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J Korean Soc Dent Hyg)
Original Article

Exploring core competencies of nonclinical dental hygienists: implications for social dental hygiene curriculum development

1Department of Dental Hygien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Department of Dental Hygiene, Mirae Campus, Yonsei University
3Department of Dental Hygiene, Jeonjukijeon College

Correspondence to Nam-Hee Kim,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Mirae Campus, Yonsei University, 1 Yonseidae-gil, Wonju-si, 26493, Korea. Tel: +82-33-760-5570, Fax: +82-33-760-2919, E-mail: nami71@yonsei.ac.kr

Volume 25, Number 3, Pages 241-53, June 2025.
J Korean Soc Dent Hyg 2025;25(2):241-53. https://doi.org/10.13065/jksdh.2025.25.3.7
Received on April 09, 2025, Revised on May 06, 2025, Accepted on May 27, 2025, Published on June 30, 2025.
Copyright © 2025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ore competencies required of to inform the development of a social dental hygiene curriculum.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job roles and essential competencies of 17 nonclinical dental hygienists from four sectors (community health, public institutions, policy advocacy, and entrepreneurship), using qualitative interviews. Results: Nonclinical dental hygienists performed tasks involving health program planning, policy analysis,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health content development, and administrative management. Essential competencies include planning, problem-solving, data analysis, communication, and leadership skills. The participants emphasized the need for dental hygiene education to shift from clinical techniques to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at reflects expanded professional roles. Conclusions: Practical skills, such as project management, policy interpretation, interdisciplinary teamwork, and content creation, must be integrated into the social dental hygiene curriculum. This educational transition would enable dental hygienists to respond effectivelyto evolving societal needs and fulfill their expanded professional roles.

Keywords

Community health, Curriculum, Dental hygienist, Professional competence, Qualitative research

서론

우리나라 치위생학 교육은 1965년 최초의 치위생학 교육기관이 창설된 이후 약 60년간 양적성장과 질적성장을 지속해왔다. 1977년에는 전문학교에 치과위생과가 신설되었고, 1994년에는 전문대학 치위생과의 수업연한이 3년제로 연장되며 교육의 체계성이 강화되었다. 이후 2002년 4년제 대학교에 치위생학과가 개설되었고, 2007년 석사학위 과정, 2013년에는 박사학위 과정이 차례로 신설되며 치위생학의 고등교육 체계가 마련되었다. 이러한 수업연한의 연장과 대학원 과정의 개설은 치위생학 교육의 중심축을 기술 전달에서 학문적 이론 탐구와 전문직 정체성 확립으로 이동시키는 전환점이 되었으며[1], 특히 고등교육과정은 치위생학의 학문적 기반을 강화하고, 보건의료 전문가로서 치과위생사의 전문성을 갖추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2].

세계치과위생사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Dental Hygienists, IFDH)은 치과위생사란, 대상자의 전 생애에 걸쳐 건강 및 구강건강 관리를 제공하는 일차구강건강관리 제공자로 정의하였으며, 이들은 임상가, 교육자, 의사소통자, 협력자, 비판적 사고자, 연구자, 조정자 등 전문적인 역할을 통하여 개인과 지역사회의 구강건강 증진 및 대상자 중심의 구강질환 예방 및 포괄적 구강관리를 제공하는 전문가라고 설명하였다[3].

최근 우리나라는 초고령사회 진입과 더불어 만성질환의 급증, 지역사회 중심의 일차의료 체계 강화, 노인의료 및 돌봄 통합서비스 확대, 디지털 헬스케어 기반 건강관리 등 보건의료 환경 전반에 걸쳐 큰 변화를 겪고 있다. 이러한 보건의료분야의 환경변화는 예방 중심의 건강관리, 다학제 간 협력, 공공보건 기능의 강화 등 보건의료 서비스 전반의 새로운 방향을 요구하고 있다[4]. 치과위생사의 직무도 기존의 임상 진료협조 역할을 넘어, 공공보건, 정책 참여, 교육 및 기획 등 보다 넓은 사회적 역할로 확대되고 있다. 실제로 보건소 비롯하여 보건복지부, 산하 공공기관, 정책연구기관 등 다양한 기관에서 치과위생사의 활동이 수행되고 있으며, 이는 치과위생사가 국민 건강과 구강건강을 책임지는 보건의료 전문가로서의 위상을 강화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치위생학 교육과정의 주된 내용은 임상 중심의 진료협조, 예방처치, 환자관리 등의 직무 수행을 기반으로 개발되어 왔으며, 치과위생사의 역할 역시 전통적인 임상가 역할에 집중해왔다. 이러한 교육내용은 변화하는 보건의료 환경과 치과위생사의 확대된 역할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치과위생사는 변화하는 사회적 요구에 적절히 대응하고, 다양한 건강 문제와 구강건강 문제 해결에 실질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직무 역량을 갖출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직무기반 역량중심 교육체계로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2015년 한국연구재단의 학술연구 분야에 대분류 의약학, 중분류 치의학, 소분류 치위생학으로 등재되면서 세부 영역으로 임상치위생학, 사회치위생학, 교육치위생학으로 분류되었다. 2014년 치위생학 학문분류 정립을 위한 연구보고서에서는 사회치위생학(Social dental hygiene)을 ‘치과위생사의 지역사회구강보건 업무에 관련한 지식과 술기의 영역인 지역사회구강보건 분야를 연구하는 세부전공분류’ 라고 제시하였으며[5], 선행연구[6]에서는 사회치위생학은 ‘인구집단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치과위생사가 주도하는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연구와 활동을 추구함’으로 정의하였다.

사회치위생학은 치과위생사가 지역사회 보건 및 구강건강 향상을 위한 실천적 활동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초 지식과 태도를 함양하는 교과목으로서, 치위생학 교육과정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선행연구 결과, 교육과정이 치과위생사의 실제 직무내용 및 요구되는 역량과의 연계성이 부족하며, 이론 중심의 지식 위주 교육에 치우쳐 실천적 태도와 행동 역량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문제로 지적하였다. 또한 건강보험, 복지제도 등 정책 변화에 대한 반영이 미흡하고, 정책참여나 사회적 책무성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이 부족하다는 한계도 제시되었다. 아울러 학습목표 간의 체계성과 일관성이 낮고, 교재 및 평가체계와의 연계성도 미흡하여 교육과정 전반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점에서 학습목표의 전면적인 개정과 직무 기반 역량 중심 재구성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6,7].

