제공 실태 및 인식도를 조사하여 노인환자의 구강건강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치과위생사가 노인구강보건 증진 및 유지를 위한 치위생 전문가로서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00대학교 윤리위원회의 승인 후 진행하였다(1041223-201701-HR-036). 연구대상자는 2017년 1월부터 2017년 2월까지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치과의원 및 치과병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수는 G*power 3.1.4를 사용하여 유의수준 α=0.05, 검정력 95%, 효과 크기는 0.5로 했을 때 210명이 필요하지만, 탈락률을 고려하여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최종 분석 대상은 응답이 불충분한 설문지를 제외한 285명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에게 연구목적 및 연구 참여 도중 의사에 변화가 있을 경우 언제든지 중단할 수 있음을 설명한 후 동의서를 작성하였다. 설문 조사는 자기기입법으로 설문에 응답한 후 회수하였다.

2. 연구도구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김[13]의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를 형[14]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5문항, 노인구강보건 실태 5문항, 노인구강보건 인식도 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구강보건관리 제공 실태 문항은 하루에 경험하는 노인구강 관리자 수, 노인의 구강보건교육 시행여부 및 시행이 어려운 원인, 치과에서 노인 구강보건교육 정보 제공여부 및 제공방법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노인구강보건 인식도 문항은 노인구강건강문제에 대한 관심, 노인구강건강유지에 가장 중요한 요인, 가장 심각한 노인구강건강 문제, 노인구강보건 업무 중 가장 중요한 영역, 입 체조에 대해 들어본 경험, 노인구강관리 시 치과위생사가 필요로 하는 인식도, 노인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적절한 연수 실시 방법 및 활성화를 위한 개선점으로 구성하였으며, 노인구강보건 실태와 노인구강보건 인식도의 문항은 모두 선다형으로 하였다.

3. 자료분석

자료 분석은 IBM SPSS 21.0 for windows(SPSS Inc., Chicago, IL,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통계분석에 앞서 본 연구의 데이터는 정규성 검정을 시행하였으며 정규분포를 확인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구강보건관리 제공 실태는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인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이수여부 등 노인구강보건인식도는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성 검정에 이용한 유의수준은 0.05이었다.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성별은 여자가 98.9%로 대부분이었으며, 연령은 25-29세가 43.2%로 가장 많았다. 학력은 전문대학 졸업자가 78.2%, 근무경력은 1-4년 경력자가 42.5%로 가장 많았다. 근무 장소는 치과의원이 258명(90.5%)으로 치과병원 보다 더 많았다.

Table 1. Research subjects of general characteristics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2005209_image/Table_KSDH_20_05_09_T1.png

2. 치과위생사의 노인구강보건관리 제공

치과위생사의 구강보건관리 제공 실태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임상에서 1일 구강관리 노인환자 수는 1-5명이 47.7%로 가장 많고, 현재 노인구강보건교육 시행이 잘 이루어지는가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다는 응답이 68.1%로 나타났다. 현재 치과에서 노인구강보건 교육 시행이 어려운 가장 큰 원인은 치과위생사의 구강관리 지식 부족이 33.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치과에서 노인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가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다는 응답이 61.4%로 높게 나타났고, 38.6%의 응답자는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때 모형을 이용하는 경우가 18.6%로 가장 많았으며, 유인물 13%, 시청각자료 3.9%, 관련도서 3.2% 순이었다.

Table 2. Current situation of oral health for elderly in dental hygienists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2005209_image/Table_KSDH_20_05_09_T2.png

zRelative frequency (RF)+relative cover (RC)/2.

3. 치과위생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인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이수여부

치과위생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인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이수여부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대학 재학 중 노인구강보건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 이수 경험은 연령이 24세 이하 47.9%, 25-29세 45.5%, 30세 이상 22.0%로 연령이 많을수록 이수경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01). 근무경력도 1년 미만 50.0%, 1-4년 50.4%, 5-9년 35.3%, 10년 이상 10.9%로 경력이 많은 치과위생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01). 직장근무 중 노인 구강관리에 대한 전문적인 연수 및 보수교육 경험은 연령이 30세 이상이 35.2%로 24세 이하 9.9%보다 유의하게 교육경험이 높았으며(p<0.001), 경력이 10년 이상이 45.7%로 1년 미만 6.3%보다 교육경험이 높게 나타났다(p<0.001). 또한 근무 장소에 따라 치과병원에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가 재직 중 노인구강보건관련 교육 경험이 88.9%로 치과의원 14.7%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01).

