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artment of Dental Hygiene, Daejeon Health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Hee-Hong Mi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Daejeon Health University, 21 Chungjeong-ro, Dong-gu, Daejeon-si, 54504, Korea. Tel: +82-42-670-9194, Fax: +82-42-670-9586, E-mail: hhmin1@hanmail.net
Volume 24, Number 5, Pages 513-9, October 2024.
J Korean Soc Dent Hyg 2024;24(5):513-9. https://doi.org/10.13065/jksdh.20240515
Received on August 05, 2024 , Revised on August 27, 2024, Accepted on September 05, 2024, Published on October 30, 2024.
Copyright © 2024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egree and relationship between dental hygiene students’ Interpersonal skills, adaptation of university life, and adaptation of clinical clerkship.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15, 2023 to 30, and the final analysis subjects were 180 people. Results: Factors affecting clinical clerkship adapta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were department satisfaction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25.7%. Conclusions: It is believed that a program to improve adaptation to college life with professors and seniors is necessary to help students become interested in and adapt to college life, and that clinical training is necessary for students preparing for practicum.
Adaptation of clinical clerkship, Adaptation of university life, Dental hygiene student, Interpersonal skills
대학생들은 대학입시를 목표로 하는 주입식 교육에서 벗어나 책임감을 지닌 성인으로서의 자율적이고 능동적인 대학생활을 시작한다[1]. 대학생활 적응은 학업생활 뿐 아니라 대인관계 등을 형성하고 심리적 문제를 적절하게 대처하며 대학과 학과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감을 갖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2,3]. 특히, 치위생학과 학생들은 입학과 동시에 학과전공이 곧 취업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학생, 지도교수 등 다양한 사람들과 관계를 유지함과 동시에 학업에 대한 꾸준한 노력이 동반되어야 한다. 즉, 대학생활에 잘 적응해야 차후 직업을 가지고 사회생활을 영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치위생학과 학생이 대학생활을 잘 적응할수록 전공만족도가 높다 하였고[4], 대인관계 성향이 높을수록 대학생활 적응이 잘 이루어진다고 하였다[5]. 대학이라는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하기 위해서는 친구나 교수님과의 사회적 관계형성이 꼭 필요하며, 이는 대학생활을 영위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5,6]. 이처럼 치위생학과 학생들이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원활하게 형성하고 대학생활에 잘 적응해 나가기 위해서는 대인관계 유능성이 필요하다.
대인관계 유능성은 다른 사람과 원활하게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대인관계 능력으로[7], 대학생활 적응에 필요할 뿐 아니라 차후 임상에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로서 업무에 중요한 필수능력이다. 선행연구[8–10]를 보면, 치과위생사의 대인관계능력이 좋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다 하였고[8], 직무만족도가 높고, 대인관계형성에 문제가 없을수록 치과위생사의 행복지수가 높아진다 하였다[9]. 이는 치과위생사로서 업무를 수행할 때 대인관계능력이 좋을수록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대인관계능력이 좋을수록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낮춰준다는 You와 Lee[10]의 연구결과를 보면, 치위생학과 학생들이 임상실습과정에서 겪게 되는 갈등을 완화시켜줄 수 있는 관련요인에 대인관계 유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임상실습은 실제 의료현장에서의 경험을 통해 전공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과정으로[11], 임상실습 적응은 임상실습기관에서 치위생 업무와 관련된 전공지식을 활용하고, 임상실습에 잘 적응해 치과위생사로서 긍정적인 간접경험을 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새로운 환경에서 수행하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과정은 예비치과위생사로서 기대감을 가지기도 하지만, 기대보다 못 미치거나 임상실습에 적응하지 못해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학생들도 적지 않다. Han[12]의 연구에서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감정노동이 유의한 양적 상관으로 나타났고, Moon 등[13]의 연구에서는 임상실습 전환충격 요인 중 ‘실습과정에서 눈치를 본다’가 가장 높게 나타나 학생들의 실습과정 중 대인관계를 원활하게 유지하고 실습을 적응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효과적인 임상실습 교육과정이 되기 위해서는 임상실습 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추가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치위생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대인관계능력, 회복탄력성, 감정노동, 의사소통능력, 임상실습 전환충격, 학업소진 등으로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관한 선행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10,12,13],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원활한 임상실습 과정을 위해 임상실습 적응을 향상시키는 방안에 대한 연구는 현재 전무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치위생학과 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 대학생활 적응, 임상실습 적응의 정도와 관련성을 파악하여 전공교육과정인 임상실습 과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해 치위생학과 학생들이 치과위생사로서의 올바른 직업의식을 가지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전보건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승인(IRB No: 1041490-20231215-HR-002)을 받아 시행하였고, 자료는 2023년 12월 15일부터 12월 30일까지 대전·충청·전라·경상지역에서 임상실습과정을 경험한 치위생학과 학생을 편의추출하였다. 연구목적을 설명하고 동의한 대상자들에게 설문지를 배부한 후 자기기입식 설문법으로 작성하였다. 표본 크기는 G*power 3.1.9.7 program을 이용하여 효과크기 0.15, 유의수준 0.05, 검정력 0.95, 예측변수 9개(임상실습 적응, 대인관계 유능성, 대학생활 적응, 일반적 특성 6개)로 하였고, 최소인원은 166명이었으며, 최종분석 대상자는 180명이었다.