이에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비임상 분야를 지역사회 보건, 공공기관, 정책사업, 창업 및 경영 등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각 분야 실무자의 직무 경험과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기존 선행연구[8-10]를 분석한 결과, 치과위생사의 비임상 직무에 관한 연구는 주로 보건소와 같은 특정 기관에 국한되었으며, 직무수행 및 직무교육 요구도 등과 같은 양적 조사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치과위생사의 다양한 비임상 직무를 포괄적으로 다루거나, 그 결과를 교육과정 개발에 연계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었다.

본 연구는 사회치위생학 교육과정 개발을 목적으로 비임상 분야 실무자의 실제 직무 경험과 요구 역량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교육과정 개선 방향에 구체적으로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뚜렷한 차별성을 가진다. 특히, 직무 중심의 사회치위생학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실천적 연구로는 국내 최초의 시도라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이론적 타당성과 교육적 실효성을 동시에 갖춘 학문적, 실천적 의의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Colaizzi[11]의 현상학적 분석 방법에 따라, 비임상 분야에서 활동 중인 치과위생사의 직무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17명을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이는 질적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자료의 포화(Data saturation)를 고려할 때 적절한 규모로 간주되며, 현상학적 연구에서 권장되는 참여자 수(5-25명)의 범위 내에 있다[12].

연구참여자는 직무 영역별 특성과 핵심역량, 교육과정의 학습내용을 효과적으로 도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4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A그룹(지역사회 보건 분야), B그룹(공공기관 분야), C그룹(정책옹호 및 정책사업 분야), D그룹(창업 및 경영 분야). 연구대상자 선정 기준은 치과위생사 전체 경력 5년 이상이며, 각 그룹별로 해당 분야에서 실무 경력 1년 이상을 보유한 치과위생사 4-5명으로 구성하였다. 이는 직무의 다양성과 대표성 확보를 고려하여 선정하였다<Table 1>.

본 연구는 연세대학교 생명연구윤리심의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심의를 거쳐 승인된 후 진행되었으며(IRB No. 1041849202308-SB-155-01), 연구 종료 후 모든 자료는 연구윤리 규정에 따라 안전하게 폐기할 예정이다. 또한 연구 전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의 자율성과 권익 보호, 생명윤리 및 개인정보 보호 원칙을 철저히 준수하였다.

2. 자료수집

자료 수집은 2024년 9월부터 2024년 11월까지 약 3개월간 순차적으로 진행되었으며, 반구조화된 개별 심층면담(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을 통해 이루어졌다. 면담 전에 모든 참여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절차, 자료 활용 범위, 익명성 보장 및 개인정보 보호 원칙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였다. 참여자들은 연구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발적 동의서를 제출한 후 인터뷰에 참여하였다. 인터뷰는 참여자의 동의를 얻어 전 과정 녹음되었으며, 녹음된 인터뷰는 전사하여 질적연구 분석에 활용하였다. 또한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는 익명화하여 분석 과정에서 철저히 보호하였다.

심층면담은 1:1 개별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참여자의 직무 경험과 인식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인터뷰는 참여자의 동의를 받은 후 최소 50분에서 최대 90분간 진행되었으며, 전 과정은 녹음 후 전사하여 질적 분석의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는 익명화하여 분석 과정에서 철저히 보호하였다.

면담 질문지는 직무역량 프레임워크와 선행연구에 기반한 문헌고찰을 토대로 구성되었으며[9,13], 사전 시범면담을 통해 내용 타당성을 검토한 후 최종 확정하였다. 인터뷰는 다음과 같이 다섯 단계로 구성하였다.

첫째,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참여자의 자기소개, 직무 경력, 소속 기관의 특성 등을 파악하였다. 둘째, 직무 이해 단계에서는 수행 중인 직무 내용과 해당 분야 진입 동기, 준비 과정 등을 질문하였다. 셋째, 직무 수행의 어려움 및 극복 사례에서는 실무 과정의 난관과 해결 방법을 통해 요구되는 역량을 파악하였다. 넷째, 사회적 요구 변화 인식에서는 사회적 변화에 따른 치과위생사의 역할 변화와 임상현장과의 차이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핵심역량 및 교육과정 개선 의견에서는 직무 수행에 필요한 교육 내용, 향후 교육과정에 반영되어야 할 사항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이러한 체계적인 구조화된 질문은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높이는데 기여하였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participants

table

3.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인터뷰 전사자료를 Colaizzi[11]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Colaizzi 방법은 인터뷰 내용을 기반으로 의미 있는 진술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통된 주제를 체계적으로 정리함으로써 참여자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적합한 질적 연구 방법이다. 특히, 비임상 분야에서 활동하는 치과위생사의 직무와 핵심역량에 대한 생생한 경험을 분석하는 본 연구의 목적과 부합하며, 분석 결과를 참여자에게 환류하는 과정을 포함함으로써 연구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타당성이 있다.

자료 분석 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우선 연구자 두 명이 전사 자료를 반복적으로 읽고, 의미 단위를 중심으로 코딩을 수행한 뒤, 유사한 내용을 묶어 범주(Category)를 도출하였다. 초기 코딩 이후, 두 연구자는 코딩 결과를 상호 비교 및 논의하여 공통된 범주 및 하위 범주를 도출하였다. 이 과정에서 해석의 일관성과 분석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연구자 간 교차 검토(Peer debriefing)를 병행하였다.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도 확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적용하였다. 첫째, 분석 결과가 참여자의 실제 진술 맥락과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일부 사례에 대해 참여자 검토(Member checking)를 실시하였다. 둘째, 분석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연구자 간 상호 코딩(Investigator triangulation)을 적용하였다. 셋째, 분석 과정에서 연구자의 주관적 해석 개입을 최소화하고자 각자 독립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교차 검토하는 절차를 반복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분석 과정에서의 해석적 일치를 도모함으로써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자료 분석 과정에서 도출된 주요 결과는 각 연구 질문에 대응되도록 다음과 같이 세 가지 핵심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1) 치과위생사의 직무내용 및 역할, 2) 치과위생사의 핵심역량 및 학습내용, 3) 치과위생사의 전문성 확대 및 역할 확장 방안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범주에 대한 설명과 함께 참여자의 실제 진술 인용문(Verbatim quotes)을 병행 제시함으로써, 분석 결과의 해석적 타당성을 높이고 독자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1. 지역사회 보건분야(A그룹)
1) 치과위생사의 직무내용 및 역할

지역사회 보건분야의 치과위생사는 지역주민 대상 구강보건사업의 기획부터 평가까지 사업의 전 과정을 주도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타 부서와 협력하여 다양한 보건사업에도 적극 참여하고 있었다. 이들은 구강보건 교육자의 역할을 넘어, 지역사회 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실무 책임자로서 사업계획 수립, 예산 관리, 성과 평가 등 실질적이고 폭넓은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보건소에서는 지역주민 구강보건교육만 하는 것이 아니라 감염병 대응도 해요. 코로나 당시에는 역학조사도 했고, 주민 예방접종 관리도 했습니다.”
“예전에는 구강보건사업만 맡았지만, 현재는 감염병 대응, 보고서 작성, 정책 자료 분석까지 다양한 업무를 합니다.”
“지역사회 보건사업은 생애주기별 대상자 맞춤형 기획이 핵심이에요. 사업계획서 작성, 프로그램 운영, 성과 평가까지 모두 담당하게 됩니다.”
“교육과정에서는 사업기획서 작성법이나 보건사업 설계 실습 같은 건 전혀 배우지 않지만, 현장에서는 그게 기본이에요.”