Table 3. Education experiences of dental hygienists on oral health for elder by characteristic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2005209_image/Table_KSDH_20_05_09_T3.png

*by chi-square test

4. 치과위생사의 노인구강보건 인식도

치과위생사의 노인구강보건 인식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노인구강건강 문제에 대한 관심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가 62.8%로 높게 나타났다. 노인구강건강을 건강하게 유지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은 정기적인 구강검진이 58.9%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며, 가장 심각한 노인구강건강 문제는 치주질환이 47.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노인구강보건 업무 중 가장 중요한 영역은 예방처치 영역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67.4%로 가장 많았으며, 입체조에 대해 들어본 경험이 없는 경우가 66.7%로 경험이 있는 경우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치과위생사로서 노인구강관리를 위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노인구강관리 지식 교육이 34.4%로 가장 많았으며, 노인구강보건교육의 적절한 연수 방법은 대학교 재학 중 필수과목이나 교양과목으로 이수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의견이 38.2%로 가장 많았다. 노인구강보건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점은 노인구강보건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치과관리자의 인식이 33.3%로 가장 많았고, 노인구강보건 관리 전문가 양성이 24.6%로 나타났다.

Table 4. Oral health awareness for elderly patients in dental hygienists http://dam.zipot.com:8080/sites/KSDH/images/N02202005209_image/Table_KSDH_20_05_09_T4.png