일반적 특성 6문항, 임상실습 적응 15문항, 대인관계 유능성 31문항, 대학생활 적응 2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임상실습 적응은 Je 등[14]이 사용한 도구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하위요인은 현장실습의 정서반응과 현장실습을 통한 전공이해이다. 대인관계 유능성은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를 번안한 Han과 Lee[15]의 척도를 사용한 Kwon 등[16]의 도구를 사용하였고, 하위요인은 관계형성과 개시, 권리나 불쾌함에 대한 주장, 타인배려, 갈등관리, 자기 개방이다. 대학생활 적응은 Kim[17]이 사용한 도구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한 후 사용하였고, 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으로 3개의 하위요인이다. 각 문항은 Likert식 5점 척도이며, 변수의 점수가 높을수록 임상실습 적응, 대인관계 유능성, 대학생활 적응이 높음을 의미한다. 도구의 Cronbach’α는 임상실습 적응 0.747, 대인관계 유능성 0.921, 대학생활 적응 0.913이다<Table 1>.
자료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ver. 26.0; IBM Corp., Armonk, NY,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유의수준은 0.05로 정하였다. 변수의 점수는 산술평균을 실시하였고,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변수의 정도는 t-test와 ANOVA로 분석하였고, Scheffe’의 사후검정을 시행하였다.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s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치위생학과 학생의 임상실습 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단계적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치위생학과 학생의 임상실습 적응은 3.54점이었고, 대인관계 유능성은 3.60점이었으며, 대학생활 적응은 3.38점이었다<Table 1>.
Table 1. Degree of the variables
Variables | Item | Min | Max | Mean±SD | Cronbach’s α |
---|---|---|---|---|---|
Adaptation of clinical clerkship | 15 | 2.40 | 5.00 | 3.54±0.46 | 0.747 |
Interpersonal skills | 31 | 1.00 | 4.77 | 3.60±0.51 | 0.921 |
Adaptation of university life | 22 | 1.00 | 4.77 | 3.38±0.59 | 0.913 |
대인관계 유능성은 성격 유형(p<0.05), 학과만족도(p<0.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사후검정 결과, 성격유형이 ‘외형적’일 때, 학과만족도는 ‘높다’에서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활 적응은 성격 유형(p<0.05), 학과만족도(p<0.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사후검정 결과, 성격유형이 ‘외형적’일 때, 학과만족도는 ‘높다’에서 높게 나타났다<Table 2>.