2) 치과위생사의 핵심역량 및 학습내용

지역사회 보건분야의 치과위생사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은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사업기획력, 정책자료 분석력, 다학제 협력 능력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보건정책 자료를 분석·활용하고 사업계획 수립 및 성과 평가 역량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다. 또한 다양한 건강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공중보건학 및 역학 등의 기초지식과 다학제 협력 역량이 강조되었다.

“사업계획서 작성, 대상자별 프로그램 기획, 보건서비스 평가 역량은 필수예요. 이건 실제로 교육에서 배운 적이 없어도, 현장에서는 꼭 필요한 능력이에요.”
“공공기관에서 일하려면 의학·행정 용어 해석 능력도 필요하고, 정책 문서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능력도 중요합니다.”
“감염병 대응에서는 역학 지식, 보건 데이터 분석, 보고서 작성 능력이 매우 중요합니다. 치과위생사도 이런 역량을 갖춰야 해요.”
“전신질환이나 만성질환 이해도 필요해요. 치과에 오기 전 환자의 건강 배경을 이해하면 더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요.”

3) 치과위생사의 전문성 확대 및 역할 확장 방안

지역사회 보건분야의 치과위생사는 구강보건사업에 국한되지 않고, 만성질환 예방, 통합건강증진사업 등 지역사회의 전반적인 건강 문제를 해결하는 보건 전문가로서의 역할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이를 위해 공중보건학, 보건정책학, 보건사업 프로그램 개발 및 역학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다학제 협력을 주도하는 리더십을 갖추어야 하며, 사업계획 수립과 자원 배분 과정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또한 치과위생사의 보건소 내 관리직 진출과 보건복지부, 한국건강증진개발원 등 공공기관으로의 진출 확대가 전문성 강화와 역할 확장에 필수적이라고 강조하였다.

“치과위생사가 보건정책 설계나 공공보건행정에 참여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보건복지부나 건강증진개발원, 국립중앙의료원에도 진출해야죠.”
“치과위생사가 정치에 진출해야 구강보건사업과 구강보건정책이 힘을 얻을 수 있어요. 국회에 치과위생사 출신이 꼭 필요합니다.”
“통합 돌봄, 만성질환 연계사업, 노인복지 등에서 치과위생사의 역할은 계속 확장되어야 합니다. 사회적기업이나 방문건강관리까지 포함해서요.”
“보건학 전공을 통해 다양한 비임상 분야로 진출할 수 있다는 걸 후배들에게 꼭 알려주고 싶어요.”

2. 공공기관 분야(B그룹)
1) 치과위생사의 직무내용 및 역할

공공기관 분야에서 활동하는 치과위생사는 보건복지부, 질병관리청, 한국건강증진개발원 등 국가 보건의료 관련 기관에서 다양한 정책 개발과 연구사업을 수행하고 있었다. 이들은 구강보건에만 국한되지 않고 만성질환 관리, 건강증진사업, 보건의료 전문인력 교육프로그램 개발 등 폭넓은 직무를 수행하였다. 특히 연구 기획, 정책 개발, 사업 성과 평가, 콘텐츠 제작 등의 실무 책임자로서 정부기관, 의료계, 국민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의 의견 조정과 협력을 주도하였다.

“공공기관에서 저는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 사업에서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역할을 담당했습니다. 대상자 맞춤형 교육 내용 구성부터 예산·일정 조율까지 직접 기획하고 실행하는 실무 중심 업무가 많았습니다.”
“보건정책사업을 추진하다 보면 보건복지부, 건강보험공단, 심평원 등 다양한 기관과 협업해야 해서, 이해관계 조정과 보고서 작성 능력이 중요합니다.”
“정책 사업은 단순히 교육을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자 선정, 정책 근거 자료 정리, 사업 결과 분석까지 모두 수행해야 하는 고차원적 업무입니다.”
“과거에 보건소에서 일할 때는 구강보건교육 뿐 아니라 감염병 대응이나 통합건강증진사업 관리까지 맡았던 경험이 있구요, 실제 현장에서는 예산 기획, 보건 프로그램 평가, 교육 콘텐츠 개발 등 기존 교육과정에서 배우지 않은 영역의 업무가 더 많았습니다.”

2) 치과위생사의 핵심역량 및 학습내용

공공기관에서 활동하는 치과위생사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으로는 정책 흐름에 대한 이해력, 보건데이터 분석 및 해석 능력, 다직종 간 협업을 위한 소통 및 조정 능력 등이 제시되었다.

특히, 교육 기획력과 사업 목적 설정, 효과 분석 능력, 정책 문서 작성 및 예산안 검토 등 실무 중심 역량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데이터 기반 분석과 종합적 사고력, 대상자 분류 기준 설정 등 고차원적 판단 능력 또한 실무 수행을 위한 필수 요소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역량은 현재의 치위생학 교육과정에서는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한계가 지적되었다. 이에 따라 보건정책 기반 실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정책 문서 해석, 협업 커뮤니케이션, 통계 분석 중심의 학습 강화가 필요하다는 제언이 도출되었다.

“가장 중요한 역량은 정책 흐름을 읽는 능력, 보건 데이터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능력, 그리고 다양한 직종 간 소통·조율 능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정책 설계를 위해서는 교육 기획력, 사업 목적 수립, 효과 분석까지 모두 필요하고, 이를 지원할 수 있는 통계 분석 역량도 반드시 갖춰야 해요. 이를 수치화해서 평가하는 능력까지 필요해서, 종합적인 사고 능력이 중요하다고 느꼈습니다.”
“예산안 분석, 정책 보고서 작성, 대상자 분류 기준 설정 등 실무 중심 능력은 실질적으로 필요한데, 치위생학 교육에서는 거의 다뤄지지 않습니다.”
“다학제 간 협업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보건 정책 문서에 대한 이해력은 교육과정에서 반드시 강화되어야 할 부분입니다.”