*by chi-square test

총괄 및 고안

노인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구강질환은 노화로 인한 결과라기보다는 부적절한 구강관리와 예방진료가 행해지지 않아 발생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14]. 65세 이상의 노인은 구강보건에 대한 인식이 높은 수준을 보였지만, 올바른 구강관리를 위한 실천이 낮게 나타났고 구강보건교육을 받은 적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고 보고하였다[14]. 또한, 노인에서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으며 기회가 있다면 60.2%는 교육 받기를 희망한다고 하였다[14]. 일부 지역 주민 대상 치아건강에 대한 관심도를 조사한 결과 10대~40대는 ‘보통이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나, 50~60대는 ‘많다’, 70대 이상은 ‘매우 많다’라고 응답을 하여 연령이 증가할수록 치아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다[15]. 그러므로 고령사회에 들어서고 노인들의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할수록 구강보건전문가로서 치과위생사의 역할은 더욱 중요하다. 하지만 임상에서 수행되는 노인구강관리 실태를 연구한 선행연구[9,14]에서는 노인환자 대상 구강보건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그 요인으로는 진료시간의 부족 및 관리자의 노인환자 대상 구강보건교육 인식 부족이라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임상에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대상 노인구강보건인식도 및 구강보건관리 제공 실태를 알아보고 노인구강관리 전문가로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얻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강보건관리 제공 실태의 결과를 살펴보면 ‘노인환자 구강관리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12.3%를 제외한 74.1%는 1일 1명이상 노인환자 구강관리를 시행하고 있었으며, ‘1~5명의 노인환자 구강관리를 시행한다’고 응답한 경우가 47.7%로 가장 많았다. 이는 형[14]이 전라북도 지역 임상 치과위생사 대상 연구에서 치과위생사들이 15.1%는 ‘노인환자를 경험할 수 없다’고 하였으며, 84.9% 대상자는 노인환자경험을 평균적으로 하루 한명이상 경험한다는 결과와 유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노인구강보건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응답한 경우가 68.1%로 나타났으며, 노인구강보건 교육 시행이 어려운 가장 큰 요인으로는 33.7%가 치과위생사의 구강관리 지식 부족이라고 응답하였다. 하와 김[9]의 치과위생사 대상 연구에서도 62.2%가 ‘노인환자 대상 구강보건 교육을 시행하지 않는다’고 보고 하였으며, 노인구강관리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여유 있는 진료시간과 노인 구강관리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현재 근무 중인 치과에서 38.6%만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정보 제공 시 유인물이나 시청각자료의 활용 보다 모형의 활용이 높다고 응답하였다.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구강 보건 교육은 지식이 실천으로 이어지는 것이 쉽지 않아 효과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16], 진료시간이 촉박한 치과임상에서 짧은 시간에 노인환자 대상 구강보건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관련 기관 및 전문가가 참여하여 다양한 시청각 교육매체를 제작하고 공급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노인구강보건 인식도에 대한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노인치위생 관련 교과목 이수 경험은 전체 응답자 중 38.47%만 이수하였다고 응답하였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이수경험이 낮았다. 재직 중 노인관련 연수 및 보수교육 경험은 경력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임상치과위생사 대상 연구에서 연령이 낮을수록 재학시절 전문교육을 받은 이수경험이 높고 연령이 높을수록 이수경험이 낮게 나타난 결과와 유사하였다[9]. 지와 안[5]의 연구에서 노인교육에 대한 참여의지가 경력 15년 이상인 경우가 71.4%로 높았으며, 노인문제에 대한 관심이 경력 8년 미만이 경우에 비해 8년 인상인 경우 높게 나타났다고 보고한 것과 같이 임상경력이 많을수록 치과에서 노인환자에 대한 관심과 교육 필요성을 높게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치과위생사 교육과정은 간호학과 교육과정에 노인 간호학 교과목이 개설된 비율이 95.0%[17]로 높게 나타난 결과와 비교해 노인 치위생 관련 교과목 편성이 부족한 상황이라 사료된다. 치과위생사 대상 연구에서는 심과 김[12]은 73.9%, 지와 안[5]은 60.8%가 노인관련 정보를 TV, 라디오, 신문 등 매스컴을 통해서 얻는다고 응답한 것으로 보아 치위생 교육에서 노인관련 교과목을 정규 또는 비정규 교육과정으로 편성하여 노인구강관리를 위한 전문지식 및 실습의 내용을 접할 수 있는 기회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구강건강 문제에 대한 관심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가 62.8%로 높았으며, 치과위생사로서 노인구강관리를 위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노인구강관리에 대한 교육이 34.4%로 가장 많았고, 대학교 재학 중 필수과목이나 교양과목으로 노인구강보건교육 이수가 적절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38.2%로 가장 많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와 안[5]도 임상경험이 있는 치과위생사 대상 연구에서 노인관련 전문 교과목의 필요성을 느낀 군이 83.36점으로 필요하지 않다는 군의 79.94점보다 높게 나타났다고 보고한 것과 형[14] 및 하와 김[9]의 임상치과위생사 대상 연구에서 노인구강건강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다고 응답한 결과와 유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노인구강보건교육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노인구강보건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치과관리자의 인식변화(33.3%)와 노인구강보건 관리 전문가 양성(24.6%)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하와 김[9]도 치과위생사의 교육 연수확대와 치과관리자의 인식변화가 필요하다고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였으며, 형[14]은 노인구강보건교육의 적절한 연수방법은 협회의 정기적인 보수교육(38.8%) 및 대학교 재학 중 교육과정(34.1%)을 통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심과 김[12]이 임상치과위생사 대상 노인에 대한 지식연구에서 노인관련 교육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노인에 대한 지식이 높았다고 보고한 것과 같이. 치과위생사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을 높이고 노인구강관리 전문가로서 수행할 수 있도록 협회와 관련기관이 협력하여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임상에서 노인환자에게 행해지고 있는 구강보건관리 및 노인구강보건 인식도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통해 노인 구강보건관리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써 이들에게 좀 더 체계적인 구강관리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 인력과 교육개발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연구대상이 일부지역의 치과위생사들로 한정되어 있어 전체 치과위생사로 일반화시키기에 문제가 있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의 지역을 확대한 연구를 통한 임상에서의 노인환자의 구강보건진료 실태와 치과위생사의 노인에 대한 인식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

본 연구는 치과임상에 있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구강보건관리 제공 실태와 인식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2017년1월부터 2017년 2월까지 28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과위생사의 구강보건관리 제공 실태 분석 결과 임상에서 1일 구강관리 노인환자 수는 1-5명이 47.7%로 가장 많았으며, 노인구강보건교육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응답한 경우가 68.1%로 나타났다. 치과에서 노인구강보건 교육 시행이 어려운 원인은 치과위생사의 구강관리 지식부족이 33.7%, 진료 시간 부족 26.3%, 과다한 업무량 26.0%로 나타났으며, 노인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경우가 61.4%로 높게 나타났다.