Table 2. Level of scal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Unit: Mean±SD
Characteristics | Division | N | Adaptation of clinical clerkship | Interpersonal skills | Adaptation of university life |
---|---|---|---|---|---|
Year | ≥21 | 40 | 3.57±0.44 | 3.50±0.63 | 3.25±0.67 |
22 | 80 | 3.56±0.42 | 3.61±0.43 | 3.42±0.54 | |
≤23 | 60 | 3.51±0.52 | 3.65±0.52 | 3.43±0.60 | |
t/F(p*) | 0.262(0.770) | 1.073(0.344) | 1.410(0.247) | ||
Record | ≥2.9 | 35 | 3.54±0.43 | 3.55±0.70 | 3.26±0.74 |
3.0–3.4 | 67 | 3.57±0.48 | 3.61±0.42 | 3.41±0.56 | |
≤3.5 | 78 | 3.53±0.45 | 3.61±0.49 | 3.42±0.54 | |
t/F(p*) | 0.713(0.842) | 0.191(0.826) | 0.936(0.394) | ||
Personality type | Introvert | 63 | 3.50±0.38 | 3.31±0.53a | 3.18±0.56a |
Extroverted | 35 | 3.56±0.51 | 3.99±0.40b | 3.71±0.55b | |
Mixed | 82 | 3.58±0.49 | 3.65±0.40c | 3.41±0.57a | |
t/F(p*) | 0.519(0.596) | 26.622(<0.05) | 9.864(<0.05) | ||
Department satisfaction | Bad | 10 | 3.63±0.59 | 3.22±0.96a | 2.79±0.90a |
Usually | 109 | 3.48±0.45 | 3.54±0.47ab | 3.26±0.50b | |
Good | 61 | 3.65±0.43 | 3.76±0.45b | 3.71±0.53c | |
t/F(p*) | 2.882(0.059) | 5.427(<0.001) | 20.186(<0.001) | ||
Join a club | Yes | 49 | 3.60±0.48 | 3.70±0.50 | 3.42±0.63 |
No | 131 | 3.52±0.45 | 3.56±0.51 | 3.38±0.58 | |
t/F(p*) | 1.040(0.300) | 1.634(0.104) | 0.398(0.691) | ||
Practice location | Dental clinic | 112 | 3.58±0.49 | 3.59±0.53 | 3.40±0.61 |
Dental hospital | 68 | 3.49±0.39 | 3.60±0.49 | 3.37±0.56 | |
t/F(p*) | 1.315(0.190) | -0.114(0.909) | 0.230(0.818) |
*by t-test or one-way ANOVA (post-test Duncan) a,b,cThe same character indication shows that there i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임상실습 적응은 대인관계 유능성(r=0.319), 대학생활 적응(r=0.489)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독립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대인관계 유능성과 대학생활 적응(r=0.608)이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Table 3>.
Table 3. Correlation of adaptation of clinical clerkship, interpersonal skills, adaptation of university life
Variables | Adaptation of clinical clerkship | Interpersonal skills | Adaptation of university life |
---|---|---|---|
Adaptation of clinical clerkship | 1.000 | ||
Interpersonal skills | 0.319** | 1.000 | |
Adaptation of university life | 0.489** | 0.608** | 1.000 |
**p<0.01,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임상실습 적응을 종속변수로 하고, 일반적 특성, 대인관계 유능성, 대학생활 적응을 설명변수로 하여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Durbin-Watson 검정계수는 1.794로 기준치 10을 넘지 않아 자기상관성의 문제가 없었고 공차한계는 0.520-0.910로 나타났으며(F=6.149, p<0.001), 분산팽창인자(VIF)는 1.099-2.454로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위생학과 학생의 임상실습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과만족도(불만족)(β=1.181, p<0.01), 대학생활 적응(β=0.545, p<0.001)에서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났고, 설명력은 25.7%이었다<Table 4>.