3) 치과위생사의 전문성 확대 및 역할 확장 방안

공공기관 분야의 치과위생사는 구강보건 중심의 한정된 역할에서 벗어나 국가 차원의 보건정책 및 건강증진 사업 전반으로 역할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현재 공공기관에서 활동하는 치과위생사의 수가 적고, 법적 배치 기준이 미비하여 구강보건사업 운영의 어려움이 존재하기 때문에, 주요 공공기관에의 진출을 확대하여 정책 개발 및 사업 기획 전반에 참여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보건정책학, 보건행정학, 보건의료 통계분석 등 관련 역량의 심화된 학습이 요구되며, 이를 바탕으로 치과위생사가 보건행정 전문가, 정책기획자 및 공공보건 연구자로서 전문성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보건복지부 산하에 구강정책과가 있음에도 치과위생사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 현실이에요. 전문 인력으로서 치과위생사의 위상이 더 높아져야 합니다.”
“치과위생사도 정책 기획자, 보건행정가, 연구자로서 활동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사회는 더 이상 임상기술자만을 원하지 않습니다. 후배들이 새로운 진로를 가질 수 있도록, 치위생학 내에서 비임상 진출 가능성을 적극 알려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는 디지털 헬스케어, AI 기반 보건서비스, 건강 빅데이터 분석까지 치과위생사의 역할이 확장되어야 하며, 교육과정도 이에 대응해야 합니다.”
“공공기관 안에서 치과위생사가 목소리를 내기 위해서는 정책 분석력과 행정 감각이 필요해요. 이제는 구강보건 교육자에서 정책 참여자까지 역할 확대가 필요합니다.”

3. 정책옹호 및 정책사업 분야(C그룹)
1) 치과위생사의 직무내용 및 역할

정책활동 및 정책사업 분야의 치과위생사는 치과의료정책연구원, 보건사업 연구기관, 치과계 언론기관 등에서 치과의료계의 이슈를 발굴하고 이를 사회적으로 공론화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들은 정책자료 수집과 분석, 언론 기획 보도, 대외 협력 활동을 통해 구강건강의 가치를 정책에 반영하고 사회 전반에 전달하는 실천가로서 활동 중이다. 또한 노인통합돌봄사업, 국제보건(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사업 등 다양한 국가 정책사업에서 교육자료 개발, 프로그램 기획, 홍보 콘텐츠 제작 등의 직무를 수행하며, 치과위생사의 전문성과 사회적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지금 있는 회사는 치위생 기반의 사업을 다루는 기업입니다. 교육 콘텐츠 기획, 교육 자료 제작, 교육 프로그램 진행 등 치과위생사의 전문성을 활용한 기획 업무를 하고 있어요.”
“기자로 일할 당시에는 치과계와 일반인을 연결하는 매체로서 치과위생사의 전문성을 기사로 풀어내는 역할을 했어요. 단순히 기사 작성뿐 아니라, 정책 동향 분석과 기획기사 구성까지 담당했습니다.”
“노인 의료 돌봄 수요가 계속 증가하다 보니까 전신 건강에 관련한 의료 돌봄 서비스가 이제 각 지역에서 굉장히 많이 진행이 되면서, 저희 OO지역도 통합돌봄 사업에 구강관리서비스를 실제 치과위생사가 방문해서 구강관리 중재 활동을 하게되었어요.”
“실무적으로는 기자로서 보건복지부나 통계청 자료를 활용해 보도자료나 기사로 재구성하는 능력이 요구되었고, 이를 위해 통계 해석 역량도 중요했어요.”

2) 치과위생사의 핵심역량 및 학습내용

정책활동 및 정책사업 분야에서 요구되는 주요 역량은 의사소통능력, 문서작성 능력, 정책이슈 분석력, 콘텐츠 기획·제작력, 프로그램 운영 능력, 홍보전략 수립능력, 다분야 협업 역량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건의료 정책의 흐름을 파악하고 치과계 이슈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논리적 표현력과 전략적 소통 능력이 중요하게 강조되었다. 이와 함께, 다양한 이해관계자(정부, 전문가, 대중 등) 간 협업을 위한 조정력, 메시지 구성력, 시각자료 활용 능력도 실무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역량 개발을 위해 교육과정에서는 정책자료 해석 및 콘텐츠화 실습, 보건홍보 및 커뮤니케이션 전략 교육, 다학제간 협력 교육 등 실천 중심의 학습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도출되었다. 아울러 구강건강이 전신건강과 밀접히 연관된다는 점에서, 노인 구강관리, 연하장애 예방 등 통합형 건강관리 교육도 병행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보건정책을 이해하고 구강건강 정보를 대중에게 쉽게 전달하는 역량, 즉 콘텐츠 기획력과 글쓰기 능력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대학원 과정에서는 연구적인 것 뿐만 아니라, 윤리적인 부분이나 사회적인 책임에 관한 교육도 필요할 것 같아요. 치과위생사가 단순히 치과에서만 일하는 것이 아니라 공공의 이익이나 전문직으로써의 책임을 다하는 것도 배워야 하지 않을까 싶어요.”
“기사를 작성하려면 이슈 파악, 자료 수집, 인터뷰 기획, 통계 해석 등 종합적인 정보활용 능력이 필요합니다. 학생들도 콘텐츠 작성, 기사 기획 등의 실습을 통해 실제 언론·기획 역량을 미리 체험해본다면 다양한 진출 경로를 고민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다학제적 협력도 필요하지만 그 팀 내에서도 많은 연구자들이 모여 있다 보니까 팀워크나 정보 공유 면에서도 이런 소통이 잘 되어야 되기 때문에 이 협력이 가장 중요한 것 같아요.”

3) 치과위생사의 전문성 확대 및 역할 확장 방안

이 분야의 치과위생사들은 구강보건에만 머무르지 않고, 사회적 이슈를 공론화하고 이를 보건정책에 연결하는 실천가로서의 역할 확대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보건교육 콘텐츠 기획자, 정책 제안자, 홍보 전문가로의 역할 전환을 통해 치과위생사는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보건 전문가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책 흐름에 대한 이해, 기획력, 홍보 전략 수립 능력, 콘텐츠 제작 역량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이러한 역량을 통해 치과위생사는 정책 기반 실무자로서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야 한다. 특히 노인통합돌봄사업, 국제보건사업 등 다분야 협력이 요구되는 공공보건 영역에서 교육자료 개발과 성과 홍보까지 주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이며, 향후 다양한 공공보건 분야로의 진출을 기대할 수 있다.