2. 노인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이수여부를 분석한 결과 대학 재학 중 노인구강보건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 이수 경험은 연령과 경력이 많을수록 각각 22.05%, 10.9%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이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1).

3. 치과위생사의 노인구강보건 인식도 분석 결과 노인구강건강 문제에 대한 관심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가 62.8%로 관심이 없는 경우 37.2%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p<0.001), 치과위생사로서 노인구강관리를 위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노인구강관리 지식 교육이 34.4%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01).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치과위생사가 노인구강건강 문제에 관심은 높은 반면 임상에서 노인대상 구강보건교육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고령사회에서 노인구강보건 증진을 위해 치과위생사가 전문가로서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대학교 및 협회에서 노인구강보건 관련 교육 및 연수를 정기적으로 시행하며, 치과위생사가 노인구강건강을 관리하는데 전문가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2017년도 광주보건대학교 교내연구비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3017007).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d no conflict of interest.

Authorship

Conceptualization: MO Ha, KY Jeong, KH Kim; Data collection: KY Jeong, KH Kim; Formal analysis: KY Jeong; Writing - original draft: MO Ha, KY Jeong; Writing - review &amp; editing: MO Ha, KY Jeong, KH Kim

References

1  [1] Statistics Korea. 2018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Daejeon: Statistics Korea; 2018: 1. 

2  [2] Lee GS, Jeong HS, Hwang SW, Choi DB, Choi BY, Kim HY, et al. Efficient management of health insurance expenditures on the elderly. Wonju: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7: 19-54. 

3  [3] Yang SB, Moon HS. Oral health status and treatment need of institutionalized elderly patients. J Korean Acad Prosthodont 2008;46(5):455-69. https://doi.org/10.4047/jkap.2008.46.5.455 

4  [4] Yun KO, Kim JS, Kim SH. Satisfaction of the aged with their dental treatments and consideration of the necessity for dental hygienic education about the aged. J Korean Soc Dent Hyg 2010;10(4):765-75. 

5  [5] Ji MG, Ahn KS. A study of images of the elderly perceived by dental hygienists and their behaviors. J Korean Soc Dent Hyg 2008;8(3):23-36. 

6  [6] Lee JY, Jeong MY. Knowledge of dental hygiene students following elderly-related characteristics. Jour. of KoCon.a 2014;14(12):331-9. 

7  [7] Kang BW, Kim NH, Park JR, Lee HS. Jang JH, Jeong JY, et al. Geriatric dental hygiene care. Paju: Koonja; 2012: 2-3. 

8  [8] Park JR. The necessity of professional dental hygienists for the elderly [Internet]. Korean Dent Hyg Assoc.[cited 2017 May 12].Available from:http://news.kdha.or.kr/news/articleView.html?idxno =7069 

9  [9] Ha MO, Kim EM. A study regarding awareness of dental hygienists for elder’s oral health. J Korean Soc Dent Hyg 2016;16(supple):4-5. 

10  [10] Kang HK. A study on dental hygiene students'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towards the elderly in Busan. J Dent Hyg Sci 2006;6(3):219-25. 

11  [11] Choi SS. A study on dental hygiene students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towards the elderly in Gyeong-Ju. J Dent Hyg Sci 2007;7(2):59-64. 

12  [12] Sim SH, Kim JS. A study on knowledge of and attitude to the elderly among some dental hygienist. J Dent Hyg Sci 2010;10(2):71-7. 

13  [13] Kim YH. Attitude and practice related to oral care of geriatric care helpers[Master's thesis]. Daegu: Univ. of Kyungpook National, 2011. 

14  [14] Hyeong JH. A study regarding awareness of dental hygienists for elders’ dental health[Master's thesis]. Jeonbuk: Univ. of Chonbuk National, 2012. 

15  [15] Gwangju Bukgu Community Health Center. Oral health business plan for 2020. Gwangju: Bukgu Community Health Center; 2019: 13. 

16  [16] Nam YO, Park CE, Park JH, Ju Ju, Kim YI. A study on the oral health awareness of the elderly for dental health project planning. J Korean Acad Dent Hyg Educ 2006;6(4):325-37. 

17  [17] Kim MW, Park JM, Han AK. Analysis of curriculum of 4-year nursing schools. J Korean Acad Soc Nurs Edu 2011;17(3):414-23. https://doi.org/10.5977/jkasne.2011.17.3.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