Table 4. Influencing factors of adaptation of clinical clerkship
Variables | B | SE | β | t | p* | Tolerance | VIF |
---|---|---|---|---|---|---|---|
(constant) | 1.820 | 0.306 | 5.953 | <0.001 | |||
Year (≥21) | 0.075 | 0.084 | 0.069 | 0.901 | 0.369 | 0.711 | 1.406 |
Year (22) | -0.038 | 0.071 | -0.039 | -0.540 | 0.590 | 0.780 | 1.282 |
Record (≥2.9) | 0.027 | 0.085 | 0.023 | 0.314 | 0.754 | 0.769 | 1.300 |
Record (3.0–3.4) | -0.016 | 0.071 | -0.017 | -0.220 | 0.826 | 0.702 | 1.424 |
Department satisfaction (bad) | 0.360 | 0.135 | 0.181 | 2.669 | 0.008 | 0.903 | 1.107 |
Department satisfaction (usually) | -0.027 | 0.071 | -0.028 | -0.376 | 0.707 | 0.770 | 1.299 |
Personality type (introverted) | 0.144 | 0.096 | 0.151 | 1.495 | 0.137 | 0.408 | 2.454 |
Personality type (extroverted) | 0.125 | 0.085 | 0.137 | 1.477 | 0.142 | 0.484 | 2.067 |
Join a club (yes) | -0.042 | 0.073 | -0.041 | -0.576 | 0.566 | 0.811 | 1.233 |
Practice location (dental clinic) | -0.071 | 0.064 | -0.076 | -1.119 | 0.265 | 0.910 | 1.099 |
Interpersonal skills | 0.065 | 0.080 | 0.073 | 0.815 | 0.416 | 0.520 | 1.922 |
Adaptation of university life | 0.422 | 0.069 | 0.545 | 6.120 | <0.001 | 0.523 | 1.912 |
R2=0.306, adj. R2=0.257, F=6.149 (p<0.001), Durbin-Watson: 1.794 |
*b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t α=0.05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 대학생활 적응, 임상실습 적응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전공교육과정인 임상실습 과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여 치위생학과 학생들이 치과위생사로서의 올바른 직업의식을 가질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진행하였다.
치위생학과 학생의 임상실습 적응은 3.54점으로 나타났고, 간호학과 학생의 임상실습 적응은 3.46점으로 나타났다[18]. 보건계열을 전공하는 학생들의 직무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임상현장에서 실습을 진행하는 교육과정에서 임상실습에 잘 적응하는 학생들도 있지만 병원, 실습 담당자, 환자 등 다양한 변수들로 인해 실수가 두려워 소극적인 태도로 실습에 임하거나 두려움이 앞서 심리적으로 불안한 학생들도 있다. 치위생학과 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관한 선행연구[10,12,13]에서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한 방안은 제시하였지만, 실제 임상실습과정에서 필요한 임상실습 적응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따라서 치위생학과 학생의 임상실습 적응에 대한 추가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임상실습에 잘 적응하여 좋은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
치위생학과 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은 3.60점이었고, You와 Min[19]의 연구에서 3.61점이었으며, Lee와 Jeong[20]의 연구에서는 3.49점으로 나타났다. 졸업 후 바로 취업하기 위해 신입생부터 전공과목을 이수해야 하는 부담감과 방학 중 임상실습과정, 그리고 국가고시 준비 등으로 바쁜 대학생활을 하게 되면서 대인관계를 형성할 시간적 여유가 없지만, 다양한 환자를 대상으로 직무를 수행해야 하는 치과위생사로서 대인관계 유능성은 필수로 가져야 할 역량이다. 사람과의 대화방법이나 타인의 심리를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며, 사람과 사회적 관계를 형성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비교과 프로그램과 교양수업을 활용한 반복훈련이 필요하다.
치위생학과 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은 3.38점이었고, 간호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Lee와 Jeon[3]의 연구에서 3.46점이었으며,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Yoo 등[21]의 연구에서 3.09점으로 나타났다. 치위생학과, 간호학과는 졸업 후 바로 취업하는 학생들이 많으므로 입학부터 대학생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어 일반대학생보다 대학생활 적응이 다소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대학생활 적응에는 학교생활, 대인관계, 지도교수와의 관계, 성적 등 다양한 환경요인들이 영향을 준다.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교내 프로그램이나 동아리 활동에 참여한다면, 대학생활 적응의 향상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성격이 ‘외향적’일 때와 학과만족도가 ‘높음’일 때 대인관계 유능성과 대학생활 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학생의 성격이 외향적일수록 사람과의 관계를 형성하는 대인관계 유능성이 향상되고, 대학생활에서 만나는 사회적 관계를 원활하게 유지하여 대학생활 적응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치위생학과 학생의 학과만족도가 높을수록 대인관계 유능성, 대학생활 적응이 높아지는 것은 자발적인 본인의 의지로 전공학과를 선택하여 입학하는 경우가 많아 전공학과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면서 학과만족도가 향상된 것으로 보여 진다.