“치과위생사 출신 기자가 많아져야 치과계 목소리를 더 균형 있게 반영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치과위생사가 전문기자로 활동할 수 있는 기반이 필요합니다.”
“임상에서 벗어난 다양한 분야에 치과위생사가 진출해야 직업의 위상이 높아집니다. 기자, 콘텐츠 제작자, 인플루언서, 정책기획자 등으로의 확대가 필요해요.”
“저는 구강건강이 전신건강과 연결된다는 인식을 사회 전반에 확산시키고 싶었고, 이런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플랫폼이 필요하다고 느꼈어요. 치과위생사는 단순한 임상 직종이 아니라, 공중보건 콘텐츠 개발자이자 건강 커뮤니케이터 역할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저는 치과 위생사가 업무 방문 간호 방문 구강 관리에 있어서는 구강 관찰의 개념으로 치과위생사가 할 수 있게 법이 좀 제정돼야 된다고 생각이 들어요. 특히, 방문구강관리 사업에서 저희 업무가 너무 한정적이고, 뭐 하려고 하면 제약이 너무 많아요.”

4. 창업 및 경영 분야(D그룹)
1) 치과위생사의 직무내용 및 역할

창업 및 경영 분야의 치과위생사는 사회적 기업을 운영하거나, 치과병(의)원 경영컨설팅 및 치과종사자의 교육 회사를 창업·운영하며 기존임상가의 역할을 넘어 다양한 경영 및 교육 분야로 전문성을 확장하고 있다. 이들은 경영자, 교육 기획자, 보건서비스 제공자, 사회적 실천가로서 교육 콘텐츠 개발, 보건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조직 운영, 인력 관리, 경영 전략 수립 등 폭넓은 직무를 수행하며 치과위생사의 직무영역을 확장하고 있었다.

“사회적기업을 통해 발달장애인을 위한 주간활동센터, 방과후 활동, 도전적 행동 지원사업 등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기획·운영하고 있어요. 치과위생사로 시작했지만 행정, 유통, 교육, 콘텐츠 개발까지 복합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장애인 활동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운영하는 실무는 물론, 도청과 복지부를 상대하며 정책 제안과 예산 확보까지 담당하고 있어요.”
“방문형 유치원 교육을 스타트로 해서 창업을 시작했어요. 이후 예비사회적 기업을 준비하면서 사회봉사 공헌을 무엇을 할 것인가를 제가 선택을 했어야 되는데 그때 이제 제가 노인 요양시설의 어르신들의 구강관리를 수익화 사업모델로 만들었어요.”
“병원 컨설팅 그룹이라는 컨설팅 회사의 대표로서 근무를 하고 있구요. 저희는 치과위생사 1년차부터 중간관리자급, 그리고 원장님이나 치과의사까지 교육과 경영 컨설팅, 병원 조직관리를 하고 있어요.”

2) 치과위생사의 핵심역량 및 학습내용

이 분야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은 사업기획 및 운영 역량, 조직관리 및 인력관리 능력, 마케팅 및 의사소통 능력, 재무 및 경영 전략 수립 능력, 사회적 가치 실현 역량, 리더십과 다분야 협업 역량 등이다. 이는 치과위생사가 보건서비스를 독립적으로 기획·운영하고 조직을 이끄는 데 필요한 실무 중심의 역량이다. 특히 사회적기업 창업, 병(의)원 대상 경영컨설팅 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창업 프로세스, 사회적기업 모델, 비즈니스 모델 개발 등 실습 중심 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또한 보건·복지 연계 사업(예: 노인통합돌봄, 발달장애인 지원사업) 참여를 위한 사회복지 정책과 보건복지 행정에 대한 기초 지식도 필수적이라는 점이 지적되었다. 실무역량 강화를 위해 다양한 현장(사회적기업, 지역사회기관, 복지시설 등)에서의 실습 기회 확대도 필요하다는 제언이 도출되었다.

“사회적기업 창업 초기부터 행정 실무, 사업계획 수립, 정책 제안 역량이 꼭 필요했어요. 치위생 전공만으로는 부족했고, 사업 운영에 필요한 다양한 행정 능력을 습득해야 했습니다.”
“멘토링, 네트워킹, 예산계획서 작성 등 실제 사업을 기획하고 확장하기 위한 실무적 역량이 매우 중요했어요.”
“보건소 근무 경험이 바탕이 되었지만, 복지 정책에 대한 분석력, 커뮤니케이션 능력, 문제 해결 능력은 별도로 학습해야 했습니다.”
“문서 다루는 능력이요, 한글도 잘 못 다루고요. 워드도 잘 못 다루고 엑셀도 못 다루고 PPT도 다 못 다뤄요. 특히나 엑셀 같은 거를 잘 다루지 못 하니까 데이터 분석하는 거 그리고 데이터를 입력을 하는것도 싫어하고 어려워해요.”

3) 치과위생사의 전문성 확대 및 역할 확장 방안

창업 및 경영 분야의 치과위생사는 고유한 전문역량을 바탕으로 독립적인 비지니스 모델을 개발하고, 다양한 사회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전문직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들은 보건서비스 기획자, 조직운영자, 교육 콘텐츠 개발자, 사회적 실천가 등으로서 다층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예를 들어, 사회적기업 창업, 치과의료기관 대상 교육 및 경영 컨설팅, 구강건강교육 플랫폼 개발, 취약계층을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 등의 사례는 치과위생사가 보건전문가로서 주도적으로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참여자들은 치과위생사가 임상 분야를 넘어, 지역사회 복지 리더, 정책 제안자, 교육 콘텐츠 개발자 등으로서의 역할 확대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는 전문성을 기반으로 한 직업적 위상 강화를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발전 방향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었다.

“치과위생사는 임상 직종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내에서 복지 리더, 정책 제안자, 교육 콘텐츠 개발자로서의 역할이 확대되어야 합니다.”
“치과위생사의 전문성을 다양한 영역에 접목하면 새로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으며, 직업적 위상도 함께 높아질 수 있습니다.”
“장애인 구강관리 교육, 예방 중심 콘텐츠 개발, 정책 제안 등에서 치과위생사는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충분한 가능성을 갖고 있습니다.”
“저는 치과위생사로 시작했지만, 사회적기업 대표로 성장하면서 치과위생사의 사회적 책임과 영향력을 새롭게 경험하고 있어요.”

5. 비임상분야의 치과위생사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

지역사회 보건, 공공기관, 정책활동 및 정책사업, 창업 및 경영분야 등 비임상분야에서 활동하는 치과위생사의 핵심역량을 A-D 그룹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그룹별 세부 활동 영역 및 핵심역량의 내용은 상이하였으나, 공통적으로 임상 진료협조 중심의 전통적 역할을 벗어나 보다 확장된 직무 특성과 복합적인 실무역량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임상분야에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에게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핵심역량은 기획력, 문제해결 능력, 정책자료 분석력 및 문서작성 능력, 의사소통 및 협업 역량, 리더십 및 사회적 가치 실현 역량으로 나타났다<Table 2>. 이러한 역량은 임상 현장에서 요구되는 기술 숙련도 및 진료 보조 중심의 역량과는 구별되는 특성으로, 기획, 분석, 조정, 소통 중심의 업무 수행 능력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비임상 직무의 특성을 반영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Table 2. Core competencies required and expected roles of nonclinical dental hygienists

테이블

총괄 및 고안

본 연구는 비임상 분야에서 근무 중인 치과위생사를 A그룹(지역사회 보건), B그룹(공공기관 연구), C그룹(정책옹호 및 정책사업), D그룹(창업 및 경영)로 구분하여 질적 연구를 통해 치과위생사의 직무내용과 핵심역량을 도출하였다.

첫째, 비임상 분야의 치과위생사는 공통적으로 임상 진료협조 중심의 전통적인 임상가 역할에서 벗어나, 보건사업 기획자, 정책 실무자, 교육 콘텐츠 기획자, 조직 운영자, 사회적 실천가 등 다양한 전문직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이들이 담당하는 업무는 구강보건교육에 국한되지 않고, 사업 기획 및 평가, 정책자료 분석, 콘텐츠 제작, 조직 운영 등 복합적이고 실천적인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직무 특성은 치과위생사가 기술 중심의 임상가를 넘어 보건서비스의 주체적 기획자이자 실행자로 기능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특히, International Federation of Dental Hygienists (IFDH) 또는 Americ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ADHA)에서 제시한 치과위생사의 전문직 역할과도 부합하였다[14].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국제적으로도 치과위생사의 직무 정체성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역할을 확장하고 있으며, 특히 비임상 분야에서는 치과위생사가 지역사회 내 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실천적 전문가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비임상 분야의 치과위생사에게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핵심역량은 기획력, 문제해결 능력, 정책자료 분석 및 문서작성 능력, 의사소통 및 협업 능력, 리더십과 사회적 가치 실현 역량 등으로 나타났다. 이는 임상 현장에서 강조되는 기술 중심 역량과 구별되며, 비임상 분야에서는 보건정책 설계, 통계자료 해석, 다학제 협업, 대중 커뮤니케이션 등 종합적인 실무역량이 강조되고 있었다. 특히 치과위생사는 사회취약계층 보건사업, 노인통합돌봄, 발달장애인 지원 등 국가복지사업에 참여함으로써 보건복지 통합 전문인력으로의 발전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처럼 치과위생사는 지역사회 기반의 보건서비스 제공자이자 정책 실행의 실천가로서, 공공성과 사회적 책무성을 수행하는 보건의료 전문가로 그 역할이 확장되고 있다. 연구 결과, 치과위생사는 국민 건강 증진과 공공성 실현에 기여하는 사회적 역할(Social role)을 수행하고 있었으며, 이는 보건의료 전문직으로서의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는 근거가 되었다. 또한, 선행연구[15-17]에서는 치위생학 교육과정의 학습과 교육을 통해 사회적 역할과 관련된 역량이 강화되고, 사회적 실천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는 전문직으로서의 기능이 이론적으로 뒷받침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치과위생사가 보건복지 분야의 전문인력으로서 발전해나가기 위해서는 사회치위생학 교육과정이 실천 기반 교육으로 재정립되어야 할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셋째, 인터뷰 참여자들은 현재 치위생학 교육과정이 비임상 분야의 직무와 핵심역량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였으며, 사회치위생학 교과목이 역량 중심으로 개편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였다. 이는 선행연구[18,19]에서도 지적된 바와 같이, 기존 교육과정이 지식 위주의 이론 중심에 머물러 있으며, 실제 현장에서 요구되는 태도 및 실천 능력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과 일치하였다. 현재의 교육과정은 치과위생사의 직무 확장성과 전문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교육과정의 변화가 시급하다는 점이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다. 따라서 학습목표는 지식·태도·행동을 통합한 직무 기반 역량 중심으로 재정립되어야 하며, 사회치위생학 교육과정 또한 실천 중심 교육으로 개편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가 다양한 비임상 영역에서 기획자, 정책 실무자, 교육 콘텐츠 개발자, 복지 연계 서비스 제공자 등으로 활동하며 전문성과 공공성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치위생학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이 치과위생사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을 반영하는 방향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사회치위생학(Social dental hygiene)은 공중구강보건학의 내용을 다루는 수준을 넘어, 치과위생사가 사회적 건강 문제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보건의료 전문가로서 사회적 책임(Social responsibility)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실천 중심의 통합 학문으로 정립되어야 한다.

사회의학, 사회역학, 사회치의학과 같은 인접 학문들은 건강결정요인을 바탕으로 건강 문제의 구조적 원인을 분석하고, 사회적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유사하게, 사회치위생학도 구강건강을 단순한 개인의 생활습관이 아니라 사회경제적 요인과 구조적 불평등의 결과로 이해하고 접근할 필요가 있다[20-22]. 또한, 미국[23]과 캐나다[24]에서 제시한 치과위생사의 핵심역량은 임상술기를 넘어, 지역사회 전체를 대상으로 한 건강증진 활동, 다학제 협업, 전문직 윤리, 사회적 책무성 등을 핵심으로 포함하고 있다. 이는 본 연구에서 도출된 기획력, 문제해결력, 정책 분석력, 소통 및 협업능력과도 일치하며, 사회치위생학 교육과정이 국제적 기준에 부합하도록 개편될 필요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현재 사회치위생학은 국내외적으로 명확한 정의, 체계적 이론 틀, 실천 기반 교육과정이 미흡한 초기 학문 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비임상 분야에서 활동 중인 치과위생사의 실제 직무와 핵심역량을 분석함으로써, 사회치위생학 교과목의 교육 방향성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이는 향후 사회치위생학의 학문적 정체성과 교육 체계 정립을 위한 실증적 기반이 될 수 있다.