치위생학과 학생의 임상실습 적응, 대인관계 유능성, 대학생활 적응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임상실습 적응은 대인관계 유능성, 대학생활 적응과 유의한 양의 상관을 보였다. 대학생활에 잘 적응하는 것과 대인관계를 잘 형성하는 능력은 임상실습과 많은 관련성이 있다. 임상실습은 전공에 대한 지식을 활용하고 스킬을 간접적으로 배우는 교육과정이며, 실습과정에서 환자나 다양한 직종의 사람들을 만날 수 있기 때문에 전공학과를 비롯한 대학생활에 잘 적응한 학생과 대인관계 유능성이 높은 학생이 임상실습과정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기 중 임상실습을 잘 수행한 학생들은 치과위생사의 역할과 업무, 진로에 대한 직업의식을 가지게 되면서 학과만족도와 대학생활 적응이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치위생학과 학생의 임상실습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과만족도와 대학생활 적응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25.7%였다.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학과만족도가 낮거나 대학생활에 잘 적응하지 못한다면 전공수업에 흥미를 잃을 수 있고, 임상실습 과정에서도 이해도가 떨어져 잘 적응하지 못할 수 있다. 치과위생사는 환자의 구강을 케어하고 치료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으로서 환자의 구강건강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업무를 수행해야 하므로 전공지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학과만족도가 향상되고, 대학생활에 잘 적응하여 성공적으로 임상실습 과정을 수행한다면 치과위생사로서 올바른 직업의식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회귀분석의 설명력이 다소 낮게 나타난 점이 영향 요인을 분석하기에 어려움이 있었으므로 추가 연구에서는 다양한 영향 요인을 변수로 임상실습 적응과 관련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표본추출로 진행되어 모든 치위생학과 학생을 일반화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추후 연구 대상자를 확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적응, 대인관계 유능성,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련성을 처음 연구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에 추후 연구에서는 임상실습기간 및 횟수 등에 따른 일반적인 특성을 추가하여 더욱 다양한 관련 변수와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치위생학과 학생의 임상실습 적응을 높이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위생학과 학생의 임상실습 적응은 3.54점이었고, 대인관계 유능성은 3.60점이었으며, 대학생활 적응은 3.38점이었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변수의 정도를 보면, 대인관계 유능성과 대학생활 적응은 성격 유형, 학과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3. 임상실습 적응과의 상관분석 결과를 보면, 대인관계 유능성(r=0.319), 대학생활 적응(r=0.489)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독립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대인관계 유능성과 대학생활 적응(r=0.608)이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 치위생학과 학생의 임상실습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과만족(불만족)(β=1.181, p<0.01), 대학생활 적응(β=0.545, p<0.001)에서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났고, 설명력은 25.7%이었다.
이상의 결과,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적응을 위해서는 학과만족도를 높이고, 학생들이 대학생활을 잘 적응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학생들이 전공과목을 잘 이해하여 학과만족도가 향상된다면, 전공지식을 가지고 실습에 임했을 때 이해도와 적응력이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임상실습은 다양한 사람들과 만나 관계를 형성하기 때문에 비슷한 환경인 대학생활에서의 적응능력이 도움이 될 것이다.따라서 학생들의 학과만족도 향상과 학과교수 및 선배와의 대학생활 적응 향상 프로그램을 통해 대학생활에 흥미를 가지고 적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임상실습을 앞둔 학생들에게 실습 전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사전교육을 진행한다면 임상실습과정을 잘 수행하여 치과위생사로서의 업무와 직업의식을 형성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Conceptualization: EJ Yoo, HH Min; Data collection: EJ Yoo, HH Min; Formal analysis: HH Min; Writing-original draft: EJ Yoo; Writing-review&editing: EJ Yoo, HH Min
The authors declared no conflicts of interest.
None.
This study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of Daejeon Health University (IRB No. 1041490-20231215-HR-002).
Data can be obtained from the corresponding author.
None.