둘째, 사회치위생학 교과목은 치과위생사의 핵심역량 중심으로 재구성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보건사업 기획, 정책 개발,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건강정보 콘텐츠 제작 등 비임상 실무역량 중심의 교육이 요구되었으며, 이는 기존 교과과정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내용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인터뷰 참여자 중 다수가 석·박사 학위자였다는 점에서, 학위 수준에 따라 학사-석사-박사 간 차별화된 교육 목표와 학습 내용 구성이 필요함이 확인되었다[25,26]. 치위생학 학사과정에서는 실무 중심의 보건사업 수행 능력, 정책 자료 해석, 콘텐츠 실습, 다학제 협업 역량 등을 포함하고 현장실습을 강화해야 한다. 반면 석·박사 과정에서는 정책 설계, 교육과정 개발, 고급 통계 분석, 리더십 및 조직관리 등 고도화된 전문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이 구성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단계별 전문직 정체성을 확립해야 한다. 따라서, 사회치위생학 교육과정은 학위 수준(학사·석사·박사)별로 요구되는 학습 내용과 교육 목표를 단계적으로 구분하여, 각 수준에 맞는 전문성과 핵심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구성 및 개발 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사회치위생학의 학습목표는 수행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정의할 수 있다’, ‘설명할 수 있다’는 수준의 개념 이해에서 벗어나, ‘구강보건사업 기획서를 작성할 수 있다’, ‘정책자료를 분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등 실제 직무와 연계된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목표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문제기반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 사례기반학습(Case-Based Learning, CBL), 팀기반학습(TeamBased Learning, TBL), 정책 시뮬레이션 등의 참여형 교수법 도입이 필요하다[27,28].

또한, 보건·복지·행정 간 융합적 사고를 기를 수 있도록 다학제 간 연계 교육(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을 확대하고, 보건통계, 정책자료 해석, 복지 연계 서비스 기획 등을 포함한 통합형 교육 콘텐츠가 필요하다. 정규 수업 외에도 공공기관 견학, 사회적기업 실습, 정책기획 캠프, 콘텐츠 제작 워크숍, 직무 멘토링 등 비교과 프로그램은 현장 감각을 높이고 진로 탐색에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29,30]. 이와 같은 사회치위생학 교육과정의 개편은 치과위생사의 사회적 책무성과 전문성을 강화하고, 다양한 비임상 직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교육적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치과위생사의 직업 정체성 다변화와 보건의료 전문가로서의 사회적 기여 확대를 이끌어내어, 국민 건강 증진과 지역사회 보건 향상에 기여하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비임상 분야에서 활동 중인 치과위생사 17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여, 이들의 직무 내용과 요구 역량을 분석하고, 사회치위생학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가진다. 본 연구는 질적연구로서 연구 참여자의 수와 직무 영역에 한계가 있었다. A-D 그룹으로 직무 특성을 다양화하고자 하였으나, 모든 비임상 직무를 포괄하기에는 제한적이며, 지역적·조직적 특성에 따라 요구되는 역량이 다를 수 있으므로 연구 결과의 일반화에는 신중한 해석이 필요하다. 또한, 질적 연구로서 연구자의 해석이 일부 개입될 수밖에 없다. 두 명의 연구자가 독립적 코딩과 교차 분석을 통해 신뢰도 확보에 노력하였으나, 질적 분석의 해석적 특성을 완전히 배제하기는 어렵다. 마지막으로, 사회치위생학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방향성과 구성 요소를 제시하였으나, 학계 및 실무 현장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폭넓은 의견 수렴이나 합의 과정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정교화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향후에는 다음과 같은 후속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교육과정 개선 내용을 기반으로 핵심역량과 학위 수준별 (학사·석사·박사) 교육 내용을 구체화하고, 학생, 교수자, 임상가, 비임상 실무자 등 다양한 이해당사자의 관점을 비교하는 다중 관점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정성적 분석을 보완하기 위한 정량적 연구(델파이조사, 대규모 설문조사 등)를 병행함으로써 결과의 타당성과 객관성을 높이고, 사회치위생학의 이론 정립과 교육 체계 구축을 위한 실증적 근거를 지속적으로 축적해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첫째, 치과위생사의 직무를 임상 중심으로 제한하던 기존의 인식을 확장하여, 다양한 비임상 분야에서 수행되는 실제 직무와 요구 역량을 체계적으로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독창성과 실용적 가치를 지닌다. 둘째, 현행 치위생학 교육과정이 현장의 직무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음을 문제로 제기하고, 실제 직무 경험을 기반으로 한 교육내용 개선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직무 기반·역량 중심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실천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특히 사회치위생학 교과목의 교육적 정체성과 기능을 재조명하고, 그 위상을 교육과정 내에서 제고할 필요성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교육학적 의의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향후 치위생학 교육과정 개발, 직무역량 체계화, 다학제 연계 교육 설계 등 후속 연구에 활용 가능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으며, 치과위생사 교육이 기술 중심을 넘어 사회적 가치 실현과 전문직 정체성 강화를 지향해야 함을 강조함으로써 교육 패러다임 전환의 출발점을 마련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사회치위생학 교육과정 개발을 위하여 비임상 분야에서 활동하는 치과위생사의 실제 직무와 핵심역량을 분석함으로써, 치위생학 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1. 치과위생사는 전통적인 임상가 외에 보건기획자, 정책참여자, 건강정보 콘텐츠 기획자, 복지서비스 실천가, 사회적 리더자 등으로 직무영역을 확장하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기획력, 정책자료 분석력, 커뮤니케이션 및 협업 능력, 조직 운영 능력 등 복합적이고 실천적인 역량이 공통적으로 요구됨이 확인되었다.
2. 치과위생사의 직무 및 역할 변화는 치과위생사가 보건의료 전문가로서 갖추어야 할 사회적 역할(Social role)과 사회적 책무(Social responsibility)의 범위가 더욱 넓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치과위생사는 기술 중심의 임상가의 역할에서 벗어나, 공공보건 향상과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해야 하는 사회적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존재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이는 치위생학 교육이 기술 중심의 교육을 넘어 직업적 책무성과 사회적 기여를 포괄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3. 사회치위생학 교육과정은 변화된 치과위생사의 역할에 부합하는 직무기반 역량중심 교육과정으로 재편되어야 하며, 보건사업 기획 실습, 정책자료 분석, 다학제 협업, 콘텐츠 기획 교육 등을 통해 치과위생사의 실질적인 직무수행능력과 사회적 책임을 동시에 강화해야 한다. 이는 치과위생사의 직업 정체성을 다변화하고, 보건의료 전문가로서 지역사회와 국민건강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교육적 전환점이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비임상 분야에서 활동하는 치과위생사의 실제 직무와 핵심역량을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사회치위생학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성과 필요성을 구체화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결과는 치과위생사의 직무영역 확장과 사회적 책무성을 반영한 교육과정 개편의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사회치위생학의 학문적 정체성과 실천 기반을 정립하는 데 기초자료로 기여할 것이다.

Notes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NH Kim, SK Park; Data collection: SK Park; Formal analysis: SK Park; Writing-original draft: SK Park; Writingreview&editing: NH Kim, SK Park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d no conflicts of interest.

Funding

None.

Ethical Statement

This study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of Mirae campus, Yonsei University (IRB No. 1041849-202308-SB155-01).

Data Availability

Please contact the corresponding author for data availability.

Acknowledgements

None.

References

  1. Noh HJ, Mun SJ, Han SY, Yang JH, Jung EH, Lee AR, et al. The fifty-year history of dental hygiene education in South Korea. J Korean Soc Dent Hyg 2019;19(5):625-33. https://doi.org/10.13065/jksdh.20190054
  2. Pieren JA, Wilder RS, Spolarich AE. 100 years of dental hygiene research: Progress and possibilities. J Dent Hyg 2023;97(5):6-25.
  3. Beatty CF. Community oral health practice for the dental hygienist. 5th ed. St. Louis: Elsevier Health Sciences; 2021: 1-5.
  4. Oh YM. The National Health Plan 2030: its purpose and directions of development. J Prev Med Public Health 2021;54(3):173-81.
  5.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Research on the academic classification [Internet].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2025[cited 2025 Feb 01]. Available from: https://www.nrf.re.kr/biz/doc/class/view?menu_no=323.
  6. Park SK, Lee GY, Jang YE, Yoo SH, Kim YJ, Lee SH, et al. Suggestion of learning objectives in social dental hygiene: oral health administration area. J Dent Hyg Sci 2018;18(2):85-96. https://doi.org/10.17135/jdhs.2018.18.2.85
  7. Yoo SH, Bae SM, Shin BM, Shin SJ.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learning goals of community dental hygiene practicum based on the community dental hygiene process of care. J Korean Soc Dent Hyg 2020;20(2):139-53. https://doi.org/10.13065/jksdh.20200014
  8. Park SK, Han YK, Kim YK, Lim HJ, Kown YO, Kim HM, et al. Educational needs of an integrated health and oral health project for community dental hygienists.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5;39(2):127-33. https://doi.org/10.11149/jkaoh.2015.39.2.127
  9. Jang YE, Heo SS, Kim EK, Kim NH. A study on the needs of independent dental hygiene practices in the public dental hygienists. J Korean Soc Dent Hyg 2017;17(3):505-13. https://doi.org/10.13065/jksdh.2017.17.03.505
  10. Cho YY, Kwon YO, Kim EK, Hong SM, Park JH, Jang KA, et al. The role and countermeasures of dental hygienists in local community (public health centers)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centered on COVID-19. J Korean Soc Oral Health Sci 2022;10(2):128-36. https:// doi.org/10.33615/jkohs.2022.10.2.128
  11. Colaizzi PF.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In: Valle RS, King M, editors.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78: 48-71.
  12. Creswell J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 Thousand Oaks, 5th ed. CA: Sage Publications; 2023: 42-68.
  13. Lenburg CB. The framework, concepts and methods of the competency outcomes and performance assessment (COPA) model. Online J Issues Nurs 1999;4(2):312-7. https://doi.org/10.3912/OJIN.Vol4No02Man02
  14. Battrell A, Lynch A, Steinbach P, Bessner S, Snyder J, Majeski J. Advancing education in dental hygiene. J Evid Based Dent Pract 2014;14:20921. https://doi.org/10.1016/j.jebdp.2014.02.005
  15. Rogo EJ. Synergy in social action: a dental hygiene theory. Am Dent Hyg Assoc 2018;92(4):6-17.
  16. Blue CM. Cultivating professional responsibility in a dental hygiene curriculum. J Dent Educ 2013;77(8):1042-51. https://doi.org/10.1002/ j.0022-0337.2013.77.8.tb05573.x
  17. Khabra K, Compton SM. Integrating community service-learning into a dental hygiene curriculum: a document analysis. Can J Dent Hyg 2024;58(1):26-33.
  18. Won BY, Jung UJ, Jang JH. The demand for the change in Korean dental hygiene curriculum. J Korean Soc Dent Hyg 2015;15(1):161-9. https://doi.org/10.13065/jksdh.2015.15.01.161
  19. Ki JY, Jang JH. Analysis of dental hygiene learning objectives based on Bloom’s taxonomy. J Korean Soc Dent Hyg 2021;21(2):193-201. https://doi.org/10.13065/jksdh.20210019
  20. Han DS, Bae SS, Kim DH, Choi YJ. Origins and evolution of social medicine and contemporary social medicine in Korea. J Prev Med Public Health 2017;50(3):141-57. https://doi.org/10.3961/jpmph.16.106
  21. Krieger N. A glossary for social epidemiology.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2001;55(10):693-700. https://doi.org/10.1136/jech.55.10.693
  22. Bedos C, Apelian N, Vergnes JN. Social dentistry: an old heritage for a new professional approach. Br Dent J 2018;225(4):357-62. https:// doi.org/10.1038/sj.bdj.2018.648
  23. American Dental Education Association. ADEA entry-level competencies for allied dental professionals [Internet]. American Dental Education Association; 2023[cited 2025 Apr 06]. Available from: https://www.adea.org/docs/default-source/adea-main/information-for-allied-dentalfaculty-and-staff/adea-entry-level-competencies-for-allied-dental-professionals-(march-2023).
  24. Federation of Dental Hygiene Regulators of Canada. Entry-to-Practice Canadian Competencies for Dental Hygienists [Internet]. Federation of Dental Hygiene Regulators of Canada; 2021[cited 2025 Apr 06]. Available from: https://www.fdhrc.ca/sites/files/EPCCoDH_FDHRC_Novemb er_2021.pdf.
  25. Tumath UGM, Walsh M. Perceptions of dental hygiene master’s degree learners about dental hygiene doctoral education. Am Dent Hyg Assoc 2015;89(4):210-8.
  26. Gurenlian JAR, Rogo EJ, Spolarich AE. The doctoral degree in dental hygiene: creating new oral healthcare paradigms. J Evid Based Dent Pract 2016;16:144-9. https://doi.org/10.1016/j.jebdp.2016.01.011
  27. Choi JS, Bae SM, Shin SJ, Shin BM, Lee HJ.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on the problem-solving ability and self-efficacy of students majoring in dental hygiene.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22;19(12):7491. https://doi.org/10.3390/ijerph19127491
  28. Yoo SH, Bae SM, Shin BM, Shin SJ. Evaluation of project-based learning on community dental hygiene practice education. J Dent Hyg Sci 2017;17(4):368-74. https://doi.org/10.17135/jdhs.2017.17.4.368
  29. Tolle SL, Vernon MM, McCombs G, De Leo G.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n dental hygiene: attitudes, barriers and practices of program faculty. Am Dent Hyg Assoc 2019;93(2):13-22.
  30. Howey ML, Yoon MN. Insights in interprofessional education: dental hygiene students’ suggestions for collaboration. Can J Dent Hyg 2022;56(1):9-21.
S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