1. Lim HJ, Hwang SH, Lee JY. Effect of dental hygiene students’ personalities and Life stresses on their adjustment to college life. J Korean Oral Health Sci 2022;10(2):86-92. https://doi.org/10.33615/jkohs.2022.10.2.86
[DOI]
2. Lee MS.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cademic self-efficacy, clinical clerkship stress,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of nursing students. JKAIS 2023;24(4):170-9. https://doi.org/10.5762/KAIS.2023.24.4.170
[DOI]
3. Lee MH, Jeon MK. Effects of nunchi and grit on colleg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KJOHSM 2023;17(3):81-92. https://doi.org/10.12811/kshsm.2023.17.3.081
[DOI]
4. Shin AR, Shim HS. The effect of some dental hygiene students’ motivation for choosing a major, and major satisfaction on college life adjustment. JLCCI 2022;22(16):713-22. https://doi.org/10.22251/jlcci.2022.22.16.713
[DOI]
5. Park JH, Choi HJ. Factors interpersonal relation disposition and college life stress on college life adjustment of the dental hygiene students. JKSSCHE 2021;22(4):39-48. https://doi.org/10.35133/kssche.20211130.04
[DOI]
6. Song JY.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 and social support on college freshmen’s adaptation to college life. JKAIS 2017;18(12):335-45. https://doi.org/10.5762/KAIS.2017.18.12.335
[DOI]
7. Lee JY, Kim DM. An analysis on the trend of university students’ Interpersonal skills. JOEC 2023;29(2):227-51. https://doi.org/10.24159/joec.2023.29.2.227
[DOI]
8. Lee JY, Kang YJ.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 Jour. of KoCon.a 2019;19(7):478-88. https://doi.org/10.5392/JKCA.2019.19.07.478
[DOI]
9. Ryu HG, Kwak EJ, Cheon JH, Chu YS. Happiness index according to job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of dental hygienists in some regions. JKCHS 2022;10(1):1559-68. https://doi.org/10.15205/kschs.2022.06.30.1559
[DOI]
10. You EJ, Lee HJ. The effects of dental hygiene students’ interpersonal ability and resilience on clinical clerkship stress. J Korean Oral Health Sci 2023;11(3):91-7. https://doi.org/10.33615/jkohs.2023.11.3.91
[DOI]
11. Lee WS, Uhm JY, Lee TW. Role transition of senior year nursing students: analysis of predictors for role transition. J Korean Acad Nurs Adm 2014;20(2):187-94. https://doi.org/10.11111/jkana.2014.20.2.187
[DOI]
12. Han SY. Factors associated with emotional labor,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clinical clerkship stress in dental hygiene students. Korean J Clin Dent Hyg 2022;10(3):109-17. https://doi.org/10.12972/kjcdh.20220013
[DOI]
13. Moon SE, Moon HS, Kim EC, Kin MJ. Effect of clinical clerkship transition shock and resilience on academic burnout of dental hygiene students. J Korean Soc Dent Hyg 2022;22(6):541-50. https://doi.org/10.13065/jksdh.20220061
[DOI]
14. Je NJ, Hwa JS, Park MR. Factors affecting the clinical clerkship adaptation of the first year of clinical clerkship. JKAIS 2019;20(11):314-23. https://doi.org/10.5762/KAIS.2019.20.11.314
[DOI]
15. Han NR, Lee DG.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Interpersonal skills questionnaire in Korean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10;22(1):137-56.
16. Kwon SH, Hong MJ, Ryu M, Shin HY. Influence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terpersonal skills, and character on caring efficiency in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22;28(4):411-20. https://doi.org/10.5977/jkasne.2022.28.4.411
[DOI]
17. Kim MJ. Effects of Interpersonal skills of beauty major students on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JBAM 2022;16(2):53-69. https://doi.org/10.22649/JBAM.2022.16.2.53
[DOI]
18. Cho JY, Chun IH, Ham MY. The effects of grit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on adaptation to clinical clerkship among nursing students. KSMCH 2024;14(1):99-111. https://doi.org/10.33502/JKSMH.14.1.099
[DOI]
19. You EJ, Min HH. The effects of dental hygiene students’ adult attachment, self-respect, and sociable support on their interpersonal skills. J Korean Soc Dent Hyg 2023;23(6):493-9.
https://doi.org/10.13065/jksdh.20230055
[DOI]
20. Lee JY, Jeong MK. The effects of body consciousness and body esteem on Interpersonal skills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J Kor Dent Hyg Sci 2020;3(2):67-77. https://doi.org/10.22753/JKDHS/2020.3.2.67
[DOI]
21. Yoo YS, Yun SH, Shin JW, Kim YS.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college students on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grit. Korean J General Edu 2023;17(5):201-19. https://doi.org/10.46392/kjge.2023.17.5.201
[DOI]